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민주화운동과정에서 대학생의 역할 : 4・19혁명을 중심으로 KCI 등재

College Students’ Role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Movements In Korea : Focus on The April 19 Revolu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781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한국의 대표적인 민주화운동은 4.19혁명과 부마항쟁, 5.18광주민주화 운동과 6월 항쟁이라고 할 수 있다. 그 가운데 1960년 4.19혁명은 이승 만 장기집권과 제1공화국을 붕괴시켜 한국민주주의를 정착시키는데 선구 자적 역할을 하였다. 4.19혁명은 이승만 제1공화국을 무너뜨린 후 민주 당 장면 정권을 등장시켜 제2공화국을 출범하게 하였다. 하지만 제2공화 국은 민주당의 무능과 리더십 부재로 1961년 5.16 박정희 군사쿠데타세 력에 의해 권력을 찬탈당하면서 무너졌다. 2.28민주운동은 4.19혁명의 도화선이 되었고, 3.15부정선거는 4.19혁명의 기폭제로 작용하여 전국 고등학생들의 규탄과 반대시위가 확산되면서 대학생들이 1960년 4월 17 일~26일까지 제1공화국 붕괴와 민주화운동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 였다. 4.19정신은 부마항쟁과 5.18광주민주화운동, 1987년 6월 항쟁으로 계승되어져 왔다.

It is considered that representative democratization movements in Korea are the April 19 Revolution, the Busan-Masan Democratic Movement,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June Struggles. Of those, the April 19 Revolution collapsed Lee Seung-Man government and the First Republic, which led to settlement of democracy in Korea. As the April 19 Revolution collapsed the 1st republic of Korea led by Lee Seung Man, the 2nd Republic, the government led by the Minjoo Party began. However, the 2nd Republic’ regime was seized by the May 16 Military Coup led by Park Jeong Hee due to the party’s incompetence and poor leadership. As the February 28 Democratic Movement put fuse to the April 19 Revolution and the March 15 Rigged Election worked as a catalyst for the April 19 Revolution, college students played an leading role in collapse of the 1st Republic and process of the democratic movement from April 17 to 26, 1960. The April 19 spirit was inherited to the Busan-Masan Democratic Movement,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June Struggles of 1987.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4.19혁명에 대한 이론적 배경
    1. 4.19혁명의 전개과정
    2. 민주당 조병옥 대선후보의 급서와 3.15부정선거
    3. 4.19혁명과 제2공화국 와해
    4. 4.19혁명 참여세력
    5. 4.19혁명의 역사적 의의
Ⅲ. 4.19혁명 당시 대학생 행동변화 요인분석
    1. 국내적 요인
    2. 국제적 요인
Ⅳ. 4.19혁명에서 대학생의 역할
    1. 3.15부정선거 쟁점화에 주도적 역할
    2. 이승만정권 퇴진운동에서 핵심적 역할
    3. 4.19혁명과 이후 한국민주화운동에서 대학생의 역할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주삼(대진대학교) | Kim, JOO-SAM (Daeji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