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7

        41.
        199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알팔파의 하배축 (hypocotyl)으로부터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를 위하여 2,4-D와 kinetin이 조합 처리된 MS배지에 조직을 치상하였을 때 4주 후 캘러스가 유도되었으며, 2,4-D 4 mg/l와 kinetin 0.1 mg/l 그리고 2,4-D 4 mg/l와 kinetin 0.5mg/l 조합에서 체세포배가 형성되었다 성숙한 체세포배를 MS기본배지로 계대배양하였을때 정상적인 식물체로 재분화 하였다. 이
        42.
        199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rchardgrass의 종자배양 유래의 캘러스를 현탁배양하여 현탁배양기간별 부정배형성정도와 식물체 재분화율 등에 대한 몇 가지 실험을 수행한 바, 2주 간격으로 4회계 대배양 하였을 때 계대배양 횟수가 증가됨에 따라 식물체 재분화율이 증가되었다. 종자배양에서 형성된 캘러스의 현탁배양에서 모양이 둥근세포와 그들의 세포괴는 배양 30일 후에 최대치를 나타내었고, 그 이후는 감소하였다.(중략)
        43.
        199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erennial ryegrass의 종자유래 캘러스 및 조직 절편체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에 적합한 조건을 조사하였다. 종자유래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품종, 배지 및 생장조절물질의 조성 등에 따른 재분화율을 조사하였다. Reveille과 Modus의 품종간 비교에서 종자로부터 형성된 캘러스 생체중은 Reveille이 2,4-D 10mg/l에서 가장 좋았으며, MS배지가 SH, B5배지보다 더 좋았다.(중략)
        44.
        199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고등식물에 있어서 엽록체에 존재하는 저 분자량 heat shock protein (smHSP)은 식물의 내열성 획득에 있어서 필수유전자임이 mutant를 이용한 유전학적인 연구에 의해 보고된 바 있다. 고온내성이 강한 작물인 벼로부터 엽록체 smHSP cDNA를 분리하고자 벼의 잎에서 분리한 mRNA로 작성한 cDNA library로부터 screening하였다. 선발된 smHSP cDNA는 1,026 bp의 염기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239개의 아미노산
        45.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chardgrass의 종자배양에서 캘러스형성과 식물체 재분화에 적합한 조건을구명하기 위하여 품종간의 차이와 배지조성 및 생장조절물질의 조성 등에 대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한 바, 공시품종중 "Amba"의 식물체 재분화율이 가장 높았고, $N_6$ 수식 이미지 배지가 MS, $B_5$ 수식 이미지 배지보다 종자에서 형성된 캘러스 생체중이 무거웠으며, 식물체 재분화율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3 mg/L의 dicamba가 첨가된 배지에서 형성된 캘러스를 재분화배지에 이식하였을 때 식물체 재분화율이 3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ㅍ
        4,000원
        47.
        199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transient response of an atmosphere/ocean general circulation model to a gradual increase of atmospheric carbon dioxide. To detect the climatic change of the surface air temperature due to gradual increasing carbon dioxide for 100 years, two runs of GFDL CGCM for 1 % CO_2 run with increasing CO_2 and the control run with fixed CO_2 are compared. From results it is noted that the transient response of surface air temperature is more increased over the Northern Hemisphere than the Southern Hemisphere. However, in Northern Hemisphere the transient response of the surface air temperature due to the gradual increase of atmospheric carbon dioxide is slowly increased with latitudes and is clearly larger over continents than oceans. The annual global mean temperature is continuously increased with 0.03552 per one year with strong S/N ratio and distinguished from the natural variability. The time dependent response of the gradual increasing CO_2 has the strong seasonal variability with small change in summer and large change in winter, and the strong regionality in the Asian and the American continent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direct and the feedback processes in the climate systems should be investigated by the detailed sensitivity runs to get the meaningful estimate of the CO_2 forced variability.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