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참여형 공원계획을 위한 주민요구도 분석 KCI 등재

Assessment of Residents’ Needs for Participatory Park Plann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20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주민참여형 공원계획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공원계획 단계에서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하 기 위한 목적으로 근린공원 인근 주민들을 대상으로 공원 조성에 대한 주민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남원시 공원 두 곳을 선정하여 각 공원의 요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된 내용 을 바탕으로 공원 성격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고 공원 조성방향 설정을 위하여 항목별 중요도와 응답자의 인구특성에 따른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공원 조성의 방향은 근린형과 관광지형의 이분형 범주를 사용하였으며 중요도는 5단계 리커트 척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공원조성방향은 인구특성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단순 근린공원보다 는 관광지 기능의 복합공원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주민은 근린 생활공간으로서 서비 스 제공 요구도가 높은 반면 상인은 관광객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요구도도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구특성에 따른 다양한 요구가 반영된 공원계획을 통해 주민참여형 공원계획 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resident participatory park planning and to reflect the needs of the residents at the park planning stage. Two parks in Namwon were selected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needs of each park. Based on the surveyed contents, a cross-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ark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each item and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park development. The direction of the park development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f neighborhood type and tourist area type, and the importance of the five-stage Likert scale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the demand for a complex park with a tourist function was very high as for the direction of park creation, but the demand for the service provision as a neighborhood living space was high among residents, whereas the merchants did not want to attract tourists. The demand for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is also high. A resident participatory park planning should be implemented through a park plan that reflects various deman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주민참여형 계획
    2.2 주민참여형 공원계획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설문지 작성
    3.3 조사방법
    3.4. 분석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공원의 성격
    4.2. 공원 조성의 기본방향
    4.3. 공원 기능의 중요도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양병선(한국건설기술연구원) | Byungsun Yang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정나라(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Nara Jeong (Urban Agricultur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D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