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18.232.31.206
기관회원 로그인 | 개인회원 로그인 | 관리자 | 회원가입
『마하지관』의 業相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이해
차차석, 김신옥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20집 | pp.11-40 | 2022년 12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관음(觀音)의 자비와 심리치유적 요인 고찰 - 「관세음보살보문품」을 중심으로-
김선화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20집 | pp.41-66 | 2022년 12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묘법연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에 나타난 보살 사상의 분석심리학적 고찰
김명선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20집 | pp.67-96 | 2022년 12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초기불교의 사무량심 수행과 MSC 프로그램 비교 연구
이광숙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20집 | pp.97-138 | 2022년 12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드라마를 통한 불교적 마음치유 - 불교의 눈으로 드라마 <나의 아저씨> 읽기 -
최원섭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20집 | pp.139-166 | 2022년 12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위기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 그릿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고민조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20집 | pp.167-198 | 2022년 12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조선시대 오대산의 왕실불교와 원당의 운영
탁효정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20집 | pp.201-233 | 2022년 12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 목선재동자입상 연구
심주완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20집 | pp.235-265 | 2022년 12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오대산 상원사 제석천상의 도상과 봉안처
유근자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20집 | pp.267-313 | 2022년 12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오대산 상원사 영산전 존상 연구 –소조상을 중심으로-
이분희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20집 | pp.315-341 | 2022년 12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제작자와 도상적 연원
손영문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20집 | pp.343-387 | 2022년 12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오대산 상원사 불복장 저고리에 관한 고찰
박윤미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20집 | pp.389-415 | 2022년 12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三諦는 二諦와 相違하는가?
서대원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20집 | pp.419-444 | 2022년 12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능엄경』의 초발심 이결정의와 육근수행에 대한 고찰
임병정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20집 | pp.445-465 | 2022년 12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초의의 禪茶觀으로 본 『東茶頌』 이해
문경순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20집 | pp.467-497 | 2022년 12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한국 불교계의 염불교육과 교육적 특징 고찰
이연경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20집 | pp.499-522 | 2022년 12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한국 불교문헌에 보이는 만두(饅頭)와 국수(洗麵)에 대한 의식(意識)변화 연구
이선이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20집 | pp.523-551 | 2022년 12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고려시대 만두 문화의 두 흐름 -불교사찰의 채식만두 & 왕실, 민간의 육식만두-
공만식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20집 | pp.553-598 | 2022년 12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在南宗禪特徵性思想中培養的中國傳統思想考察
장동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20집 | pp.599-618 | 2022년 12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論天臺宗思想及其對現代社會的影響研究
예웬상
불교문예연구 [KCI 등재] | 제20집 | pp.619-640 | 2022년 12월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