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과채류 시설재배지 식물기생선충 분포 및 효소표현형을 이용한 뿌리혹선충의 동정 KCI 등재

Distribution of Plant-parasitic Nematodes in Fruit Vegetable Production Areas in Korea and Identification of Root-knot Nematodes by Enzyme Phenotyp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97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국내 과채류 재배단지의 뿌리혹선충 발생에 관한 조사를 위해 1997년부터 1999년까지 경북 성주군을 중심으로 경기 여주군, 경남 함안군, 충북 청원군 등에서 과채류재배지의 토양을 채집하여 식물기생선충 종류와 밀도 조사, 뿌리혹선충 암컷의 효소표현형에 의한 종 동정을 실시하였다. 경북 성주군의 185개 참외재배 포장 중 99개 포장(53.5%)에서 뿌리혹선충이 검출되었고 나선선충류(Helocotylenchus spp.)는 7개, 둥근꼬리선충류(Aphelechus spp.)는 43개, 환선충류(Criconematid)는 26개 포장에서 검출되었다. 뿌리혹선충 암컷의 Malate dehydrogenase 및 Esterase 등 2가지 효소표현형을 이용하여 한국에 분포하는 주요 4종의 동정이 가능하였다. 효소 표현형을 이용하여 성주군 선남면에서 채집된 13개 시료 중 당콩뿌리혹선충으로 동정된 것이 6포장, 고구마뿌리혹선충 5포장이었으며 2개 포장은 두 종의 혼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주군 초전면의 6개 포장 시료 중 4개가 땅콩뿌리혹선충, 1개가 고구마뿌리혹선충으로 동정되었으며 1포장의 뿌리혹선충은 효소표현형이 미동정 종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여주군의 참외재배단지에서는 14개 조사대상 중 당근뿌리혹선충이 11개 포장, 땅콩뿌리혹선충이 3개포장으로 당근뿌리혹선충이 우점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e the distribution of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spp.) in fruit vegetable production areas in Korea.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greenhouses in Sungju (Kyungpook), Yeoju (Kyungki), Haman (Kyungnam), and Chungwon (Choongpook) provinces in 1997-1999. Plant parasitic nematodes were separated for density counting and some of the root-knot nematodes were identified using enzyme phenotypes of malate dehydrogenase (MDH) and esterase (EST). Among the 185 farms in Sungju province, Meloiciogyne spp. were detected from 99 farms (53.5%). Other plant parasitic nematodes detected were, Helic~otylmchuss pp. from 7 farms, Aphelenchus spp. from 43 farms, and Criconematids from 26 farms. Using the female enzyme phenotypes of MDH and EST. the four major root-knot nematodes in Korea, M. incognitc~(M I), M. uretznri~(M~ A), M. huplu (MH), and M. juvunica, could be identified. In the enzyme phenotype identification of 13 populations collected from Sunnam in Sungju province, 6 populations were identified as MA, 5 populations were identified as MI, and 2 populations were mixed with MI and MA. Among the 6 populations from Chojun in Sungju province. 4 populations were MA, one population was MI, and one population showed enzyme phenotypes of unknown species. Among the 14 populations of Yeoju province, l I populations were MH and 3 populations were MA.

저자
  • 조명래
  • 이봉춘
  • 김동순
  • 전흥용
  • 임명순
  • 이정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