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7

        21.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seasonal variation of microalgal assemblages, sea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suspended solid and the parameters measured daily from January 1998 to October 1999 at a nearshore shallow-water in Marian Cove, Maxwell Bay, King George Isl
        4,200원
        22.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98년 7월부터 9월까지 득량만 19개 정점 표층에서 수질,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구조와 동태 및 적조의 특징을 규명하였다. 조사기간 중 월별 평균 수온은 24.0~28.6℃, 염분은 25.0~28.6‰로 월별 및 정점간 변이가 컸다. 본 해역의 Chlorophyll-α의 농도는 7월과 8월에 평균 11.59mg/m3, 7.52mg/m3를 나타내어 일차생산이 높았으며,
        4,000원
        23.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종설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고 있는 적조현상을 정리하여 적조의 정의, 명칭, 년도별 연구상황, 적조발생 원인 및 생물, 독성, 인명 및 수산물의 피해, 피해저감 및 방제기술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우리나라의 초기의 적조는 돌말류에 의해 발생되었으나, 해양오염이 심각한 1970년대 말부터 무독성 와편 모조류에 의해 그리고 1980년대 말에는 유독성 편모조류에 의해 발생되고 있다. 적조발생 규모는 초기에는 국지적이었으나 근래에는 광역화이기 때문에 수산업에
        4,900원
        24.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청호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 변화양상과 취기물질 생산종을 밝히기 위해 1998년 5월부터 11월까지 월별로 2개 정점(추동, 회남교)을 선정하여 이 화학적 수질과 식물플랑크톤의 분포를 조사하였으며, 대표적 취기물질인 geosmin과 2-methylisoborneol (MIB) 의 분포를 purge & trap concentrator가 장착된 gas chromatograph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에 나타난 식물 플랑크톤의 계절적 분포는 수온, pH 및 총질소/총인 등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된 식물플랑크톤 중에서 cyanobacteria가 평균 54% (세포수 기준)의 우점을 나타낸 추동수역(정점 1)에서는 geosmin이 7 월, 8월 하순에 세포건량기준으로 각기 1.1 ng/mg, 18.1 ng/mg이 검출되었고, 63% 이상의 우점을 보인 회남교수 역(정점 2)에서는 geosmin이 7월, 8월 하순에 각각 0.7 ng/mg 및 69.8 ng/mg, MIB가 7월 하순에 0.6 ng/mg 검 출되었다. 따라서 geosmin과 MIB는 조사기간중 cyanobacteria가 우점하게 되는 7월, 8월에 주로 Anabaena에 의해 생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5.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5년 6월부터 1996년 6월까지 한강 하류 7개 정점에서 6회에 걸친 현장조사를 통하여 동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변동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조사기간중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총 70분류군 (taxa)으로 원생동물 3종, 윤충류 25종, 지각류 18종, 요각류 13종, 다모류 1종 등 60종이 종준위까지 동정되었다. 계절별로는 1995년 6월에 전정점에서 10~27분류군이 출현하여 가장 다양한 출현 양상을 보였으며 홍수 발생 직후인 1995년 7월에 가장 빈약하게 출현하였다. 정점별로는 상류에서 하류보다 많은 종류가 출현하는 경향을 보였다. 동물플랑크톤의 최대출현량은 입방미터당 44,317 개체(1996년 6월, 정점 7)를 기록하였으나 같은 정점에서 1995년 7월에는 전혀 출현하지 않았다. 계절별로는 1995, 1996년 모두 6월에 높은 출현량을 기록하였으며 7월과 1월에 출현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우점종으로는 지각류인 Daphnia galeata와 D. pulex 및 Bosmina longirostris와 요각류인 Canthocamptus carinatus, Cyclops vicinus, Thermocyclops hyalinus 및 요각류 유생이 출현하였다. 단일종으로 D. galeata가 최대 입방미터당 16,964개체의(1996년 6월, 정점 2) 농밀한 개체군을 형성하였으며 D. pulex, B. longirostris, T. hyalinus, C. vicinus도 각각 입방미터당 9,375 개체, 7,250개체, 6,714개체 및 5,772개체의 개체군이 관찰되었다. 동물플랑크톤군집의 종다양성지수는 1996년 5, 6월을 제외하고는 상류역인 정점 1~4에서 하류역인 5~7보다 높게 나타났다.
        4,000원
        27.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28.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31.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33.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8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