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

        29.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igital Single Lens Reflex (DSLR) camera combined with a small aperture telescope is an efficient equipment for an astronomy-related lab exercise. This paper compares the different photometry softwares to provide insights on using the GUI-based photometry tool to the conventional command-line based photometry tool. The magnitude of the same point source measured within the aperture is consistent regardless of the software used although the background estimation, partial pixel treatment, and error estimation are slightly different. In a crowded field image where the aperture photometry is less reliable, the aperture photometry with varying aperture size is useful to see the qualitative trend for the magnitude. Due to the variation in ISO settings and the color dependence on the RGB Bayer system, an initial uncertainty of ~0.15mag is expected to be embedded in the magnitude derived from the DSLR images.
        4,000원
        30.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사범 대학 과학교육학부에 재학 중인 예비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고등학교에서의 지구과학 선택 과목의 이수 여부와 대학 전공이 일반지구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광역시 소재 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소속의 학생들 중 2012년 2학기부터 2015년 2학기까지 총 4개 학 기 동안 일반지구과학 강의를 수강한 273명의 학생들이다. 현재 전공과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목 이수 여부가 일반지 구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및 시험 체감 난이도,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SPSS 23.0을 활용하여 이원분산분석 (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구과학교육 전공 학생들과 타 과학교육전공 학생들 사이에는 일반지구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와 시험 체감 난이도에 대해서 차이가 없었지만, 고등학교에서 지구과학의 이수 여부는 학생들의 태도와 성취도에 영향을 미쳤다. 즉, 고등학교에서 지구과학 I과 지구과학 II를 모두 이수한 학생은 지구과학 I만 이수한 학생 또는 지구과학을 전혀 선택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일반지구과학 수업 태도가 더 좋았으며 높은 성취 수 준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학 교사를 양성하는 사범 대학의 교육에서는 학생들의 요구와 수준을 반영한 교수학습적 접근이 필요하며, 과학 교사로서 필요한 교과 지식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사범 대학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속적인 보완이 있어야 할 것이다.
        4,200원
        31.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까운 은하에서 폭발적 항성생성은하의 분광 관측을 수행하여 별생성률이 높은 은하에서 별생성이 일어나는 시 간 규모에 따라 방출선의 방출 기작, 별생성률, 항성질량, 금속함량 등의 물리량 혹은 물리량 상호 간의 관계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았다. 관측 대상은 별생성 나이가 매우 어린 울프-레이에 은하 21개와 상대적으로 긴 시간 규모의 별생 성이 진행 중인 자외선 초과복사 은하 13개로 보현산 천문대의 1.8 m 망원경과 4K CCD, 긴 슬릿 분광기를 이용해 광학 영역에서의 스펙트럼을 얻었다. BPT 분석도표를 그려 관측된 은하들에서 기체를 이온화시키는 원인을 살펴보면 전체적 으로는 별생성(약 50%)이 비항성적 요소인 활동은하핵(약 15%)에 비해 훨씬 높았다. 별생성과 활동은하핵이 모두 기여하 는 경우도 전체의 35%였는데, 이러한 경우에 속하는 은하는 대부분 상대적으로 나이가 많을 것으로 추정되는 자외선 초 과복사 은하였다. 관측된 은하의 항성질량 범위는 대부분 109-11 M⊙이고 별생성률은 0.01-100 M⊙ yr−1로, SDSS에서 관측 된 은하들로 구성된 별생성 주계열에 위치한다. 울프-레이에 은하와 자외선 초과복사 은하들의 항성질량, 별생성률에서 큰 차이는 없었다. 또한 폭발적 항성생성은하는 질량-금속함량 관계를 보이며, 비슷한 항성질량을 가진 SDSS 은하와 비 교했을 때 금속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이 은하들에서 별생성으로 인한 강한 피드백이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4,500원
        32.
        2017.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study the angular correlation function of bright (Ks ≤ 19.5) Extremely Red Objects (EROs) selected in the Subaru GTO 2 deg2 field. By applying the color selection criteria of R − Ks > 5.0, 5.5, and 6.0, we identify 9055, 4270, and 1777 EROs, respectively. The number density is consistent with similar studies on the optical − NIR color selected red galaxies. The angular correlation functions are derived for EROs with different limiting magnitude and different R −Ks color cut. When we assume that the angular correlation function w() follows a form of a power-law (i.e., w() = A−), the value of the amplitude A was larger for brighter EROs compared to the fainter EROs.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brighter, thus more massive high-redshift galaxies, are clustered more strongly compared to the less massive galaxies. Assuming that EROs have redshift distribution centered at hzi ∼ 1.1 with z = 0.15, the spatial correlation length r0 of the EROs estimated from the observed angular correlation function ranges ∼ 6-10 h−1Mpc. A comparison with the clustering of dark matter halos in numerical simulation suggests that the EROs are located in most massive dark matter halos and could be progenitors of L∗ elliptical galaxies.
        4,000원
        34.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exists strong evidence supporting the co-evolution of central supermassive black holes and their host galaxies; however it is still under debate how such a relation comes about and whether it is relevant for all or only a subset of galaxies. An important mechanism connecting AGN to their host galaxies is AGN feedback, potentially heating up or even expelling gas from galaxies. AGN feedback may hence be responsible for the eventual quenching of star formation and halting of galaxy growth. A rich multi- wavelength dataset ranging from the X-ray regime (Chandra), to far-IR (Herschel), and radio (WSRT) is available for the North Ecliptic Pole field, most notably surveyed by the AKARI infrared space telescope, covering a total area on the sky of 5.4 sq. degrees. We investigate the star formation properties and possible signatures of radio feedback mechanisms in the host galaxies of 237 radio sources below redshift z = 2 and at a radio 1.4 GHz ux density limit of 0.1 mJy. Using broadband SED modelling, the nuclear and host galaxy components of these sources are studied simultaneously as a function of their radio luminosity. Here we present results concerning the AGN content of the radio sources in this eld, while also offering evidence showcasing a link between AGN activity and host galaxy star formation. In particular, we show results supporting a maintenance type of feedback from powerful radio-jets.
        3,000원
        38.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classified Abell clusters using the magnitude differences between two or three bright member galaxies and investigated how such classification was correlated with the properties of brightest cluster galaxies (BCGs). S-type BCGs being clearly brighter than the rest of the member galaxies were likely to be red, luminous, and evolved as early type galaxies. On the other hand, T-type BCGs being not dominant at all were less luminous than early type galaxies. A small fraction of BCGs was currently forming stars, and all of the star-forming BCGs were T-type BCGs. Active galactic nuclei were most frequent for S-type BCGs. Through these quantitative analyses of the BCG properties, we discussed the possible scenario of BCG formation and the differences between S-type and T-type of BCGs.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