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식중독 발생 을 예측하여 국민 인식 개선 및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2003년부터 2022년까 지의 기상청 기후자료(평균기온, 강수량, 상대습도)와 식 품의약품안전처의 식중독 통계(5종 병원균 발생 건수)를 수집하였다. 기후 요인이 식중독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기 위해 로그-정규 회귀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바 탕으로 2023년부터 2100년까지의 공통사회 경제경로(SSP) 시나리오(SSP1-2.6, SSP2-4.5, SSP5-8.5)에 따른 미래 식중 독 발생을 예측하였다. 분석 결과, 평균기온이 1oC 상승할 경우 Pathogenic E. coli, Samonella spp., C. jejuni 발생 건 수는 각각 6%, 4%, 3% 증가하였으나, Norovirus는 3% 감 소하였다. SSP5-8.5 시나리오에 따르면, 2092년 Pathogenic E. coli 발생 건수는 현재보다 2배 이상 증가하고 살모넬 라 발생 건수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반면, Norovirus 발생 건수는 모든 시나리오에서 감소하였으며, 특히 SSP5- 8.5에서 가장 큰 감소 폭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후변 화로 인한 기온 상승이 세균성 식중독의 위험을 크게 증 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공중 보건을 위해 기 후변화 완화 노력과 식품 위생 관리 강화가 필수적이다.
This study aimed to predict future food poisoning occurrences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s, provide foundational data to enhance public awareness, and inform relevant policies. We analyzed the correlations between climate variables (average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relative humidity)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food poisoning statistics (cases involving five pathogens) from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panning 2003 to 2022. A log-normal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assess the impact of climatic factors on the incidence of food poisoning. Future occurrences were projected using shared socioeconomic pathway (SSP) scenarios (SSP1-2.6, SSP2-4.5, and SSP5-8.5) for the period of 2023-2100. The analysis revealed that a 1oC rise in average temperature was associated with a 6% increase in pathogenic Escherichia coli cases, a 4% increase in Salmonella cases, and a 3% increase in Campylobacter jejuni cases, while norovirus cases decreased by 3%. Under SSP5-8.5, by 2092, the incidence of pathogenic E. coli is projected to be more than double compared to the current levels, and Salmonella cases are also expected to increase. Norovirus cases were predicted to decline across all scenarios, most notably under SSP5-8.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ising temperatures due to climate change may significantly increase the risk of bacterial food poisoning. Therefore, proactive climate mitigation and strengthened food hygiene management are essential for safeguarding public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