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MR 검사실 직류전원 조명 시스템 교체의 유용성에 대한 고찰 KCI 등재

Study on the Usefulness of Replacing Direct Current Lighting System in MR Roo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004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초록

MR 검사실에서 내부 조명으로 사용되는 LED 전구의 안정기에서 유발되는 노이즈는 영상에 지퍼 인공물을 유발하기 때문에 노이즈 제거용 필터가 삽입된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필터가 삽입된 LED 전구의 대안으로 제시된 직류전원설비 조명시스템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SIEMENS의 1.5T MRI 장비와 16채널 복부 코일과 16채널 척추 코일을 사용하여 2000cc의 물 팬텀 2개를 대상으로 실험 하였다. 선행 실험은 내부 조명으로 노이즈 필터가 없는 LED 전구를 8개 배치한 상태에서 강자장을 유발시키기 위해 확산강조영상을 매일 1회씩 총 20회 진행 하였다. 후속 실험은 SMPS를 검사실 외부에 설치하여 직류 공급 방식으로 변경한 후 동일하게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조명 시스템 교체 전과 후로 인공물 발생 유무를 분석하였다. 방사선사 3인이 인공물의 발생 정도를 측정한 결과 교체 전 30%의 직선형의 지퍼 인공물이 발생했고, 총 35개 단면 중 8개(22.8%)에서 나타났고 1개의 영상 단면 당 평균 4개가 나타났다. 하지만 교체 후 20번의 실험에서는 인공물이 발생하지 않았다. 관찰자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p≤1.0) 교체 전과 후의 인공물 발생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 SMPS를 설치하여 촬영실 외부에서 직류전류를 공급하여 일반 LED 전구를 사용한다면 인공물의 감소와 유지 비용적인 측면에도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usefulness of upgrading DC power device for lighting system in MR room would be while using general LED bulb. The test was conducted as followed: using SIEMENS’1.5T MAGNETOM Avanto, 16ch body matrix coil and 16ch spine coil, two sets of 2000cc water phantoms. As a preliminary test, 8 LED bulbs having no noise filters were put around the magnet for the internal lighting and 20 diffusion tests were conducted 20 times a day in order to form a strong magnetic field. As a subsequent test, the internal lighting power supply system or SMPS (Switch Mode Power Supply) was installed outside and was upgraded for the supply of DC power. Then, the same 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whether an artifact occurs or not. Three radiological technologists measured whether an artifact occurred and results showed that zipper artifacts occurred with the probability of 30% before upgrading. The occurrence rate was 22.8% on average and the number of artifacts found on average per slice was 4. After replacing the lighting system to DC power device, it showed zero zipper artifacts. As for the statistics, the X2 test through the crossover analysis and Fisher's exact test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observer difference with p≤1.0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fter and before upgrading with p<0.000. In conclusion, if SMPS is installed to supply the DC power from outside of the MR lab and a general LED bulb is used, it would be effective to reduce zipper artifact and reduce the cost of the device.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검사 대상 및 검사 조건
    2. 실험 방법
    3. 영상 평가 및 분석
Ⅲ. 결 과
    1. 선행 실험 결과
    2. 후속 실험 결과
    3. 통계 결과
Ⅳ.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황인수(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영상의학과) | Hwang In Su (Inje University Sang Gye Paik hospital)
  • 박용훈(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영상의학과) | Park Yong Hun (Inje University Sang Gye Paik hospital) Corresponding Author
  • 이용대(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영상의학과) | Lee Yong Dae (Inje University Sang Gye Paik hos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