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9

        104.
        2000.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the high-latitude cloud MBM 7 using the 3 mm transitions of CO, CS, HCN, HCO+,C3H2,N2H+, and SiO. The molecular component of MBM 7 shows a very clumpy structure with a size of ≤0.5 pc, elongated along the northwest-southeast direction, perpendicularly to an extended HI component, which could be resulted from shock formation. We have derived physical properties for two molecular cores in the central region. Their sizes are 0.1-0.3 pc and masses 1-2 M⊙ having an average volume density ~2×10 3 cm-3 at the peak of molecular emission. We have tested the stability of the cores using the full version of the virial theorem and found that the cores are stabilized with ambient medium, and they are expected not to be dissipated easily without external perturbations. Therefore MBM 7 does not seem to be a site for new star formation. The molecular abundances in the densest core appear to be much less (by about one order of magnitude) than the 'general' dark cloud values. If the depletions of heavy elements are not significant in the HLCs compared with those in typical dark clouds, our results may suggest different chemical evolutionary stages or different chemical environments of the HLCs compared with dense dark clouds in the Galactic plane.
        4,000원
        108.
        199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have mapped 17 deg2 region toward Galactic anticenter in 12CO J = 1 - 0 using the 3 mm SIS receiver on the 14 m telescope at Taeduk Radio Astronomy Observatory (TRAO). The region mapped in this paper is the first target of the Galactic AntiCenter CO Survey Project (GACCOS) and was selected comparing with IRAS Sky Survey Atlas (ISSA) images at 100 μm. Molecular emission of the target area is found to be very extended and is well matching with the FIR emission boundary. There are several pieces of clouds, and as some of spectra show several peaks, there seem to be several clouds overlapped in some directions. The Velocity of Local Standard of Rest (VLSR) of the CO emission of the mapped region ranges from -20 to +10 km/s. It is also found that the two cloudlets located around I = 180° have VLSR = -20 km/s, which is very abnormal. The peak antenna temperature of 13 K arises near the H II Region S241.
        109.
        199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review observational evidence bearing on the formation of a prototypical large spiral galaxy, the Milky Way. New ground- and space-based studies of globular star clusters and dwarf spheroidal galaxies provide a wealth of information to constrain theories of galaxy formation. It appears likely that the Milky Way formed by an combination of rapid, dissipative collapse and mergers, but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se two mechanisms remain controversial. New evidence, however, indicates that initial star and star cluster formation occurred simultaneously over a volume that presently extends to twice the distance of the Magellanic Clouds.
        4,000원
        112.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이센 수화제와 다이센 M-45, 비침투성 살균제를 공시하여 양귀비 노균병에 대한 약제 방제효과를 포장에서 조사하였다. 상기 다이센계통의 두약제는 타약제에 비하여 노균병의 방제에 효과적이었으며 라텍스 수량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3,000원
        113.
        198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시험은 도입남양재 원목에 부착 또는 서식하는 유해병해충의 방제를 목적으로 실시하는 해수수침소독에 있어 농약의 소요량기준을 설정함을 목표로 실시한 것으로써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에 도입되는 남양재 원목의 평균 길이는 11.12m이었으며 직경은 69.55cm이었다. 2. 원목의 전재적에 대한 부상재적은 평균 이었다. 3. 원목의 전재적에 대한 부상표면적의 비의 값은 2.3356( 신뢰수준)이었다. 4. 원목의 전재종 대 부상표면적에 대한 표본추출오차는 1본선내 원목간의 오차(0.2087)가 10본선간의 오차(0.2952)보다 적었다. 5. 원목 당 농약의 적정소요량은 수동식살포기를 이용하는 경우 0.368cc, 그리고 동력분무기를 이용하는 경우는 0.295cc이었다. 6. 예를 들어 남양재 원목 을 도입하여 동력분무기로 해수수침소독을 실시하는 경우 농약소요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4,000원
        114.
        197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잠자의 중요한 병인 역병(Phytopthora infestans)은 우리나라의 주요씨감자 생산지대인 중부 고랭지대에서 매년 심한 피해를 초래하고 있는데 만일 포장에 역병이 처음 관찰된 후 약제를 살포치 않으면 식물체의 지상부는 14일 이내에 완전고사 하게 된다. 규칙적인 약제살포로 역병방제가 가능하지만 더욱이 역병발생예보에 따라 적기에 약제살포하므로써 방제효과는 물론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시험은 1970-1977년 8년간에 걸쳐 대관령의 기상상태와 역병발생 상황을 조사한바 7일 평균기온과 7일 적산강수량을 사용한 Hyre씨의 이동그라프(Moving graph)법에 의한 예보는 정확성이 높지 않았으나 여기에 상대습도와 7일 평균최저기온을 첨가하므로서 비교적 "Moving graph" 법에 의한 예보의 정확성을 높일 수가 있었다. 그러나 아직도 보다 정확한 역병예찰을 위하여 계속적인 조사시험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약제를 살포하는 곳에서의 역병에 감수성인 품종의 수량은 역병발생정도와 강우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대관령 지방에서 감자 파종 후 역병발생까지의 일수와 파종 후 90일 수량으로 그 해의 씨감자의 수확양과 공급량을 미리 예측할 수 있게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15.
        2012.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port describes the inception, development and extensive use over 30 years of elliptical polarimeters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The initial Mark I polarimeter design utilized oriented retarder plates and a calcite Foster-Clarke prism as the analyzer. The Mark I polarimeter was used on the Kitt Peak 0.9 m in 1969-70 to accomplish a survey of ap\-proximately 70 objects before the device was relocated to the 0.72 m reflector at the Flower and Cook Observatory. Suc\-cessive generations of automation and improvements included the early-80’s optical redesign to utilize a photoelastic modulated wave plate and an Ithaco lock-in amplifier–the photoelastic modulating polarimeter. The final design in 2000 concluded with a fully remote operable device. The legacy of the polarimetric programs includes studies of close binaries, pulsating hot stars, and luminous late-type variables.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