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

        21.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re ingredient of traditional Korean style soy sauce is soy bean without any wheat or rice incorporated. National brands as well as regional micro-brewed companies constitute the soy sauce market in Korea.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oy sauces produced by small-scale or mass-production. Additionally, the key physico-chemical parameters sufficiently representing the critical sensory characteristics have been identified. Ten types of soy sauce brewed by the Korean traditional method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mong these samples, seven types were brewed in small-scales in the Gyeonggi-do region whereas the other 3 types were mass-production products of major national brands. The total solid, reducing sugar, salinity, sugar content, amino nitrogen, CIELAB, acidity, and pH of soy sauce samples were measured for the physico-chemical analysis. A generic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using six trained panelists. The descriptive panel developed 21 sensory attributes.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ANOVA, PCA and PLSR. Overall, the micro-brewed produc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 of salinity and acidity but lower content of reducing sugar than the mass-production products. The micro-brewed soy sauces elicited stronger fermented flavor, sourness, and bitterness whereas the national brand products elicited stronger alcoholic odor, sweetness and umami taste. Sugar content, acidity, and amino nitrogen showed strong relationships with fish sauce flavor, umami taste, and rich flavor. Salinity was closely related to the overall flavor intensity.
        4,300원
        22.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원도에 위치한 태기산(1,261.4 m)은 식물지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나 외래식물의 유입, 산림의 개발 등으로 산림 훼손되고 심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태기산의 정확한 관속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8년 4월부터 동년 8월, 2018년 3월부터 동년 10월에 걸쳐 총 21회의 현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KH에 석엽표본으로 소장되어 있는 태기산 일대의 표본을 추가하여 목록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96과 338속 580종 4아종 66변종 12품종으로 총 66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28분류군이었으며, 산림청지정 희귀식물은 총 8분류군, 적색목록은 11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환경부지정 식물구 계학적 등급종으로는 127분류군이며, 침입외래식물은 생태계 교란종인 애기수영을 포함하여 총 45분류군으로 나타났다.
        23.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stablishment of invasive alien species management is widely recognized as a pivotal issue in the preservation of biodiversity. Ranunculus sardous Crantz, a species native to Europe, has been widely introduced in many other areas of the world, including the coasts of the United States, Australia, China, India, and Japan. In Korea, the first population of this plant was found growing adjacent to a wetland in Hanon, Seogwipo-si, Jeju Province, on 22 May 2018. Field observations confirmed the presences of at least two populations of this species in Jeju Province, Korea. This species is similar to Ranunculus sceleratus L., but can be readily distinguished by its presence of the trichomes in the whole plant, longer petioles of radical leaves, ovate-shaped leaf segments, globose to subglobose-shaped fruits and flat achenes with narrowly winged and papillae. The Invasive Alien Plant Risk Assessment (IAPRA), a system for recognizing and categorizing alien plants in Korea forests, was used to assess the invasiveness status of the species. Based on this system, R. sardous received a low score of 6, suggesting its potential invasion to natural forests. Although the current distribution of R. sardous is restricted to Jeju Province and thus far has had limited impact on local environments, local and regulatory authorities should pay close attention to this plant and take measures to prevent its further expansion.
        24.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반들산쇠고비(Cyrtomium yamamotoi Tagawa)는 관중과 쇠고비속(Cyrtomium Presl)에 속하는 미기록 양치식물이다. 지금까지 타이완, 중국, 일본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2018년 제주도 제주시와 전라남도 해남군에서도 자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종은 근연분류군인 쇠고비(C. fortunei J.Sm.)와 1회 우상복엽이고, 구형의 포막을 가지는 특징 등으로 매우 유사하지만, 반들산쇠고비는 피침평 또는 피침상 난형의 우편이 12쌍 이하이고, 포막의 중앙부는 암갈색 또는 흑색을 띠며,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는 특징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반들산쇠고비의 상세한 형태학적 기재와 한국산 쇠고비 속의 명확한 동정을 위한 주요 형태 형질 사진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25.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lien invasive species are introduced with or without intent and spreading all over Korea. They are known to have negative effects on biodiversity such as economic and environmental damage and causing decrease or loss of native species. The habitats like wetland, reservoir and riverside are especially in danger of being invaded by alien species due to stress and disturbance. Therefore, Korea National Arboretum is steadily working on research and studies on managing alien invasive species. This research aims to collect basic information of Ludwigia peploides subsp. montevidensis (Spreng.) P.H. Raven which was found near riverside in Suwon-si and is concerned to become an invasive alien species. We expect the description, diagram and pictures of this taxon will be helpful for early detection and effective management.
        27.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일상생활동작 재활에 있어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일상생활 움직임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장기적인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일상생활동작평가에서 하위 모든 영역에서 평가 점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일상생활 움직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머리와 손의 협응 능력과 관련이 깊은 식사 능력과 사회참여와의 연관성이 높은 대화 능력에서 많은 향상이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김동훈(2011), 이민정(2010), 김순덕(2004)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이로 인해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재활에 미치는 영향은 자신감과 성취감을 갖게 하였으며 또한 정서적 안정과 대인관계의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문적이고 구조화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적장애인의 일상생활동작의 기능을 재활시키고 남에게 의존하지 안의며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통합적으로 신체적 능력의 향상을 기대해 본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