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3.236.70.233
기관회원 로그인 | 개인회원 로그인 | 관리자 | 회원가입
조선시대 수장(收藏)과 수장가(收藏家): 미술사적 의미와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황정연
미술이론과 현장 [KCI 등재] | 제33호 | pp.5-35 | 2022년 6월 | 한국미술이론학회
‘이응노의집’과 새롭게 이응노 활용하기: 창조적 파괴의 개념을 통해 본 이응노의 예술세계와 ‘이응노의집’의 미래경영
엄광현
미술이론과 현장 [KCI 등재] | 제33호 | pp.37-62 | 2022년 6월 | 한국미술이론학회
‘예술의 종말’ 그리고 ‘종말의 예술’: 아서 단토의 《9/11의 예술》전시에 대한 소고
최종철
미술이론과 현장 [KCI 등재] | 제33호 | pp.63-84 | 2022년 6월 | 한국미술이론학회
주름, 여성, 노년: 15-16세기 독일미술과 ‘벗은 노파’
전한호
미술이론과 현장 [KCI 등재] | 제33호 | pp.85-111 | 2022년 6월 | 한국미술이론학회
1970년대 중반 한국화단의 평면 양상: 반복 행위가 표상된 드로잉을 중심으로
강혜승
미술이론과 현장 [KCI 등재] | 제33호 | pp.113-139 | 2022년 6월 | 한국미술이론학회
임동식 예술론: 포스트휴머니즘과 에코페미니즘 사이
손영옥
미술이론과 현장 [KCI 등재] | 제33호 | pp.141-164 | 2022년 6월 | 한국미술이론학회
더 크고 새로운 시야를 위하여
성완경
미술이론과 현장 [KCI 등재] | 제33호 | pp.165-174 | 2022년 6월 | 한국미술이론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