이 연구에서는 TEC-BNR공법을 사용하는 하수처리장에서 강수발생시와 같은 저농도 유입수에, 하수처리장의 생슬러지, 분뇨처리수,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액을 산발효하여 생성된 유기산을 외부탄소원으로 투입하였을 때, 비탈질율과 인방출율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이 연구에 의하면 산발효액 투입하였을 때 평균 비탈질율은 산발효액의 투입율이 0.5%일 때 215%, 투입율이 1%일 때는 169% 증가하였고, 평균 인방출양은 산발효액의 투입율이 0.5%일 때 46%, 투입율이 1%일 때는 63%로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탈질에 이용된 VFA양(12.6∼32.3 mgVFA/mgNO₃-N)과 인방출에 이용된 VFA양(1.7∼2.4 mgVFA/mgPO₄-P)도 계산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면 하수처리장에서 저농도 유입수에 산발효액을 외부탄소원으로 사용할 경우, 탈질과 인 제거를 최적화하기 위한 산발효액(VFA)의 양을 정량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organic acids produced through acid fermentation of sewage sludge, livestock wastewater, and food waste leachate were supplied as external carbon sources in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using the TEC-BNR process, under low-strength influent conditions such as during rainfall events, and the changes in specific denitrification rate and phosphorus release rate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when acid fermentation liquid was added, the average specific denitrification rate increased by 215% and 169% at a dosage rate of 0.5% and 1%,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average phosphorus release increased by 46% and 63% at a dosage rate of 0.5% and 1%, respectively. Finally, the amount of VFA utilized for denitrification was found to be 12.6–32.3 mgVFA/mg NO₃-N, while the amount of VFA utilized for phosphorus release was 1.7–2.4 mgVFA/mg PO₄-P.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enable to calculate the appropriate dosage of acid fermentation liquid (VFA amount) required to optimize the denitrification rate and phosphorus release rate under low-strength influent conditions in TEC-BNR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