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유럽경관협약이 채택되면서 경관을 일상공간의 공공자산이자 인권적 사안으로 확장하였으 나 우리나라에서 ‘경관에 대한 권리’ 개념은 학계 담론으로 정립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법원의 경관 관련 판례를 통해 국내에서 경관에 대한 권리가 어떻게 현실화하고 있는지와 관련 법적 기제와 한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결정문 18건과 대법원 판례 57건을 ‘경관’을 키워드로 수집·선정하고, 경관보호·비보호 판례로 분류하였다. 권리주체·의무 주체·권리근거·권리내용·사건행위·사건대상지 등을 분석 항목으로 설정하여 사례별 쟁점 양상을 정 량·정성적으로 파악하고, 셍키 다이어그램으로 시각화하였다. 분석 결과 경관보호 판례(57건)는 주 로 토지소유자 등 개인이 산림·보전지역 등 규제구역에서 재산권·점유권 침해를 다투며, 행정청의 재량권 남용을 근거로 보호 처분 취소를 구한 사례였다. 반면 경관불보호 판례(13건)는 지역공동체 가 환경권을 사법적 권리로 청구했으나, 법원은 ‘사회통념상 수인 한도’를 이유로 사전 예방·사후 구제를 제한하였다. 이로써 한국 법원은 (1) 조닝제도에 기초한 지형적 경관권 경계를 설정하고, (2) 경관을 공익과 사익 간 대립으로 이해하며, (3) 공동체 권리주체성을 제한하고, (4) 경관침해 판단 기준으로 사회통념적 수인한도를 활용함으로써 ‘경관에 대한 권리’를 전면적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따라서 ‘경관에 대한 권리’ 개념을 실질화하기 위해서는 경관법·국토법 등 관계 법령에 권리주체·행 사방식·구제수단을 구체화하고, 법원의 경관권 인정 태도 변화를 유도할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With the adoption of the European Landscape Convention in 2000, landscape has been expanded to be a public asset in everyday space and a human rights issue, but the concept of The Right to the Landscape (RtL)' has not been established in academic discourse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RtL is becoming a reality in Korea through landscape-related precedents of Korean courts, as well as related legal mechanisms and limitations. This study collected 18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57 Supreme Court precedents with the keyword 'landscape'. Selection, landscape protection, It was classified as a non-protected precedent. Right Subject·Obligatory subject·Basis of rights·Rights Details·Incident act·By setting the target of the case as an analysis item, we quantify the issues of each case. It was qualitatively identified and visualized with a Sankey dia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landscape protection precedents (57 cases) were mainly used by individuals such as landowners to protect forests,In regulated areas such as conservation areas, property rights·It was a case in which the administrative agency sought to revoke the protective disposition on the basis of abuse of discretion by the administrative agency while fighting for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occup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nprotected landscape (13 cases), the local community claimed the right to the environment as a judicial right, but the court ruled that the precautionary and Post-mortem relief was restricted. As a result, the Korean court did not fully recognize RtL by (1) setting the boundaries of topographical landscape rights based on the zoning system, (2) understanding the landscape as a conflict between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3) restricting the subjectivity of community rights, and (4) using the socially accepted limit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landscape infrin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