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12

        6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미국선녀벌레는 2009년 발견이후 현재 131개 시군에 15,730ha가 발생되고 있다. 주로 단감 등 10여종 이상의 작물을 흡즙하여 피해를 준다. 2017년 이탈리아 파도바 대학에서 천적인 선녀벌레집게벌(Neodryinus typhlocybae)을 도입하여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생태특성 조사, 대량사육 기술개발 및 미국선녀벌레 발생 현장에 방사하고 있다. 선녀벌레집게벌은 미국선녀벌레 어린약충(1~3령)에 기생하면 암컷의 비율이 낮고 수컷은 2화 성 개체가 많아져 생산이 비효율적이다. 본 연구에서 어린약충에 기생할 때 보다 노숙약충에 기생할 경우 3배정 도 암컷생산의 비율이 높아졌고, 월동하고 있는 고치들을 5월 중순 무렵에 20℃의 서늘한 곳에 보관하면 우화시 기를 상온에 놓아둔 것에 비해 10일 이상 늦추는 결과를 얻었다.
        6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uring the larval development process of insects, juvenile hormone (JH) is essential for regulating various aspects of larval life, including growth, reproduction, and behavior, throughout their larval stage. The larval stage of Spodoptera frugiperda, when it consumes plant-derived metabolites, develops into pupae, but these pupae are unable to molt successfully. In this way, plant-derived metabolites contain or produce inhibitors of juvenile hormone, thereby disrupting the development of insect larvae and making them vulnerable to harm. Therefore,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an in vitro screening system using yeast cells transformed with the Met-SRC juvenile hormone receptor of S. frugiperda. Through this system, we were able to identify juvenile hormone disruptors from plant-derived metabolites and confirm their developmental inhibitory effects on the larvae of S. frugiperda.
        6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all armyworm Spodoptera frugiperda (Lepidoptera: Noctuidae) is a polyphagous agricultural pest that damages about 80 species of plants. It mainly damages Poaceae and plants used as food resources for humans. Its original habitat is the American continent, but it unintentionally settled in tropical and subtropical Asia, including Africa, India, and Sri Lanka. It occurs every year even in southern China, which is geographically adjacent to the Korean Peninsula, causing damage to crops. In Korea, it was first discovered on Jeju Island in June 2019 and is being discovered every year in Jeju and some inland areas. In 2023, there were a total of 13 discoveries, including those in the Jeju and Jeonbuk regions. Quarantine agency identified the maternal genotypes of all currently discovered individuals using COI and identified differences in genetic traits between individuals using the sex-related Z-chromosome. For comparison with the information on the individuals that invaded the country, 15 individuals from Guangxi and Guangdong provinces in China were collected and secured. Through the analysis of overseas samples, a database has been added to compare genetic information with domestic invasive species, and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is expected to increase.
        65.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olenopsis invicta, known as the red imported fire ant, is an insect native to South America. This species was unintentionally introduced into Australia, New Zealand, several Asian countries, Caribbean countries, and the United States. It shows a high survival rate and settlement potential in human-habitable and non-living areas such as tropical rainforests, disturbed areas, deserts, grasslands, and roads. In Korea, invasions of red fire ants have been reported every year since 2017, and two invasions were discovered in 2023. Quarantine agency analyzing the haplotype and colony social type of S. invicta for surveillance and control. Population genetic analysis using Microsatellite Alleleic data of 66 loci to trace the origin of the invasion. Through research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we have received samples and expanded our genetic information database. This study analyzed genetic differences between 15 invasive populations and 44 reference groups. As a result of microsatellite analysis, the domestic invasive population showed a genetic structure similar to those in Guangzhou, China, and Florida, USA.
        66.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생활권 수목이란 주민들이 생활하는 지역에 식재된 수목으로, 가로수, 학교수목, 아파트 수목 등 종류가 다양 하며 도시경관과 생활환경 개선의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생활권 수목의 유지와 관리에 있어서도 인근 주민 에 혐오감이나 피해가 없도록 방제를 수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인 경엽살포의 경우, 약액 비산에 의해 주민들의 활동 제한, 안전사고 및 재산상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무에 약제를 직접 주입하는 나무주사(trunk injection)가 보편적인 생활권 수목 방제법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이는 주입물질의 손실이 없고, 외부환경에 크게 영향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생활권 수목 전반에 대한 나무주사 처리방법이 명확하지 않아 약효가 일부 가지에서만 나타나는 등 사후 검증 및 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생활권 수목 병해충 방제 나무주사 제품의 효과제고를 위한 기존 처리방법 개선 및 최적의 약제처리 방법을 검증하였다. 느티나무외줄면충(Colopha moriokaensis)을 대상으로 시험을 진행하였 으며, Acetamiprid을 시험약제로 사용하였다. 느티나무에 대하여 약제처리 위치, 주입량, 천공수, 주사시기에 따른 약효 및 약해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약제처리 방법을 제시하였다.
        67.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icrobes in insect gut significantly influence host physiology. While Lepidoptera is a diverse insect order,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bial symbiosis and host development remains elusive, especially concerning role of gut-colonizing bacteria in metamorphosis. We investigated the gut microbial diversity in Galleria mellonella throughout its life cycle using 16S rRNA amplicon sequencing. Our findings revealed a predominance of Enterococcus spp. in larvae and Enterobacter spp. in pupae. Remarkably, removing Enterococcus spp. hastened the larval-to-pupal transition. Transcriptome analysis showed an upregulation of immune response genes in pupae and hormone genes in larvae. Notably, the production of antimicrobial peptides in the host gut varied with developmental stages. Some of these peptides suppressed the growth of Enterococcus innesii, a dominant gut bacterium in G. mellonella larvae. This research underscores the pivotal role of gut microbiota shifts in metamorphosis, driven by the secretion of antimicrobial peptides in the G. mellonella digestive system.
        68.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금번 연구를 통해 외래산림해충 확산 분석 플랫폼 K-SDM (K-SDM)의 해충 분포 기능이 개발되었다. 해충 분포를 보여주는 기능은 2가지로 구현되며,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 국내의 해충 분포를 나타내는 “외래산림 해충분포”기능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예측되는 미래의 해충 분포를 제공하는 “외래산림해충예측”기능이 있다. “외래산림해충분포”는 조사자에 의해 현장에서 구축된 DB 현황을 지도상에 수치로 나타내며, 입력 기간, 해충 종 별로 구분이 가능하여 원하는 해충종의 분포를 선택하여 볼 수 있다. 지도 좌측에는 각 도별로 조사된 해충 개체수의 통계를 도표로 제공하여 수치상으로도 해충 분포를 파악할 수 있다. “외래산림해충예측”은 DB를 분석 하고 미래 기후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도출한 미래의 해충 예측 분포도를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미리보기 이미지 와 함께 원본자료가 첨부되어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본 플랫폼의 해충 분포 기능은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외래산림해충의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에 맞춰 이들의 현재 분포와 미래의 분포양상을 조기 파악하여 이를 통한 추후 조기 방제 및 대응책 마련 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69.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양봉꿀벌은 한 마리 여왕벌을 중심으로 일벌 및 수벌들이 군집을 이루고 있는 사회성 곤충이다. 꿀벌은 여왕벌 이 깨어나면 처녀비행 (반경 2.4~7.4km )을 하여 공중에서 여러 마리의 수벌들과 교미를 한 후, 자신의 봉군 내부로 돌아와 평생을 살아가는 생태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계통 증식 또는 품종 육종에서 외부의 오염원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여왕벌과 수벌이 격리된 지역에서 교미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여왕벌과 수벌이 격리될 수 있는 국내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격리교미 연구를 2020년부터 2023년 봄부터 가을까지 수행하 였으며, 육종을 위한 격리교미의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도서지역은 전남 - 낙월도, 전북 - 위도, 왕등도, 식도에서 수행되었으며, 섬 크기, 경관 환경 요인, 교미 시기 등에 의해 격리교미의 성공률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확인하였다.
        70.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국임업진흥원은 2012년 1월 설립된 산림청 산하의 공공기관으로서 산림과학기술의 보급과 임업 및 임산업 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임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 산림분야 활성화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소나무재선충병으로부터 국가 산림자원 보호를 위해 소나무재선충병모니터링센터를 2016년 1월에 설치하였으며, 최근 산림병해충이 산림을 비롯하여 생활권, 농림지 등에 돌발대발생하여 국민생 활에 불편을 초래하고 재산피해를 야기함에 따라 2021년 1월에 산림병해충모니터링센터로 확대 개편하여 산림 병해충 피해 예방과 감소를 위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주요 역할로는 주요돌발외래 산림병해충의 예찰 및 발생피해현황 모니터링, 방제약제 등록시험 운영 및 방제품질 관리, 예찰방제 전문가 양성 교육, 대국민 홍보 등이 있으며 본 발표를 통해 현재까지 산림병해충 관리를 위한 수행 내용과 결과를 공유하고자 한다.
        7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oney bees are crucial pollinators for agricultural and natural ecosystems, but are experiencing heavy mortality in Korea due to a complex suite of factors. Extreme winter losses of honey bee colonies are a major threat to beekeeping but the combinations of factors underlying colony loss remain debatable. Finding solutions involves knowin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high loss rates. To investigate whether loss rates are related to Varroa control and climate condition, we surveyed beekeepers in korea after wintering (2021–2022 to 2022–2023). The results show an average colony loss rate of 46%(2022) and 17%(2023), but over 40% colony loss before wintering at 2022. Beekeepers attempt to manage their honey bee colonies in ways that optimize colony health. Disentangling the impact of management from other variables affecting colony health is complicated by the diversity of practices used and difficulties handling typically complex and incomplete observational datasets. We propose a method to 1) Varroa mite population Control by several methods , and 2) Many nursing bee put in hive before wintering.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