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edes aegypti L. 난성숙과정중 생성되는 Mitochondrial Malate Dehydrogenase의 정제 및 특성 KCI 등재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tochondrial Malate Dehydrogenase during Ovarian Developmentin Aedes aegypti 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955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암컷 Aedes aegypti의 난성숙과장에서 새로 나타나는 malate dehydrogenase(L-malate, oxidoreductase, EC 1.11.37, MDH)를 DEAE-Sepharose, Sulphonyl-Sepharose, Cibacron 3FGA affinity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리정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자량은 70,000 dalton정도의 dimer 형태로 되어 있으며 최적 pH는 malate-oxaloacetate반응에서는 pH 9.0~9.2, oxaloacetate-malate 반응에서는 pH 9.8~10.2이었다. 정재된 MDH는 mitochondria에 위치하고 있으며 기질로서 malate에 대한 Km값의 경우 M, oxaloacetate에 대한 Km 값은 M, NAD에 대한 Km값은 M이며 NADH에 대한 Km 값은 M 을 보이고 있으며 각각의 기질에 의한 저해현상을 보이고 있었다. 기질에 대한 Km값을 부분적으로 분리한 DEAE-sepharose에 흡착된 원형질 MDH와 비교한 결과 malate에 대한 Km 이 으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정제된 MDH는 cltrate, -ketoglutarate, ATP 등의 대사산물에 의하여 저해작용을 받았다. ATP 및 citrate에 의한 MDH 활성도 저해는 oxaloacetate-malate반응에서 보다는 malate-oxaloacetate 반응에서 덜 일어났다. Oxaloacetate-malate 반응의 경우 ATP에 의하여저해작용이 완전히 일어났으며 malate-oxaloacetate반응에서는 cltrate에 의하여 저해작용이 일어나지 않았다. 흡혈 후 생성되는 MDH는 난소에서 합성되며 흡혈 수 난소에서 18시간 때부터 활성도가 나타나 48시간 이후 최고 활성도가 유지되는데 TCA회로의 isocitrate dehydrogenase 의 경우 난소내에서의 활성도 변화가 MDH의 변화 양상과 같았다.

Malate dehydrogenase in the mosquito ovary after a blood meal, Aedes aegypti, was purified and characterized. MDH purification steps involved DEAE-Sepharose, S-Sepharose and Cibacron blue affinity chromatography. The purified MDH was 70,000 daltons in molecular weight and was a homodimer consisting of tow identical subunits. Optimal activity of purified MDH was obtained pH 9.0-9.2 in malate-oxaloacetate reaction and pH 9.8-10.2, in oxaloactate-malate reaction. With obtained pH 9.0-92 in malate-oxaloacetate reaction and pH 9.8-10.2, in oxaloactate-malate reaction. With malate as substrate, purified mitochondrial MDH (1.28 M) had lower Km value than cytoplasmic MDH (8.92x M). MDH activity was inhibited by citrate, -ketoglutarate, and ATP. Inhibition of MDH activity by ATP and citrate was less in malate-oxaloacetate reaction and in oxaloacetate-malate reaction. MDH activity was completely inhibited by ATP in oxaloacetate-malate reaction and not inhibited by citrate in malate-oxaloacetate reaction. Temporal activity change of MDH is similar to that of isocitrate dehydrogenase in the ovary after blood feeding, their activities in the ovary began to rise at 18 hours after a blood meal, and reached at the maximal level at 48 hours.

저자
  • 김인규
  • 이강석
  • 정규회
  • 박영민
  • 성기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