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상남도 도로 투명 방음벽에서의 야생조류 충돌 실태 및 공간적 특성 분석 KCI 등재

Wild Bird Collision Statu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ransparent Road Noise Barriers in Gyeongsangnam-do,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60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도로변 투명 방음벽은 소음 저감 효과뿐만 아니라 경관 개선이라는 관점에서 널리 설치되고 있으나, 높은 반사율과 투명도로 인해 야생조류 충돌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 전역을 대상으로 조류 충돌 현황을 파악하고, 충돌 위험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규명하여 투명 방음벽의 조류충돌 저감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2000년부터 2023년까지 현장 조사, 비영리 단체 자원봉사, 시민과학 자료를 통해 총 3,638건(74 종 3,686개체)의 충돌 정보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멧비둘기, 물까치, 직박구리 등 텃새가 주요 충돌 종으로 나타났으며, 계절별로는 겨울철이 가장 많았다. 방음벽 주변 토지피복은 충돌 여부와 무관하게 80m 이내 구간에서 시가화 건조지역과 초지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종분포 모델(MaxEnt) 분석 결과, 다양한 요인 중 산림과의 거리가 가장 큰 연관성을 보였으며, 산림-농업, 산림-도시 등 생태계 경계부의 저지대에서 충돌 위험이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UC=0.921). 이 결과는 투명 방음벽의 충돌 위험이 방음벽의 구조적 특징뿐만 아니라 주변 공간구조와 지형적 특성과 밀접하게 연관됨을 시사한다. 따라서 신규 방음벽 설치 시 방음벽의 조류충돌 저감 설계 반영과 함께, 시민과학 참여를 통한 지속적 모니터링 등을 통한 위험지역 도출과 고위험지역에 대한 우선 저감 조치가 필요하다.

Transparent roadside noise barriers are widely installed for noise abatement and landscape enhancement, but their high reflectivity and transparency make them a major source of bird collisions. We compiled 3,638 collision records (3,686 individuals, 74 species) across Gyeongsangnam-do, South Korea (2000–2023) from field surveys, NGO volunteers, and citizen-science databases to map collision patterns and diagnose spatial correlates. Resident forest-associated species—such as Oriental Turtle-dove (Streptopelia orientalis), Azure-winged Magpie (Cyanopica cyanus), and Brown-eared Bulbul (Hypsipetes amaurotis)—were most frequently affected, with collisions peaking in winter. Regardless of collision status, urban and grassland cover increased sharply within ~80 m of barriers. A MaxEnt model (AUC = 0.921) identified distance to forest as the strongest predictor, with risk concentrated in lowland ecotones at forest–agriculture and forest–urban boundar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llision risk reflects not only barrier design but also surrounding spatial configuration and topography. We recommend bird-safe design at the planning stage for new barriers and sustained citizen-science monitoring to prioritize mitigation in high-risk areas.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연구 방법
결과 및 고찰
    1. 결과
    2. 고찰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이수동(경상국립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 Soo-Dong L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yeongsang National Univ., Jinju 52725, Korea)
  • 조민규(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석사과정) | Min-Gyu J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yeongsang National Univ., Jinju 52725, Korea)
  • 조봉교(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도시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 Bong-Gyo Cho (Dept. of Urban system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 Jinju 52725, Korea)
  • 오충현(국립공원공단 지리산국립공원경남사무소 주임) | Chung-Hyeon Oh (Jirisan National Park Gyeongnam Offic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ancheong 52234,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