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도로변 완충녹지에서 녹지구조와 공기 중 미세먼지 농도(지상 1.5m 지점)를 조사하여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주는 완충녹지의 구조적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총 10개소의 완충녹지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도로측 미세먼 지 농도와 비교한 상대농도지수(Relative PM10 Index: RPM10)를 산출하였다. RPM10이 양의 값이면 녹지의 농도가 더 낮고, 음의 값이면 녹지의 농도가 더 높음을 의미한다. 미세먼지 농도 측정 결과 도로측과 비교하여 녹지측의 미세먼지 농도가 전반적으로 높았다. 녹지구조 변수와 상관분석 결과 RPM10은 관목층 피도, 전체 수목 피도, ㎡당 관목층 체적과 양의 상관성이 유의하였고, 평균 수고, 지하고, 식재 밀도, 교목층의 피도와 ㎡당 체적 등은 유의한 상관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완충녹지 배후공간이 막혀있는 곳의 RPM10이 비어있는 곳보다 낮은 차이가 인정되었 다. 회귀분석 결과 완충녹지 배후공간이 막힌 곳에서는 빈 곳보다 RPM10이 낮아지고(B=-.123, P=.000), 관목층 체적 (B=.674, P=.004)과 수목 지하고(B=.072, P=.015)가 증가하면 RPM10이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완충녹지에서 측정된 더 높은 미세먼지 농도는 녹지에서 미세먼지가 차단·정체된 결과로 판단된다. 정체된 미세먼지는 녹지 내부에서 제거되어 외부 미세먼지 농도 감소에 기여한다. 분석결과 관목층 식재 및 지하고가 낮은 교목·아교목층 수목의 배치는 미세먼지의 흐름 차단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도로변 완충녹지 조성뿐만 아니라 도시공원·녹지 계획의 수립 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식재 전략으로 고려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reen structure and airborne PM10 concentration (1.5 m above ground) in roadside buffer green zones to identify structural factors of buffer green that affect PM10 concentration. PM10 concentration measured in 10 buffer green zones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PM10 concentration on the roadside, and the relative PM10 index (RPM10) was calculated. A positive value for RPM10 means a lower PM10 concentration of green space, while a negative value means a higher PM10 concentration of green space. The results of measuring PM10 concentration showed that the PM10 concentration on the green area was generally higher than on the roadside. The correlation analysis of green structure variables showed that RPM10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hrub layer coverage, total tree cover, and shrub layer volume per m2, while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confirmed with average tree height, bole height, planting density, tree layer coverage, and volume per m2. Moreover, RPM10 in areas where the space behind the buffer green area was blocked was lower than in areas where it was empty.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RPM10 in areas where the space behind the buffer green area was blocked was lower than in areas where it was empty (B=-.123, P=.000) and that RPM10 increased as the shrub layer volume (B=.674, P=.004) and bole height (B=.072, P=.015) increased. The higher PM10 concentration measured in the buffer green zone is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PM10 being blocked and stagnant in the green zone. Stagnant PM10 is removed inside the green area, contributing to reducing external PM10 concentrat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planting shrubs and arranging low bole height trees and sub-trees is advantageous in blocking the flow of fine particulate matter. These results can be considered for a vegetation strategy to reduce fine dust concentrations when establishing future roadside buffer green spaces, as well as urban park and green space pl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