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소년의 디지털 성폭력 피해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KCI 등재

Influential Factors on Adolescents' Experiences of Digital Sexual Viol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59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디지털 성폭력 피해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예방적 대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 제는 첫째, 인구학적 요인, 디지털 관련 요인, 심리적 요인, 부모 요인, 학교 요인을 확인한다. 둘째, 여러 요인 간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J시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생 5.6학년과 중학생 1-3학년을 모집단으로 구성하고 다단계할당집락표집을 활용하여 588명을 수집하여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구학적 요인 에서는 성별과 학력이, 디지털 관련 요인은 이용시간, 심리적 요인은 우 울감이, 부모요인에서는 부모의 지지, 학교요인에서는 학교폭력 피해경험 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학생일수록, 중학생일수록, 디 지털 이용시간이 많을수록, 우울감이 높을수록, 그리고 부모의 지지가 낮 을수록,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많을수록 디지털 성폭력 피해 경험에 더 많이 노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디지털 성폭력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관련 변인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 러한 연구결과를 기반하여 청소년의 디지털 성폭력 예방을 위한 실천 및 정책적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결론에서는 이와 관련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s' experiences of digital sexual violence and to explore preventive alternatives. To this end, the study population comprised 5th and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1st to 3rd-grade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City J. With the use of 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from 588 participants and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gender and education level in the category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usage time in the category of digital usage behaviors, depression in the category of psychological factors, parental support in the category of parental factors, and the extent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in the category of school-related factors influenced experiences of digital sexual violence.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is a need for active discussions on practical and policy measures to prevent digital sexual violence among adolescents. The conclusion presents related implication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1. 디지털 성폭력의 이해
    2. 청소년의 디지털 성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Ⅲ. 연구방법
    1. 분석대상 및 자료
    2. 변수의 구성 및 측정
    3.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디지털 성폭력 피해경험의 차이
    2. 청소년의 디지털 성폭력 피해경험에 따른 주요변수의 차이
    3. 청소년의 디지털 성폭력 피해경험 결정요인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
  • 김형관(원광대학교) | Kim Hyeong Kwan (Wonkwang University)
  • 최혜정(한일장신대학교) | Choi Hye Jeong (Hanil University &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Corresponding author
  • 김진희(광주보건대학교) | Kim Jin Hee (Gwangju Health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