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4차 산업혁명 시대 역량 규명을 위한 연구 동향 분석 - 학계와 산업계 구분에 따른 역량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nalysis of Research Trends to identify the competenc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Study on the competency Network Analysi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cademy and industry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88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및 디지털 전환 역량과 관련된 176개의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빈도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메타분석 연구이다. 국내외 기관·학술자료·도서 등의 선행연구로부터 역량을 추출하고 통제 및 범주화 작업을 거쳐 최종 역량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학계와 산업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의사소통'과 '창의성', '협업 능력'에 대한 역량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학계에서는문제 해결과 문제 발견이 업계에서는 ICT 기술과 융합적 사고력 등이 뒤를 이었다. 또한, 연결 중심성, 매개 중심성, 위세 중심성의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결 중심성에서는 의사소통과 창의성역량이 학계와 산업계 모두에서 높은 중심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세 중심성 분석 결과 학계에서는 의사소통, 문제 해결, 창의성, 협업 능력, 문제 발견 역량이, 산업계에서는 창의성, 자기주도성, 유연성, 리더십, 문제 해결이 상위 역량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요구되는 역량들을 학계와 산업계를 기준으로 그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역량 간의 관계성을 확인함으로써 추후역량 연구의 방향성과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a meta-analysis study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based on 176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competencies. Competencies were extracted from previous studies such as domestic and foreign institutions, academic data, and books, and final competencies were derived through control and categorization, and these were divided into academia and indust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apabilities for 'communication', 'creativity', and 'collaboration ability'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nd following the previous competencies, the academic community showed a high frequency of problem-solving and problem-discovering, and the industry showed a high frequency of convergent thinking with ICT technology. In addition, network analysis of degree centrality,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was conducted. As a result, in degree centrality, communication and creativity competencies showed high centrality in both academia and industry.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eigenvector-centered analysis,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creativity, collaboration ability, problem discovery ability in academia, and creativity, self-directedness, flexible leadership, and problem-solving were derived as upper competencies in the industry.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academia and industry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future competency research by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ies.

저자
  • 김구종(한양대학교) | Koo jong Kim
  • 노아영(한양대학교) | No Ah-Young
  • 고유진(한양대학교) | You-jin Ko
  • 송영수(한양대학교) | Young Soo So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