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estimates, based on the same star-count analysis, of the distance to the globule Bamard 361 range from 300 pc to 650 pc. All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estimates have been fully rectified in this study, and a modification has been made to the classical Wolf diagram to improve the accuracy in the distance determination. A reference field was carefully selected close to the globule but well outside the globule boundary, and star counts for this field were performed on the blue POSS plate in order to set up the reference magnitude sequence appropriate to the general area of B 361. From the reference sequence, the stellar density function has been derived specifically for the direction toward the globule. Correction was made for the general interstellar extinction, and the luminosity function with the Wielen's dip was adopted. The resulting density function clearly reveals the existence of the local Cygnus-Orion arm in the direction of B 361 at about 700 pc away from the Sun. Analysis of the star-count data for the program field locates the globule at distance 600 ± 50 pc ; thus, the globule is an object located in the Cygnus-Orion arm, residing somewhat toward its leading edge.
By applying population synthesis method, stellar populations in the nuclei of M31 and M32 are studied. We obtained five and four models for M31 and M32 respectively, for different main sequence turn-offs and keeping the astrophysical constraints as loose as possible. The best models for M31 and M32 are thought to have G0-5 and F5-8 main sequence trun-offs respectively. These models show that the main sequence stars outnumber the giants, which indicates the dwarf-dominance in external galactic nuclei. Even though there are some computational difficulties because of non-uniqueness in solution, two major points can be pointed out when compared to the previous papers. First, the ultraviolet deficiency expected from the conventional metal rich population models is not detected in our models, Instead ultraviolet radiation turns out to be somewhat higher than that of observation. Second one is the minor contribution from the Super Metal Rich (SMR) K giants to the integrated light of the program galaxies. That is, in our models, the SMR contribution is at best the same level as normal giants contrary to the SMR dominance of previous models. Since the loose astrophysical constraints are the major difference of our study from the previous ones, one should re-examine carefully for their validity further.
남부지방(南部地方)에 재배(栽培)되는 고추, 오이, 배추, 딸기 등(等)의 근권토양(根圈土壤)에서 분리(分離), 선발(選拔)된 길항미생물(拮抗微生物)을 이용(利用)하여 Rhizoctonia병(病)의 생물적(生物的) 방제(防除)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근권토양(根圈土壤)에서 분리(分離), 선발(選拔)된 길항균(拮抗菌)은 Trichoderma viride, T. harzianum, T. hamatum, T. polysporum, Gliocladium sp., Pseudomonas fluorescens, P. stutzeri, P. cepacia, Enterobacter sp., Serratia sp., Erwinia herbicola 등(等)으로 동정(同定)되었고, in vitro에서 우수(優秀)한 길항균(措抗菌)은 T. viride, T. harzianum, Gliocladium sp., P. stutzeri, P. cepacia, Serratia sp. 등(等)이었다. In vivo에서의 길항효과(拮抗效果)는 기주(寄主)와 균주(菌株)에 따라 다소 차이(差異)가 있었고, 살균토(殺菌土)에서 비살균토(非殺菌土)보다 길항효과(拮抗效果)가 더 좋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재선발(再選拔)된 6가지 길항균(拮抗菌)을 토양내(土壤內)에 접종(接種)() 했을 때, 길항효과(拮抗效果)가 가장 우수(優秀)한 것은 T. viride 이었다. 병원성(病原性)이 가장 강(强)한 오이 뿌리에서 분리(分離)된 균주(菌株)(AG 1)를 오이, 배추, 무우등(等)에 처리(處理)하여 길항균(拮抗菌)을 접종(接種)하였을 때는, 병원성(病原性)이 강(强)하여 길항효과(拮抗效果)가 약(弱)한 경향(傾向)(40%)이었으나, 고추(AG 1), 고추(AG 2-1), 수도(AG 1)에서 분리(分離)된 균주(菌株)에 대해서는 전반적(全般的)으로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각각(各各) 70% 정도의 발병(發病)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있었다.
대두(大豆) 갈색무늬병에 대한 저항성(抵抗性)의 포장검정(圃場檢定)에 적합한 생육시기(生育時期)를 결정하고 수집재래종(蒐集在來種)으로부터 저항성인자원(抵抗性因子源)을 찾기 위 하여 본실험(本實驗)을 수행하였던 바, 1. 갈색무늬병에 대한 저항성(抵抗性) 품종간(品種間)에 차이(差異)가 현저하였으며 수직감염율(垂直感染率)과 병반면적율간(病斑面積率間)에는 상관(相關)이 있었다. 2. 병반면적율(病斑面積率)과 병진전곡선면적(病進展曲線面積)과의 상관도(相關度)는 대두(大豆) 생육기중(生育期中) 개화기(開花期)에서 가장 높아 포장에서의 저항성 검정시기는 개화기(開花期)가 적당한 것으로 보였다. 3. 수집재래종(蒐集在來種) 1,428계통의 저항성(抵抗性) 검정결과(檢定結果) 고도저항성(高度抵抗性) 계통(系統)은 발견할 수 없었고 중도저항성(中度抵抗性)인 4 계통(系統)을 선발할 수 있었다.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required for setting up the proper strategies to minimize the future marine pollution in the vicinity sea area of the Geoje Island, the general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dye diffusion experiment were carried out from January to March, 1983. Although TSS and COD level in the investigated sea area showed still slightly lower than the area of Seaside Industrial Complex Zones, seriously increasing due to the construction of heavy industrial plants. Dissolved oxygen showed more than 8 ppm, and inferred still enough for the reservation of the investigated sea area. The dye patches moved south-eastward with forming an elliptical shape and then turned slowly to the area of Kujora during flood tide, and it moved northwestward and then blocked the entrance of Jangseungpo during ebb tide, The diffusibility in the area may be assessed to be quite better than other coastal areas.
광주기 16:8(명기:암기) 온도 이상 이하의 실험실 조건에서 코드링나방(Laspeyresia pomonella) 수컷의 활동리듬을 활동력 측정장치로 조사한 바, 소등시에 한번(제1활동기)과 점등시에 한번(제2활동기)의 두 번의 활동최성기를 나타내었다. 제1활동기는 소등 시간 전에 시작되었으며 소등신호에 의해 활동시작시간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속조명조건에서는 활동주기가 24시간보다 약간 길어지는 경향이었으며 이는 곤충의 일주활동성의 특성에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기 16:8 하에서 부터 까지 8단계의 온도조건을 두어 숫나방의 활동리듬을 조사한 결과 에서는 전혀 활동하지 못하였다. 또한 이하의 온도에서는 제2활동기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하에서는 제1활동기 중 암기에서의 활동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온도범위 하에서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제2활동기와 제1활동기 중 암기에서의 활동성이 증대되었다. 이러한 온도상승에 따른 제1활동기의 암기에서의 활동력 증대로 인하여 활동 평균시간이 암기쪽으로 이동하였다. 코드링나방의 온도에 따른 평균 활동시간의 변동은 상기한 저온에서의 암기에 활동력 감퇴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