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 장사상이 가지는 미술교육적 함의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81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는 고대 동양의 노장사상을 통한 예술정신을 살펴보고, 기존 미술교육학의 한계를 드러냄과 동시에 노장의 예술정신이 기존 미술교육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가능성이라는 측면에서 현대 미술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노장 예술정신의 근원이 되는 道의 본질과 노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장자의 소요유(逍遙遊) 예술정신을 탐구한 바, 기존의 미술교육학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정신성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발견하였는데 첫째, 심재(心齋)와 좌망(坐忘)의 미적체험으로 자유를 획득할 수 있으며 둘째, 무위자연(無爲自然)적 태도를 통해 어린이의 정신성을 회복할 수 있으며 셋째, 삶이 곧 道가 되는 미술교육으로 어린이들이 ‘나’를 발견하고 삶을 창조적으로 만들어 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노장 예술정신은 현대 미술교육에서 간과한 미술의 내재적 가치를 드러냄으로서 어린이들이 정신성을 회복하여 마음의 자유와 창조적 삶을 만들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저자
  • 최명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