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6

        78.
        200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H2S 22,0 - 21,1 line emission is observed to be strongly localized toward Sgr B2(M), and emissions from other positions in the more extended SgrB2 region are almost negligible. H2S is thought to form effectively by the passage of the C-type shocks but to be quickly transformed to SO2 or other sulfur species (Pineau des Forets et al. 1993). Such a shock may have enhanced the H2S abundance in Sgr B2(M), where massive star formation is taking place. But the negligible emission of H2S from other observed positions may indicate that these positions have not been affected by shocks enough to produce H2S, or if they have experienced shocks, H2S may have transformed already to other sulfur-containing species. The SO2 222,20 - 221,21 line was also observed to be detectable only toward the (M) position. The line intensity ratios of these two molecules appear to be very similar at Sgr B2(M) and IRAS 16239-2422, where the latter is a region of low-mass star formation. This may suggest that the shock environment in these two star-forming regions is similar and that the shock chemistry also proceeds in a similar fashion in these two different regions, if we accept shock formation of these two species.
        4,000원
        79.
        200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개 정자의 생존율 평가를 수행하고자 2-4세의 수캐 5두가 이용되었고, 분석을 위해 PI염색을 실시하였다. Flow cytometry를 이용한 개 신선 정액의 생존율 평가는 생존 정자와 죽은 정자의 비율을 1:0, 1:1, 1:3으로 조성하여 이를 flow cytometry로 평가하고 광학현미경검사, CFDA/PI 염색검사, HOS test에 의한 생존율과 비교하여 flow cytometry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개 정액을 동결하여 응해 후의 개 정자의 생존율 평가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신선 정액에서 생존 정자와 죽은 정자의 비율이 1:0, 1:1, 1:3 모든 경우에서 flow cytometry를 이용한 생존율은 HOS test에 의한 생존율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p<0.01). 신선 정액에서 생존 정자와 죽은 정자의 비율이 1:0과 1:3일 때 광학현미경적 검사에 의한 생존율은 flow cytometry 분석에 의한 생존율과 유의 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p<0.05), 1:1 비율의 경우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신선 정액에 생존 정자와 죽은 정자의 비율이 1:0과 1:1일 때 CFDA/PI 염색 검사에 의한 생존율은 flow cytometry분석에 의한 생존율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1), 1:3 비율에서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5). 동결 및 응해 후의 개 정자의 생존율 평가에서 HOS test 결과는 flow cytometry분석에 의한 생존율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p<0.01), 광학현미경적 검사를 통한 생존율은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p<0.05), CFDA/PI 염색 검사결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flow cytometry는 신선정액 및 동결ㆍ융해 후 개 정자에 대한 생존율 검사에 정확한 평가 방법 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