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

        21.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덕유산 국립공원의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식생의 구조를 정량화하는 지수로 널리 이용되고 있 는 LAI에 대한 지형적인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식생의 분포와 구조에 영향을 주는 해발고도, 지 형경사, 사면향, 그리고 토양 수분조건을 설명변수로 하 고 엽면적지수(LAI, Leaf Area Index)를 반응변수로 하 는 회귀분석방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 체적으로 LAI와 지형요소의 상관관계는 0.5 미만으로 비 교적 낮고 지형고도를 제외한 나머지 요소와의 상관성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상관 성 방향성을 보면 주로 고도가 높고 경사가 급하고 토양 의 수분상태가 낮은 지역일수록 LAI 값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형특성에 따른 LAI 분포에 대한 영향을 평가 하기 위해 지형요소의 조합에 따른 회귀분석 결과 지형 고도가 모든 모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변수로 나 타났다. 지형고도의 변수만을 고려한 경우보다 경사와 사 면향을 추가적으로 고려할 경우 LAI 변화량을 설명하는 데 보다 더 잘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수분조건을 설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지형습윤지수(Topographic Wetness Index, TWI)는 LAI 분포와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 에서 유도된 결과는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하여 덕유산 국 립공원 산림식생 LAI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영상자료의 분광 반사율과 지형적 특성을 함께 고려하면 보다 높은 정확도를 갖는 LAI 분포를 예측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2.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Xorides is a large group xoridine genus was firstly described by Latreille in 1809 based on Ichneumon indicatorius. The world fauna of Xorides have comprised of 147 described species(Yu et al., 2005). Among them, 48 species have distributed in Eastern Palaearctic region(Yu et al., 2005) and only one species, Xorides jezoensis, was recorded from Korea (Uchida,1955). Most species are specialized parasitoids of eight coleopteran families (Anobiidae, Bostrichidae, Buprestidae, Cerambycidae, Chrysomelidae, Curculionidae, Elateridae, Melandryidae), three hymenopteran families, two lepidopteran families, one dipteran family(Yu et al., 2005). Also, emerge from larva as ectoparasitoids(Sharifi & Javadi, 1971) and idiobiont(Chrystal & Skinner, 1931). This genus is similar to genus Odotocolon but mandible without two teeth; female flagellomere curved with peg like setae. In this study, we found two newly recorded species, Xorides konumensis(Uchida, 1928) and Xorides sapporensis(Uchida, 1928) from Korea.
        23.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Micromus is a large group, belongs to the family Hemerobiidae with a worldwide distribution. This genus was named by Rambur, 1842 based on the type species Hemerobius variegates Fabricius, 1793. Eighty five species have been described from the world. Among them only one species, M. numerosus (Navás), has been recorded from Korea. Morphologically, Micromus is easily distinguished from other hemerobiid genera by the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maxillary palpus 5 segments, labial palpus 3segments; forewing with costal area quite narrow at base and one prestigmal Sc-R crossvein, without recurrent humeral vein and crossvein 2M-Cu. Members of the genus Micromus are generally considered to be beneficial as predators of various aphids, particularly on sugar cane and corn plants. This genus occurs in a variety of habitats including both trees and grasses. It is often found in alfalfa fields where both larvae and adults feed on aphids. Adults are also highly attracted to lights at night. In this reviewing study about the Korean Micromus, we study two species. M. angulatus (Stephens) and M. numerosus (Navás). Among them M. angulatus is newly included in Korean fauna. We also provide a key to the Korean species of Micromus, description, illustrations of diagnostic characters and distributional data.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