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자리파리에 의한 양파被害의 圃場內 分布樣式과 被害量 推定을 위한 標本抽出 計劃 KCI 등재

Within Field Distribution Pattern and Design of a Sampling Plan for Damaged Onions by the Onion Maggot, Hylemga antiqua Meigen (Diptera : Anthomyiida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915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고자리파리 유충(幼蟲)에 의(依)한 양파의 피해(被害)를 포장(圃場)에서 1984년(年) 4월(月) 11일(日)부터 5월(月) 21일(日)까지 10일(日) 간격(間隔)으로 전주(全株) 조사(調査)를 하여 피해지도(被害地圖)를 작성(作成)하였다. 지도(地圖)를 양파 80주(株)를 하나의 단위(單位)로 하는 사각형(四角形)으로 구분(區分)하여 빈도분포표(頻度分布表)를 작성(作成)하고 Chi-square test에 의(依)하여 Poisson분포(分布)와 부(負)의 이항분포(二項分布)를 적용(適用)해 본 결과(結果) 부(負)의 이항분포(二項分布)가 전(全) 생육기간(生育期間)에 걸쳐서 적합(適合)하였다. 주변효과(周邊效果)는 지도(地圖)를 중앙부(中央部)와 주변부(周邊部)로 이분(二分)한 후(後) 피해주율(被害株率), 분산(分散)과 평균(平均)의 비(比)를 비교(比較)해 본 결과(結果) 주변부(周邊部)의 그것이 중앙부(中央部)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도(地圖)를 다시 비슷한 크기의 4개(個) 구(區)로 나누고 각(各) 구내(區內)의 표본단위(標本單位)(양파 80주(株)를 다시 4등분(等分)하여 2차단위(次單位)로 하였다. 시기별(時期別)로 각(各) 구(區)에서 5개(個)의 표본단위(標本單位)를 임의(任意)로 택(擇)하고 분산분석(分散分析)하였다. 그 결과(結果) 최적(最適) 표본수(標本數)는 2개(個)의 2차단위(次單位)를 택(擇)할 경우(境遇) 5%의 오차(誤差) 범위(範圍)에서는 개(個), 10%의 오차(誤差) 범위(範圍)에서는 개(個)의 표본단위(標本單位)를 택(擇)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Every plant in onion field was inspected for damages by the onion maggot. Maps were constructed every ten days to show which plants were infested and which were not from April 11 to May 21, 1984. The maps were sectioned into squares one of which contains 80 onion plants and the counts of damaged onions in each square were fitted to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 and tested by chi-square. We argue that the satisfactory fitness of the expected negative binomial [P(2)>0.05] provided a useful descript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damaged onions. Edge effect was tested by the differences of damage ratio and variance/mean ratio () between edge and center part. The result showed that the damage ratioes and variances of all the periods, values after May 1 were greater in edge part than in center part. Again, the maps were sectioned into four blocks and the squares (sample units) were sectioned into quadrants. By application of the variance component technique, it was suggested that sample units for 5% sampling error and sample units for 10% error should be sampled randomly to estimate the damage ratio when quadrants were inspected.

키워드
저자
  • 朴晶圭
  • 玄在善
  • 曺東進
  • 李基成
  • 河栽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