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MZ 세대 번아웃에 미치는 디지털시 치유 효과에 관한 연구 KCI 등재후보

A Study on the Healing Effect of Digital Poetry on Burnout of MZ Gener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5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자연치유연구 (The Journal of Natural Healing)
초록

본 연구는 정서적으로 불안정한MZ세대에게 나타나는 번아웃을 치유하기 위한, 디지털시 동영상 구독이 번아웃 치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MZ세대 3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 및 회수하였다. 18개 문항으로 Likert 5점 척도로 구성된 번아웃 자가진단표 점수가46점 이상인 80명을 심층면접을 통해 선정하였다. 이중에서 3개월 동안 디지털시 프로그램에 구독하고자 하는 40명을 실험집단으로 분류하고, 디지털시 프로그램에 구독하기를 원하지 않는 40명을 대조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직업, 스트레스 요인, 번아웃 치유 효과가 번아웃에 미치는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SPSS 27.0을 이용하여 교차분석, 독립표본 T-검정,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직업과 번아웃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시를 구독한 실험집단은 구독하지 않은 대조집단에 비해 번아웃 상태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셋째, 번아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실감, 무기력감, 부담감, 피로감, 우울감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상실감과 부담감이 전체의 80.395%로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선정된 요소인 상실감과 부담감을 기반으로 한 치유모델 개발을 통하여, MZ 세대의 스트레스 개선으로 번아웃을 극복하는 디지털 치유 프로그램 구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gital poetry YouTube subscription on burnout healing for the emotionally unstable MZ generation.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to 300 MZ generation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Of the 18 questions composed of a Likert 5-point scale, 80 people with a burnout self-diagnosis score of 46 or higher were se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rty people who wanted to subscribe to the digital poetry program for 3 months were classifi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40 people who did not want to subscribe to the digital poetry program were classified as the control group. First,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occupation and burnou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subscribed to the digital poem ha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tate of burnou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subscribe. Third, the factors influencing burnout were shown in the order of loss, lethargy, burden, fatigue, and depression, of which the feeling of loss and burden was 80.395% of the total. Therefor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mposition of a digital healing program that overcomes burnout by improving the stress of the MZ gener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healing model based on the sense of loss and burden, which is the selected element.

목차
요약
ABSTRACT
Introduction
Study method
    1. Study Digne
Participants
Measuring Tool
Analysis Method
Results
    1. Job to burnout connection
    3. Stress factors for burnout
    4.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tepwise method
Discussion & Conclusion
References
저자
  • 이승현(박사 과정, 윤정 선생의 생기손) | Seunghyun Lee (Saenggi Yakson of YoonJeong Seonsaeng, 101, 45, Jeongwoo 2-gil, Naeson-dong, Uiwang-si, Gyeonggi-do,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임동호(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학과 교수) | Dongho Lim (Dept. of Naturopathy, Dongbang Graduate University, 60, Seongbuk-ro 28-gil, Seongbuk-gu, Seoul 02838,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