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omparison of the Prevalence of Dry Eye in Soft Contact Lens Wear and Corneal Refractive Surgery KCI 등재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과 각막굴절교정 수술에서 안구건조 유병률 비교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5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OSDI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과 각막굴절교정수술 응답자 사이에서 안구건조 유병률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또한 정시안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두 그룹을 비교하였다. 안구건조증은 OSDI 설문지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안구건조증은 OSDI 점수에 따라 경도(13~22), 중등도 (23~32), 중증(33~100) 건성안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 콘택트렌즈 착용에 62명, 굴절교정수술에는 49명, 대조군에 68명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OSDI 점수는 두 그룹 모두 대조군 보다 높았으나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과 굴절교정수술 사이에 안구건조 유병률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안구건조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53.2% (n=33), 굴절교정 수술자의 53.1%(n=26), 대조군은 30.8%(n=21)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과 각막굴절교정수술 모두에서 안구건조증의 유병률은 50% 이상으로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고, 두 그룹의 안구건조 유병률은 거의 같게 나타났다.

Purpose : To compare the prevalence of dry eye between soft contact lens wear and corneal refractive surgery respondents based on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questionnaire.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 with university students. Also, a control group consisting of emmetropes was used to compare the two groups. Dry eye was assessed using the OSDI questionnaire. Dry eye according to the OSDI score was classified as mild (13~22), moderate (23~32), or severe (33~100).
Results : 62 respondents in contact lens wear group, 49 respondents in refractive surgery group, and 68 responde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included. The OSDI scores in both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dry eye between contact lens wear and refractive surgery groups. Diagnosed dry eye was 53.2% (n=33) of respondents in soft contact lens group, 53.1% (n=26) in refractive surgery group, and 30.8% (n=21) in control group.
Conclusion : In the present study, the prevalence of dry eye in both soft contact lens wear and refractive surgery was more than 50%,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prevalence of dry eye in the two groups was almost the same.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1. 대상자의 데이터
Ⅳ. 결 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Jeong-Mee Kim(극동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정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