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콩 종간교잡에서 주요형질의 유전분석

Genetic Analysis of Agronomic Characters in Interspecific Cross in Soybe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690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초록

재배종과 야생종의 인공교잡 분리세대에서 주요형질들의 변이와 유전력을 조사하여 야생종을 이용한 콩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두 인공교배의 집단에서 100립중을 제외한 나머지 조사 형질들은 초월분리를 보였다. 과 의 평균 개화일수는 양친의 중간정도로 정규분포를 보였다. 백립중의 평균은 은하콩, 소백나물콩 두 조합 각각 6.2, 5.7g으로 소립종 쪽으로 치우쳤으며, 입중의 분포는 소립종 쪽으로 치우친 정규분포를 보였다. 의 평균수량은 양친의 중간정도이었다. 의 덩굴성은 두 조합 각각 6.4, 6.6이었으며 평균은 은하콩 조합이 6.0으로 덩굴성 쪽으로 치우쳐 덩굴성이 부분적인 우성을 보였으나, 소백나물콩 조합에서는 4.6으로 은하콩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경장, 개화일수, 개체당 협수, 수량, 도복, 덩굴성 등은 높은 광의의 유전력을 보였으며 100립중은 협의의 유전력이 은하콩 조합에서 52.3%, 소백나물콩 조합에서 65.6%로 평가되어 초기세대에서의 선발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information of varietal development using wild soybean through investigation of variation and heredity of major agronomic characters in generation of interspecific cross between Glycine max and G. soja. In segregating populations of two crosses, all characters observed except 100-seed weight showed transgressive segregation. Days to flowering showed normal distribution; mean days to flowering in , and was approximately mean of parent. Mean of for 100-seed weight was 6.2g and 5.7g for Eunhakong/KLG10084 and Sohaegnamulkong/KLG10084, respectively, which were somewhat skewed distribution to small seeded parents. Mean seed yield of was about mean of two parents. Degree of vine was 6.4 and 5.7 in for two crosses but it was 6.0 in for Eonbakong/KLG10084, which revealed the degree of vine as partial dominance while 4.6 for Sobaegnamulkong/KLG10084, somewhat different results from the previous cross. Broad-sense heritability() for plant height, days to flowering, pods per plant, seed yield, and degree of vine was comparatively high and narrow-sense heritability() for 100-seed weight which is the moot important character in the development of small seed-size sprout soybean was 52.3% and 65.6% for Eunhakong/KLG10084 and Sohaegnamulkong/KLG10084, respectively, which indicated that selection for the character in early generation was possible.

저자
  • 이정동(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명과학부)
  • 권택화(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명과학부)
  • 조호영(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명과학부)
  • 황영현(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명과학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