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4

        122.
        199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bacteriophage from the fresh oyster, Crassostrea Vrginiea which is specific to the marine bacterium was isolated and characterized. Among the four different vibrio species and the five different serotypes of. Vibrio parahaemolyticus host strains tested, only two strains of Vibrio parahaemolyticus possessing K17, K52 antigens were highly sensitive to the phage. The size of the isolated plaque was 0.4㎜ and the electron microscopic head size of the isolated phage was about 67 nm long and 83 nm wide. PFU/㎖ was 1.25×10^11. The phage was sensitive to chloroform but resistant to acetone or methanol. The assay of the iseoted phage nucleic acid was deoxyribonucleic acid. The restriction enzyme pattern showed 14 fragments from Hind Ⅲ and 4 fragments from Eco R I. Two different antigenic groups showed similar restriction enzyme patterns.
        123.
        199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國內)에서 생산(生産)된 백화사설초(百花蛇舌草) Oldenlandia diffusa(WiIId.) Roxb. 의 전초로 부터 얻은 MeOH extract를 CHCl3, EtOAc 및 BuOH로 분획하여 얻은 fraction으로 부터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3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이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및 분광학적(分光學的) data를 종합하여 화합물 I의 화학구조는 β-sitosterol에 소양(小量)의 stigmasterol이 함유된 sterol이며, 화합물 II는 ursolic acid이고, 화합물 III은 β-sitostero 3-0-β-D-glucoside임을 밝혔다. 이 식물은 다양한 생리활성(生理活性)이 보고(報告)된 ursolic acid의 중요한 자원식물(資源植物)이 될 수 있음을 본실험을 통하여 밝혔으며 문헌(文獻)에 보고(報告)된 oleanolic acid는 함유(含有)되어 있지 않음을 알았다.
        124.
        198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파종기이동에 따른 콩, 팥, 녹두의 개화기분포와 결협율의 변이를 알기 위하여 중부지방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는 품종 하나씩을 공시, 5월 10일, 6월9일, 7월 9일 파종구 및 5월 10일 파종후 단일 처리한 구를 두어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각 처리별 개화까지의 일수, 개화기간 그리고 개화시에서 정엽출현까지의 일수를 비교한 결과 공시된 중 품종은 유한신육형에 그리고 팥과 녹두는 무한신육형에 속하는 것이었다. 2. 주당개화수 및 성숙협수는 3작물이 모두 7월9일 파종구 및 단일처리구에서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결협율은 파종기에 따라서 일정한 경향 없이 콩 38~48%, 팥 23~34%, 그리고 녹두 46~60%였는데 콩과 녹두는 낙화 그리고 팥은 낙협이 각각의 결협률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3. 콩은 어느 파종구에서든지 1회의 개화성기를 보인 반면 팥과 녹두는 극만파구민 7월9일 파종구를 제외하고는 2~3회의 개화성기를 보였고 개화최성기는 콩이 개화시로부터 10일 이내에 왔으나 팥과 녹두는 파종기에 따라서 개화시로부터 25~45일 사이에 왔다. 4. 개화기에 따른 성숙협수의 분포는 모든 처리구에서 개화분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콩의 결협율은 개화최성기 직후에 핀 꽃들이 가장 낮았으며 그 이전 및 이후에 핀 꽃들이 점점 높은 값을 보였다. 팥과 녹두의 결협율은 각 개화성기 직전에 된 꽃들이 높았고 그 직후에 핀 꽃들이 낮은 값을 보였는데 7월 9일 파종구는 3작물에서 모두 시기적으로 늦게 핀 꽃일수록 결협률이 낮아졌다. 5. 중은 모든 파종구에서 정엽출현일을 전후로 한 5일 동안에 개화최성기를 보였으며 정엽전개 이전에 핀 꽃 및 여기서 생긴 성숙협수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한 반면 팥과 녹두는 정엽출현기와 개화 또는 결협간에 아무런 관계도 없었고 정엽전관 이후에 더 많은 꽃을 피웠다.cally, in Japan, the time came under Nara(나양) era(AD.719~AD.794) and the beginning of PyungAn(평안) era(AD.794~AD.1192) and in the same way in Parhae, King Mun(737-793) reign. One of the features at that time is that Tang's culture was introduced to ancient Japan positively. Since Nara era strongly accepted Tang's culture, I assume that Nara costumes were affected by Tang's therefore they are the same as Tang's. In the same way, Parhae's costumes are the same as Tang's, too. The point is, it is expected that the costumes of Parhae which were exchanged with ancient Japan are similar to those of Nara by the medium of Tang's costumes. the product category could be set up the population clearly.의 무게와 부피는 24주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냉동저장 감자의 무게와 부피 변화는 48주간 전혀 없었다. 상온 냉장저장 감자의 조직의 강도(hardness)는 24주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냉동저장 감자는 48주간 hardness의 변화가 전혀 없었다. Frozen mashed 감자는 저장기간이 지날수록 응집력(cohesiveness)이 조금씩 떨어졌으나 다른 시료들은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