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5

        201.
        200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il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elements as well as with water and air in studies associated with the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one of the important environmental mediums that constructs a basis of the biological system and performs various roles of matter circul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Seoul, in May 2000 to evaluate variation in the concentration levels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for PAH compounds in soil.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3 sites covering traffic, factory, incineration and mountain groups and the PAH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 a wide distribution range of PAHs concentrations between 14.66 ng/g and 1,219.35 ng/g. The highest concentration levels exist at Sungsu-2 of the factory group (FS-2). Daemo-3 of the Mountain group (MD-3) presents the lowest levels as compared with the other sites. PAH compounds including mutagenic and carcinogenic materials show high concentrations in the traffic and factory groups and a high ratio in the mountain group. Besides, these compounds absorbed with micro particles might be spread out over a wide region associated with particles' movement and diffusion. Afte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 soil samp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ources of PAHs in the soil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esticides and vehicles.
        202.
        200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 시-지각, 개방-기술 경험, 과제의 유형, 시각적 자극 속도가 동시적-예측 타이밍에 미치는 효과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15명의 남성과 여성이 바이옵터 시-지각 검사를 이용한 6가지 시-지각 검사와 개방기술 활동 검사지를 작성한 후에 베이신 예측 타이머를 이용하여 3가지의 서로 다른 시각적 자극 속도 조건에서 단추누르기 과제와 타격 과제에 대한 50회의 동시적 예측 타이밍 과제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시-지각 능력과 개방기술 경험에서 남성과 여성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어, 이러한 변수들은 동시적 예측 타이밍 과제의 수행에서의 남녀차이를 설명하지 못하였다. 단추누르기 과제보다 타격 과제의 수행에서 정확성과 일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한 이론적 설명이 논의되었다.
        203.
        200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연령의 피험자들이 수정된 프로토콜(각 측정)을 이용하여 운동감각 처리과정에서 심리물리학적 감각 반응 정보를 활용하는 능력을 결정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그 능력을 정량화 하려고 시도하였고 첨가연속체나 대치연속체 이론에 의해 설명된 운동감각에 관한 심리물리학의 지각 연속체에 대하여 가능한 설명을 찾으려고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피험자에게 눈가리개를 한 채 선형 정치 장비에서 거리와 위치(22, 44, 64도)를 구분하도록 요구된 2회의 실험으로 구성되었다. 7개의 표준 비교 조합들이 거리와 위치 움직임 각각에 대한 총 140번의 시도, 20분단에 대해 무선위로 제시되었다. 항상 자극 방법이 주관적 평형점, 최소감지차(JND), 항상오차, 그리고 웨버 비율(WR)을 결정하기 위해 활용되었다. 3개의 표준 거리와 위치 움직임에 대한 JND와 WR에 기초해서 이론적 구성에 관하여 결과들이 논의 되었다. 그 결과 거리와 위치 움직임은 첨가연속체이론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측정은 물리적 자극과 심리학적 반응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 적절한 것임이 증명되었다.
        205.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ong-Hwan Kim. 2001. Subjectification and Semantic Extension. Studies in Modern Grammar 23, 127-148. As the title of this paper suggests, this paper intended to show how the mechanism of subjectification takes a role in the semantic extension of linguistic units. Subjectification means that an aspect of human beings participates in the expression of the world in a language. Here the aspect of human beings is the mental eyes or mental scanning for a given scene. Subjectification is one of the dimensions of Langacker`s conventional imagery or construal. Other dimensions of construal include the level of specificity, scale/scope, background assumption, profiling, and mental scanning. Langacker(1990) characterizes subjectification as the realignment of some relationship from the objective axis to the subjective axis. In other words, obJective motion by the onstage subject is replaced by subjective motion on the part of the offstage conceptualizer. Langacker(1999) revises his previous model using the concept `shif tead of `realignment` or replacement`. According to his new model of subjectification, an objective relationship fades away, leaving behind a subjective relationship that was originally immanent in it. In other words, subjectification is the shift of the relatively objective interpretation to the more subjective interpretation. This revised model makes it easir to conceive of subjectification as being a gradual process. The gradual process of subjectificetion is consistent with the gradual process of the human cognition. Semantic extension is not a discontinuous but continuous process. Therefore, Langacker`s(1999) revised model of subjectification is the more appropriate mechanism for the semantic extension.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