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도시·산업지역의 넓은 불투수 지역뿐만 아니라 좁은 지역의 도로·교량이 통과되는 하천유역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원을 초기우수로부 터 저감시킴으로써 하천수질의 오염을 줄일 수 있는 저감장치를 개발하여 실용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 취득한 자료를 기반으로 현장 성능시험용 저감장치를 개발하여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와 부유물질(SS)의 저감효율에 대한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성능분석 결과는 시간구간별 시험항목의 분석에서 그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결과는 국립환경 과학원에서 제안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요구 저감효율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실무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 단위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시기 평가 방법을 개발하였다. 강수의 지하수위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한계 침투량을 고려한 강우이동평균 방법을 통해 지하수위와의 상관계수를 산정하였다. 취약 시기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평가 기준에 대한 가중치를 엔트로피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강수와의 상관계수와 산정된 가중치를 이용한 주 단위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시기 평가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한 방법을 통하여 소규모 행정구역을 대상으로 취약시기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방법은 지역적일뿐만 아니라 계절적인 지하수자원의 효율적 관리 대책 수립의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 supervis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mediation of the Leader-member exchange (LMX) in the hospital organization,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the LMX. Through this study, we will provide basic data on the aspects of HR to enhance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organizational civic behavior in hospital organizations, and present suggestions on academic contribution and effective organizational operation measur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C and OCB of the organization member, which is proposed to secure more active and high competitiveness in the recent changing medical environment, with multi-regression and B&K(1986) method. For this purpose, 653 employees of senior hospitals in Seoul and Kyeong-In area were survey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Each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7-point scale, and each hypothesis was testified by multiple leaner regression and by BK method for testifying mediator effect.
Result -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ale and non-medical staff had higher recognition level than the medical staff in the LMX,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the senior management or more than 5 years’ experience group,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recognized higher than the group of subordinate managers. Second, authentic leadership has a positive influence on LMX,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LMX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LMX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BK method, LMX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all the members of the hospital organization that were lacking served as positive factors for the relationships of authentic leadership and LMX, and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t is expected that the hospital organization will be able to suggest such as the organizational approach to expect hig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entering on authentic leadership ability as psychological capital.
The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 size and organizational actions on adopting social media for corporate reputation management. The sample group of 198 companies is selected with a simple random sample method from the New York Stock Exchange (NYSE) listings: Sixty nine companies were from the Fortune 500 listings, seventy one companies from the NYSE midsize capitalization and fifty eight companies from the NYSE small capitalization listings. This study employs cross tabulations and Chi-square analysis, and the Kruskal-Wallis that enables the comparison of three samples that are independen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1) large firms have more social media ownership than small firms, (2) large firms respond to social media posts at a greater frequency and quickly than small firms, and (3) firm size is less likely associated with response styles to social media for online reputation management. The results show that reply time and response styles of organizations to social media customers in the 2015 survey has no significant change compared to that of 2011. There appears to be a pervasive lack strategic framework as most firms in the study were found not to be adequately monitoring or leveraging social media communication for their reputation management.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T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ternet, products become smart and able to collect, process and produce information and can think of themselves to provide better service to consumers. However,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product is still sparse. In this paper, we report the systemic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the perceived product smartness associated with smart product. To develop product smartness scale, this study follows systemic scale development processes of item generation, item reduction, scale validation,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consequently. And, after acquiring a large amount of qualitative interview data asking the definition of smart product, we add a unique process to reduce the initial items using both a text mining method using ‘r’ s/w and traditional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including factor analysis. Based on an initial qualitative inquiry and subsequent quantitative survey, an eight-factor scale of product smartness is developed. The eight factors are multi-functionality, human-like touch, ability to cooperate, autonomy, situatedness, network connectivity, integrity, and learning capability consequently. Results from Korean samples support the proposed measures of product smartness in terms of reliability, validity, and dimensionality.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rther study are discussed. The developed scale offers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gmatic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잠기지 않은 수제 하류의 3차원 흐름구조에 Froude 수 변화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수리모형 실험을 수행하였다. 3가지 Froude 수 조건에 대하여 초음파 유속계와 수위계를 이용하여 3차원 유속과 수심을 측정하였다. Froude 수는 시간평균유속 및 난류 특성의 전반적인 분포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Froude 수가 증가할수록 수제 위치의 흐름단면이 감소하고 제트 흐름 강도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 제트 흐름은 단면 내 최대 난류에너지 발생의 위치를 안쪽 제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채용 시 방사선사 NCS 직무기술서에서 요구하는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 직업윤리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수준 분석을 통해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2018년 11월 19일에서 11월 30일까지 S 대학교 방사선과 재학생 2, 3 학년 총 7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수준을 조사 분석하였다. 직업기초능력 수준 분석 결과 대인관계능력이 2학년 71.2점, 3학년 74.9 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능력과 자기개발능력이 2학년과 3학년에서 낮게 나타났다.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 갈등관리 능력이 3학년 80.5점, 2학년 77.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리더십능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기개발 능력의 하위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 자아인식능력이 3학년 74.8점, 2학년 70.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경력개발능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블라인드 채용 시 방사선사 NCS 직무기술서에서 요구하는 직업기초 능력 향상을 위해 대학에서는 임상과 잘 연계된 맞춤형 정규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며, 다양한 비정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의료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사선사 인재 양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X-선 영상에서 필터를 통한 여과의 역할은 영상 형성에 유용한 광자를 이용해 환자의 피폭량을 낮춤과 동시에 영상의 대조도를 높이는 것이다. 영상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저에너지 X-선은 환자 조직의 최초 몇 cm 부위에서 흡수되고 고에너지 부분만을 통과하여 형성되므로, 방사선 여과는 여과물질을 삽입하여 저에 너지 X-선을 여과물질로 하여금 흡수시켜 환자의 피폭량을 낮추고 영상의 질을 높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상적인 환경에서 부가 필터가 방사선 영상 촬영 시 영상의 화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 인하고, 실제 방사선 영상을 촬영할 경우와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Geant4 Ap plication for Tomographic Emission (GATE)를 이용해 Polymethylmethacrylate (PMMA) Phantom의 실제 크기, 모양과 재질을 모사하고 부가 필터의 사용유무 및 필터의 두께에 따른 촬영 조건을 설정하여 시뮬레이션 결과 영상을 얻어냈다. 또한, Digital Radiography (DR)장비로 실제 PMMA Phantom을 필터가 없는 경우와 필터가 있을 때 그 두께를 변화시키며 촬영했다. 시뮬레이션의 결과 영상과 실제 실험을 통해 얻은 영상을 각각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해 Contrast-to-noise ratio (CNR) 평가를 실행한 뒤, 시뮬레이션 결과 영상과 최종적으로 도출된 두 영상의 변화 추이를 비교 측정했다. 실험 결과 DR장비와 시뮬레이션 영상 모두 CN R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는 결국 영상에서의 대조도 감소로 인해 나타난 결과였다. 이론적으로 관전압 (kVp)이 증가하면 대조도가 감소하고, 이를 통해보았을 때 필터는 저에너지부의 X-선을 흡수하면서 전체적인 선량을 감소시키지만, X-선의 평균에너지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볼 수 있었다.
Two unrecorded alien plants, Melilotus officinalis (L.) Lam. and M. indicus (L.) All. (Leguminosae) were found in Korea. M. officinalis is native to Eurasia and widely distributed in agricultural regions throughout the world. M. indicus is native to Mediterranean and Southwestern Europe, and naturalized in temperate regions all over the world. These species are morphologically similar to M. suaveolens (Jeon-dong-ssa-ri). However, M. officinalis is distinguished from M. suaveolens by transverse nerved legumes, definite ovary stalks, and five to eight number of ovules in ovary. M. indicus is also distinguished from M. suaveolens by smaller size of flowers, broadly triangular calyx teeth, globose legumes, and minutely papillose seeds. The local name of M. officinalis and M. indicus were given as “Ju-reumjeon- dong-ssa-ri” and “Jom-jeon-dong-ssa-ri” based on transverse nerved legumes and overall smaller size than M. suaveolens, respectively. The descriptions on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photographs at the habitat of M. officinalis and M. indicus are provided.
This paper examines how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related to the degree of asymmetric information in the Korean financial market. Recent theory argues that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 firm’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its information asymmetry. To test this hypothesis, we use the environment, social and governance (ESG) score, published by the Korean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to proxy a firm’s management practices toward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In the entire sample of the Korean firms, we find contrasting results; the ESG score shows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he price impact measure but statistically in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dispersion of analyst forecasts. However, the ESG score shows negative relationships with both measures when we exclude chaebol affiliates from the sample. These findings are robust when we examine environmental, social and corporate governance scores separately. This set of results argues for the extant theory, expecting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 firm’s engagement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asymmetric information. It further argues for the importance of firm characteristics in determining the influence of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파장변이섬유를 사용한 새로운 반응 위치 측정 양전자방출 단층촬영기기 검출기를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섬광체 2개와 파장변이섬유 3개를 사용하고, 파장변이섬유 끝에 센서를 부착하여 최적화 모듈을 설계하였다. 섬광체와 파장변이섬유 및 센서를 연결시키는 연결물질과 섬광체와 파장변이섬유의 반사체 물질에 따른 센서에서의 빛 수집율 및 센서별 빛 수집 비를 통해 최적의 조합을 도출하였다. 연결물질은 에폭시를 사용하고 반사체 물질은 섬광체와 파장변이섬유에서 각각 난반사체 및 거울반사체를 사용한 조합에서, 가장 높은 빛 수집율과 센서별 빛 수집 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메콩강 유출변화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HadGEM3-RA로 부터 생산된 동아시아 지역 RCP 4.5 및 8.5 시나 리오의 일 자료를 기반으로 편의보정을 통해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구축한 후,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메콩강 주요지점인 Kratie(유역면적: 646,000 km2, 메콩강의 연평균 유량의 88%)에서의 유출변화 모의하고 유황분석을 수행하였다. 기후변화 분석 결과 Kratie 유역의 미래 강수량은 기준 년 연평균 강수량 대비 미래 년 기간의 연평균 강수량은 두 시나리오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월별 강수량 변화 분석을 통해 6 월∼11월에 강수량의 증가가 비교적 크게 나타나며 특히 RCP 8.5 시나리오에서 강수량의 변동 폭 및 증가량이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시나리 오별 월평균 최대 및 최소기온의 변화는 두 시나리오 모두 미래 기온의 상승을 전망하고 있으며 특히 RCP 8.5 시나리오의 온도증가 폭이 크게 나타 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하천유황변화 분석결과 유역의 유량변동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저수계수 값이 52∼57% 감소하고 갈 수계수 값이 67∼7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하천의 갈수상황이 지속되어 미래에 가뭄이 보다 심화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토양통 개정 결과를 반영하여 제주도를 대상으로 새로운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한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방법은 기존의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방법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방법과 기존의 수문학적 토양군 방법들을 적용하여 제주도 전체 유역을 대상으로 CN 값을 산정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2007년 이후 개정된 토양통을 기존 토양통과 비교한 결과, 토성은 43개의 토양통에서, 배수등급은 1개의 토양통에서, 투수속도는 15개의 토 양통에서, 불투수층 깊이는 26개의 토양통에서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2) 개정된 토양통을 반영하여 제주도의 수문학적 토양군을 분류한 결과, 1987년의 분류 방법을 따를 경우에는 수문학적 토양군 C군(46.43%)이 가장 많이 나타나나, 1995년의 분류 결과에서는 B군(27.69%)이, 2007년의 분류 결과에서는 D군(35.82%)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류 결과에서는 B군(49.25%)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을 제주도 전체에 적용한 경우에 추정된 CN 값은 기존 방법에 의한 값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기존 방법을 적용할 경우 CN 값이 과대 추정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북극진동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북극진동지수(AOI)와 북태평양에서 발생한 태풍의 개수 및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의 개수, 또한 장마기간 중 총강수량 및 장마기간 중 강수일수와의 교차상관분석을 시도하였다. AOI 자료는 월단위 형태로 존재하나 교차 상관 분석에는 1월을 중심으로 한 평균 자료와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계절자료를 이용하였다. 장마 특성 및 태풍 특성 자료는 모두 연 단위자료이 다. 본 연구에서는 AOI 및 태풍, 장마 자료의 가용성을 고려하여 1961년에서 2016년 사이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를 종합해 보 면, 북극진동은 우리나라의 장마 특성에 약한 수준이나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 정도는 전체기간에 대해 일정 하지 않으며 시기에 따라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최근 10년간 북극진동이 장마에 미친 영향은 교차상관계수로 0.8 이상이다. 그러나 그 전 30년간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은 없었다. 이와는 반대로 북극진동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의 개수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공교롭게도 부분적으로 보면 이 역시 기간에 따라 유의한 영향과 유의하지 않은 영향이 반복적으로 교차하는 모습을 보인다. 즉, 기간에 따라 북극진동의 영향은 비정상적으로 크게 변동하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북극진동이 우리나라의 장마와 태풍에 미치는 영향이 과거 1960년대에서 2000년대까지 서로 교차되는 특성을 보여 왔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장마에의 영향과 태풍에의 영향이 둘 다 증가하는 형태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주 단위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시기 평가 방법을 개발하였다. 강수의 지하수위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한계 침투량을 고려한 강우이동평균 방법을 통해 지하수위와의 상관계수를 산정하였다. 취약 시기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평가 기준에 대한 가중치를 엔트로피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강수와의 상관계수와 산정된 가중치를 이용한 주 단위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시기 평가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한 방법을 통하여 소규모 행정구역을 대상으로 취약시기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방법은 지역적일뿐만 아니라 계절적인 지하수자원의 효율적 관리 대책 수립의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에서 권고하고 있는 일발촬영 진단참고준위 설정에 사용된 조건을 조사하여 PCXMC v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효선량을 측정하고 생물학적 평가를 해보고자 한다.
그 결과 ICRP 60에서 유효선량은 가장 높은 Pelvis AP는 0.794 mSv 가장 낮은 Chest PA는 0.050 mSv이었다. ICRP 103에서는 남성이 가장 높은 T-Spine AP는 0.733 mSv 가장 낮은 Chest PA는 0.057 mSv, 여성은 가장 높은 T-Spine AP는 0.906 mSv 가장 낮은 Chest PA는 0.052 mSv이었다. 남녀 성인 40세 기준으로 일반 촬영별 유효선량을 평가 해 보았고, 선량한도의 제한을 받지 않는 의료피폭이라도 방사선위해의 확률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선량을 권고량 이하로 유지하여 국민의 의료피폭을 줄이기 위해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게르마늄 결정은 검출에 유용하지 않지만, 광자를 강하게 약화하기 때문에 효율성 저하를 일어키는 불감층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제조업체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검출기 시뮬레이션 모델에 사용하면 계산된 효율성과 측정된 효율성 사이에 약간의 큰 차이가 나타난다. 고순도 게르마늄(HPGe) 검출기의 모양과 치수는 CT 스캔을 통해 몬테카롤롤 시뮬레이션을 위해 형상을 정확하게 형상화하였다. 이 결과 불감층 두께 증가가 효율 감소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불감층의 조정은 50 – 1500 keV의 에너지 범위에서 측정 효율과 시뮬레이션 효율 사이의 ± 3%의 상대편차와 함께 좋은 일치임을 확인하였다. 불감층 두께에 변화를 주어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비교하였다. 몬테카롤로 시뮬레이션 결과를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새로운 불감층 두꼐를 얻었다. 1.4와 1.6 mm 두께의 End Cap 시뮬레이션 모델에서 1.5mm 두께의 End Cap시뮬레이션 모델에 대한 불감층 두꼐 결과의 차이는 End Cap 치수의 정확성으로 인한 체계적인 오류였다. 통계적 오류와 체계적 오류를 고려한 후, 검출기의 불감충 두께는 1.02±0.14 mm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불감층 두께의 증가는 효율성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Roasting has revealed coffee’s potentials as a good source of bioactive compounds.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quantitative presence and activity of bioactive compounds including caffeine, chlorogenic acid (CGA), amino acids, and antioxidant capacity on Coffea arabica L. (Guatemala finca San Sebastian) and C. robusta L. (India Azad Hind). Analysis was performed on Green Bean (GB) Medium-Light (ML), Medium (ME) and Medium-Dark (MD) samples of both varieties. From the results, caffeine content was highest in ME samples of both varieties. GB samples of both varieties had high CGA content which decreased after increasing roasting time and temperature. Most amino acids in GB samples was highest, however, glutamic acid, valine, tyrosine, isoleucine, leucine and phenylalanine had highest quantitative increase in ME samples for both varieties. IC50 of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est in ML samples of both varieties. IC50 of reducing power and total phenolic content was highest in GB sample of both varieties but decreased after increasing roasting conditions. Generally Robusta had the highest quantity of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From this study, the optimal roasting condition for coffee is ME above which there is a significant reduction of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Previously, we have reported a plant extract isolated from Lysimachia foenum gracum Herba as a new environment friendly biopesticide that has the mycelial growth inhibition effect on Magnaporthe oryzae, the pathogenic fungus of the rice blast disease. For the finding of additional biopesticide candidate, we tested the mycelial growth inhibitory effects about 700 species of plant extracts on PDA media. Among them, the extract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showed prominent inhibitory effect of which IC50 was 139.7 ㎍/㎖. Mycelial radii of M. oryzae were measured on PDA medium containing the four organic solvent fractions isolated from total extract from A. asphodeloides.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impressive inhibitory effect of IC50, 54.12 ㎍/㎖. In the subsequent rice field test for the total extract of A. asphodeloides, we obtained encouraging 62.0% control rate of rice blast disease without any phytotoxicity. It is almost equivalent to that of chemical pesticides implying the applicability of the extract as a new biopesticide. In further study, the analysis of active ingredients of the extract would be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biopesticide and for the verification of cellular mechanism by which the mycelial growth of M. oryzae inhibited.
This study describes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a cryopreservation protocol for Citrus limon cultivars: ‘Frost Eureka limon’ and ‘Cook Eureka limon’, using a droplet-vitrification method. The shoot tips that were excised from in vitro grown seedlings of the two cultivars were preserved in liquid nitrogen (LN) and successfully regenerated into whole plants. Excised shoot tips were pre-cultured for 1 or 2 days in 0.3 M and 0.5 M sucrose solutions at 25℃ and incubated in a loading solution (LS) composed of 17.5% glycerol + 17.5% sucrose i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for 40 min at 25℃. Prior to direct immersion in LN for 1 h, the shoot tips were dehydrated with plant vitrification solution 2 (PVS2) at 0℃ or PVS3 at 25℃. The frozen shoot tips were re-warmed and unloaded with 1.2 M sucrose in ½ MS for 30 min at 25℃. Shoot tips were post-cultured overnight on survival medium and then micrografted onto ‘trifoliate orange’ (Poncirus trifoliate (L.) Raf. seedling rootstocks for recovery and to produce whole plants. The highest regrowth rates were 53.5% and 50.3% for cryopreserved shoot tips of ‘Frost Eureka limon’ and ‘Cook Eureka limon’, respectively, when pre-cultured in 0.3 M and 0.5 M sucrose concentrations in a sequencing manner, with LS and treated with PVS2 for 60 min at 0℃. We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ammonium ion concentration on post-culture medium affected the viability of the cryopreserved Citrus shoot tips. The viability of cooled samples, following culturing on woody plant media (WPM) containing ¼ ammonium nitrate overnight before micrografting, was the highest (70.3%) in ‘Frost Eureka limon’. The study described here is a cost-effective and safe method to conserve Citrus fruit cultivars, for the improvement and large-scale multiplication of fruit plants and for breeding disease resi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