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표적인 유기인계 살충성 0,0-diethylphenylphosphate 유도체의 양자 약리학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EHT와 CNDO/2분자궤도 함수 계산방법으로 0,0-diethylphenylphosphate 분자의 형태와 에너지성분 및 반응성을 검토하였다. 형태이성체들에 대한 전체에너지()와 쌍극자 능율값()을 계산한 바, 보다 인 형태가 와 및 만큼 작은 값을 나타낼뿐만 아니라, steric factor도 작아지므로 형태가 가장 알짜 안정화된 형태이었으며 형태에 대한 HOMO, LUMO에너지, 알짜 전하, overlap population, AO계수 등을 계산하였다. Hammett식에 적용하며 치환기 효과를 검토한 결과, 전자를 끄는 치환기에 의하여 P원자의 양하전이 증가하는 coulomb term 효과와 LUMO에너지가 낮아지는 frontier orbital term 효과가 같은 경향으로 이루어저 charge-control-led reaction과 orbital-controlled reaction이 일어나는 형의 반응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알았다.
        4,000원
        2.
        197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금속류의 유관산업의 증대로 부수적으로 배출되는 중금속의 농경지오염도 증가되는 경향에 있는바, 공업단지주변의 답토양에 함유된 구리, 아연, 납, 카드뮴을 원자흡광분석법으로 정량하였다. 공시토양의 채취지역은 경인지방과 전북(전주 및 이리공단)으로 국한했는데 이 dusr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종 중금속 공히 시흥군 서면지역(Cu : 23.09 ppm, Zn : 113.4 ppm, Pb : 86.3 ppm, Cd : 2.05 ppm)의 함량이 가장 높고, 안양천주변(Cu : 8.5 ppm, Zn : 16.6 ppm, Pb = 7.9 ppm, Cd : 0.33 ppm) , 김포부천(Cu : 7.4ppm, Zn : 8.2 ppm, Pb : 8.5 ppm, Cd : 0.14 ppm)의 순으로 그 함량이 낮았으며, 시흥군서면의 경우는 인근에 소재했든 아연광산의 영향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낸 것으로 보며, 전주와 이리지역은 자연부존량의 최소치에 근사할 정도의 매우 낮은 함량이었다. 2. 안양천변과 인접한 경작지는 하류에 갈수록 중금속류의 함량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구로공단지역은 가장 높았다. 3. 경인김포지역은 부평수출공단지역이 가장 높은 함량이고, 한강을 농업용수원으로 이용하는 계양면이 가장 낮았으며, 고촌면의 상류의 부평공단경수가 오염되어 계양면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진다. 4. 각종 중금속류의 함량분포를 보면, Cu, Zn, Pb는 시흥군서면외는 대부분 10 ppm 미만이며, Cd는 0.2 ppm 미만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같은 함량은 수도의 생육장해농도와 비교할 때 극히 낮은 안전한 함량이었는데,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인 시흥군서면지역은 앞으로의 축적상태를 단속하여 구명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으키지 않았다.) (5) 충영내 유충의 밀도는 약제의 종류, 농도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Omethoate, Salithion처리에서 충영내 유충밀도가 낮었다. 농도가 낮어짐에 따라 충영당 유충의 밀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충영내유충의 밀도는 7월 15, 7월 17일 처리에서만 조사 되었는데 처리시기간에는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희석한계는 , 그리고 보존한계는 2 일이었다. 8.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순화는 2회의 분획원심과 Sephadex gel filtration에 의해서 가능했다. 9. 전자현미경하에서 관찰한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길이 1200-1225mu 폭 10-12mu의 사상이었다. 10. 혈청학적 미량침강 반응법에 의해 마늘잎에서뿐만 아니라 인편과 주아에서도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검정이 가능했다. 11. 우리나라 5개 지방에서 수집한 마늘 종구 150개와 주아 30개에 대해 혈청학적방법으로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감염률을 조사한 결과 의 감염률을 보였다. 12.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와 크기가 근사한 Potato Virus X. Potato virus Y, Potato virus S, Potato virus M 등과의 혈청학적 유연관계를 조사한 바,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이들과 구별되는 다른 바이러스라고 생각된다. 13. 마늘의 모자이크 감염주에서 단일계통으로 분리하여 본 실험에 사용한 바이러스는 마늘의 바이러스 무감염주를 얻을 수가 없기 때문에 직접 마늘잎에 접종해서 모자이크톤의 병원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검정식물상의 반응, 혈청학적반응, 전자현미경적 관찰등의 간접적인 조사 결과로 미루어 미인록의 마늘모자이크 바이러스라고 생각된다.TEX> 구에서는 의 난기 치사율을 나타내었고 F2
        4,000원
        3.
        197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동차의 배기중에 함량된 납에 의한 우리나라 고속도로변 농경지에 축적된 납의 함유량을 파악코져, 고속도로와의 방향과 거리 및 토심별로 밭과 논에서 채취한 토양시료를 원자흡광법으로 분석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통량(10,000 대/일)이 많은 서울매표소와 경기죽전에서는 도로변에 동서로 까지 밭 토양에서 납의 축적현상을 나타냈으며, 그 수준은 정도 이었고, 도로변에 가까울수록 납의 함유량이 많았으며 그 밖의 거리까지는 축적되지 않았다. 2. 교통량(5,000 대/일)이 다소 많은 대전회덕 지방은 동쭉 1m 지점에서만 약간의 축적된 경향 (16.3ppm)을 보였으며, 그 밖의 거리까지는 아직 그 축적은 인정되지 않았다. 3. 논밭을 부문하고 경부선의 대전 이남과 호남 및 남해고속도로의 기지 지역에 있어서는 김해동래 지구(약 12 ppm)를 제외하고는 납의 축적경향은 없었다. 4. 토심별로는 대부분 표토층에 납이 축적되어 있고, 토심으로의 납의 이전은 인정하기 어려웠다. 5. 시료채취지점의 고속도로와의 방위에 있어서는 경기죽전에 있어서 동서간에 약 4배의 축적량의 차이를 나타냈을 뿐이며, 그 밖의 지점에 있어서는 대차가 없고 일관성있는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6. 농경지의 대부분은 고속도로 양변의 15m 이상의 거리에 위치하여 있고, 또한 남의 함유량은 최고 5 ppm 정도로서 자연부존량의 수준에 불과하였다.불나방 핵다각체 바이러스와 가잠의 핵다각체 바이러스는 상호 교우감염을 일으키지 않았다.) (5) 충영내 유충의 밀도는 약제의 종류, 농도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Omethoate, Salithion처리에서 충영내 유충밀도가 낮었다. 농도가 낮어짐에 따라 충영당 유충의 밀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충영내유충의 밀도는 7월 15, 7월 17일 처리에서만 조사 되었는데 처리시기간에는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희석한계는 , 그리고 보존한계는 2 일이었다. 8.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순화는 2회의 분획원심과 Sephadex gel filtration에 의해서 가능했다. 9. 전자현미경하에서 관찰한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길이 1200-1225mu 폭 10-12mu의 사상이었다. 10. 혈청학적 미량침강 반응법에 의해 마늘잎에서뿐만 아니라 인편과 주아에서도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검정이 가능했다. 11. 우리나라 5개 지방에서 수집한 마늘 종구 150개와 주아 30개에 대해 혈청학적방법으로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감염률을 조사한 결과 의 감염률을 보였다. 12.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와 크기가 근사한 Potato Virus X. Potato virus Y, Potato virus S, Potato virus M 등과의 혈청학적 유연관계를 조사한 바,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이들과 구별되는 다른 바이러스라고 생각된다. 13. 마늘의 모자이크 감염주에서 단일계통으로 분리하여 본 실험에 사용한 바이러스는 마늘의 바이러스 무감염주를 얻을 수가 없기 때문에 직접 마늘잎에 접종해서 모자이크톤의 병원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검정식물상의 반응, 혈청학적반응, 전자현미경적 관찰등의 간접적인 조사 결과로 미루어
        4,000원
        4.
        197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항성유기인계농약인 fenitrothion 유제를 8개품종이 수도체에 살포시용하고, 부착 및 침투된 주성분의 경시적변화와 곡위중의 집적잔류량을 GLC로 분석, 검토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FTD/GLC에 있어서 Silicone DC-200 column으로 nano-gram 이하까지 fenitrothion 주성분의 검출이 가능한 조작조건을 밝혔다. 2) 출수전의 수도체에 fenitrothion을 반당 20l의 농산로 살포한 바, 전엽에 평균 15.32ppm이 부착, 24시간후에 1.67ppm(약 )이 잔존하였고, 살포 24시간후의 침투량은 6.75ppm()으로, 24 시간경과후 2.61ppm(이 잔존하고 그후의 감소는 완만하며, 침투분의 잔존율이 높았다. 3) 엽신과 엽초별 침투량은 엽신이 월등히 높았으나 잔존율은 비등하였고, 침투 3일이내에 급격한 감소(약)를 보이고, 그 후는 완만한 감소로 10일후에는 약 의 잔존율을 유지하였다. 4) 곡위중의 fenitrothion 잔류량은 왕겨에 0.02-0.05ppm(평균 0.04ppm), 현미에 0.01 ppm-0.02ppm(평균 trace)수준으로 왕겨중함량의 약 해당하며, WHO/FAO의 권고잔류허용량 (과채류는 0.1-0.5 ppm, 곡류는 미설정)에 훨씬 미달되는 수치였다.
        4,000원
        5.
        197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지별로 채취된 쌀, 보리, 밀에 함유된 잔류농약(유기수은제 및 유기감소제)을 Dithizone법과 GLC법으로 비교분석한 바 이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Recovery는 유기수은에 있어서 TLC법.에 비하여 GLC법이 양호했고, 유기감소제는 GLC법으로 평균 약 였다. 2. 시료중 유기수은의 잔류수준은 Dithizone법으로 쌀에 있어서 ND-0.053, .보리는 ND-0.051, 밀은 ND-0.033pm이었고, GLC법으로는 쌀은 trace(less than 0.002ppm)-0.036, 보리는 trace-0.030, 밀은 trace-0.025ppm으로 GLC법이 다소 낮은 수치였다. 3. 유기감소제의 잔류수준은 GLC법으로, 쌀에 있어서 BHC(trace-0.0090ppm), DDT(ND-0.0001ppm), Aldrin(trace-0.0032ppm), Heptachlor(race-0.0031ppm), Dieldrin(ND-0.0092ppm), Endrin(ND-0.0057ppm)이었는데, 수은화합물과 모두 공인최대허용량에 월등히 미달되는 안전수준이었다. 4. Column packing은 유기수은분리에는 -DEGS/chromosorb-W,A,W., 유기감소제에는 -DC-200/chromosorb-W,A.W.,가 적당하였는데, 유기수은제의 injection sample의 조제에 있어서 ?를 겸한 정제와 reduced glutatione에 의한 유출처리는 ghost peak의 소거와 성분 peak의 완전분리에 효과가 컸으며 검출감도도 높았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