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유아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Young Children's Intera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557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전국상담복지연구 (National Counseling Welfare Research)
전국상담복지학회 (National Counseling Welfare Academy)
초록

우리나라는 급속한 산업화로 인하여 만혼과 저출산 현상은 사회 적 문제가 되고 있으며, 또한 자녀양육 기능이 가정에서 사회로 이 관되면서 보육의 공공성이 확대되고 있다. 보육교사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향상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 제공과 검증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연구에 목적 을 두고 있다.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상호간의 관계, 행정적 지원, 학 부모와의 관계 등에 의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 직무스 트레스가 높은 집단에서는 직무만족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스트레스가 유아교사의 심 리적 안녕감에 대한 직무만족의 적응적인 영향을 위협하는 위험요 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육교사의 심리적안녕감이 영유아와의 상호 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 보육교사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 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In Korea,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late marriage and low fertility are becoming social problems, and the publicness of childcare is expanding as the child-rearing function is transferred from home to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basic data to improve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infants and to derive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verified results. Job stress of teachers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by mutual relationship with teachers, administrative support, and relationship with parents. This suggests that job stress is a risk factor that threatens the adaptiv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analyzed the influence of child car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ir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provided basic data to provide high-quality child care services and enhance their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목차
[개 요]
[Abstract]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용어의 정의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모형
Ⅲ. 본론
    1. 심리적 안녕감
    2. 상호작용
    3. 직무스레스
Ⅳ. 결론
    1. 심리적안녕감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2.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조절효과
    3. 심리적안녕감, 직무스트레스, 상호작용에 대한 함의
    4. 심리적안녕감, 직무스트레스, 상호작용에 대한 제언
참 고 문 헌
저자
  • 이지연(웰페어평생교육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