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년의 생활스트레스가 사회활동참여를 경유하여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iddle-Aged Life Str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558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000원
한국비전연구 (Korean Vision Reserch)
한국비전학회 (Korean Vision Academy)
초록

현재의 삶을 건강하게 풍요롭게 살아가기 위해 생활스트레스와 중년 들의 심리적복지감의 인과관계에서 사회활동참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 여 초고령 사회를 준비하는 중년들의 복지 정책적 기초자료로 기여하고 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살펴보면, ‘성별’은 ‘여자’, ‘연령’은 51∼55세, ‘학력’은 ‘고졸’, ‘종교’는 ‘불교’, ‘자녀 수’는 ‘2명’, ‘월평균 소득’은 ‘350만원 이상∼450만원 미만’, ‘주관적 건강상태’는 ‘보통이다’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중년의 인 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생활스트레스, 심리적복지감, 사회활동참여에 대한 분석결과, 성별, 연령, 학력, 종교, 자녀 수, 월 평균소득,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서 생활스트레스, 심리적복지감, 사회활동참여의 평균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중년의 생활스트레스(가족간 스트레스, 경제적 스트레스, 건강적 스트레스, 역할적 스트레스)가 심리적복지감에 유의미 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년의 생활스트레스 (가족간 스트레스, 경제적 스트레스, 건강적 스트레스, 역할적 스트레 스)가 사회활동참여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년의 생활스트레스가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 향에서 사회활동참여의 매개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사회활동참여는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 - being of middle - aged people in order to live a healthy and prosperous lif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gender ⁇ female ⁇ , ⁇ age ⁇ 51 ⁇ 55 years old, ⁇ educational background ⁇ high school graduate ⁇ , ⁇ religion ⁇ Buddhism ⁇ , ⁇ number of children ⁇ 2 ⁇ , ⁇ monthly average income ⁇ more than ⁇ 3.5 million ⁇ less than ⁇ 4.5 million ⁇ , ⁇ subjective health status ⁇ normal ⁇ .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life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middle-aged people, there was an average difference in life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 religion, number of children, average monthly incom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Third, middle-aged life stress (family stress, economic stress, health stress, and role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middle-aged life stress (family stress, economic stress, health stress, and role stress) had a parti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in the influence of middle-aged life str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목차
[개 요]
[Abstract]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중년
    2. 생활스트레스
    3. 심리적복지감
    4. 사회활동참여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가설
    3. 측정도구
    4. 자료 분석방법
Ⅳ. 연구 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상관관계 분석
    3. 가설검증
Ⅴ. 결론
    1. 결과요약
    2. 함의
    3. 제언
참 고 문 헌
저자
  • 김동진(칼빈대학교 교수)
  • 전민자(칼빈대학교 대우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