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소년의 여가참여 빈도에 따른 활동 참여 유형과 유형별 주관적 복지감(Subjective well-being)과 행복감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중심으로 KCI 등재

Adolescent Leisure Participation Patterns and Analysis of Difference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Happiness by Type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53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청소년의 여가참여 빈도에 따른 활동 참여 경향을 잠재프로파일 분석 (LPA)을 통해 잠재계층을 유형화 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여가참여 빈도에 따른 활동 유형의 각 잠재계층에 따라 청소년의 주관적 복지감과 행복감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파 악하여 청소년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연구방법 : 국내 청소년의 여가참여 빈도에 따른 참여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 공한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 청소년활동 참여실태조사 9차년도(2018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내 청 소년 9,041명의 자료를 분석 하였다. 본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실시하였고, 도출된 각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χ2 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청소년의 여가참여 빈도에 따른 참여 유형의 잠재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 최적의 잠재계층의 수는 5개로 확인 되었다. 분류된 잠재계층을 ‘소극적 참여형’, ‘사회친목지향형’, ‘정적여가지향형’, ‘미술음악 지향형’과 ‘적극적 참여형’로 명명하였다. 또한 여가참여 빈도에 따른 참여 유형의 행복감 및 주관적 행 복감의 차이를 분석 한 결과 잠재계층별 주관적 복지감과 행복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여가활동참여 유형을 분석 하였고, 이러한 여가활동 의 참여 경향에 따라 각 개인의 주관적 복지감과 행복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을 밝 혔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정서적 건강 증진과 삶의 만족도를 위해서 향후 청소년의 여가활 동참여와 관련된 중재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ubgroups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group. In addition,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well-being and happiness of adolescents according to each latent class and thereby provide basic evidenc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Methods: To examine the types of leisure participation among adolescents, 9,041 data on a student panel from the 9th annual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 Panel Survey (KCYPS)’ were used in this study. Using these data, a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conducted. In addition,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leisure participation, a derived chi-square test and ANOVA were used, and whe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monstrated, Scheffe's method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Results: As the results indicate, the leisure participation types among adolescents were identified as having five latent classes: passive participation, socializing, passive leisure participation, art and music particip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types. Moreover, a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difference in happ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 to leisure participation types indicat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appiness based on the latent class.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existence of five leisure participant types in adolesce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n individual's happ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pattern of their leisure activiti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evidence for developing interventions and services related to adolescent leisure activities, thereby improving the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방법
    2. 연구 도구
    3. 자료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청소년의 여가참여 빈도에 따른 활동참여잠재계층 확인 및 유형화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박강현(백석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조교수) | Park Kang-Hyu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ivision of Health Science, Baekseok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 하성규(세명대학교 보건바이오대학 작업치료학과 조교수) | Ha Seong-Kyu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and Biology, Semyung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