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2.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자의 생장점 배양을 통하여 생산된 소량의 소괴경(microtuber)을 경삽하여 균일하게 생장된 플러그우량묘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삽수를 정단 및 기부부위로 구분하고 NAA 및 IAA 10 mg /1 용액에 2시간 침지하여 cocopeat, vermiculite, perlite, peatmoss 혼용배지를 이용한 삽목과 온로장 처리 ,포장정식후 괴경형성효을에 대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감자의 소괴경 유내 줄기를 이용한 플러그 삽목시 고체배지는 cocopeat, vermiculite, perlite, peatmoss를 이용한 혼합배지에서 플러그의 형성율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2. 고온장일조건(20℃ 이상, 16시간의 일장)에서는 지상부생육 및 지하부발근이 양호하였으나, 외부방치구에서는 발근이 부진하고 복지가 발생하여 소괴경이 형성되었다. 3. 지상, 지하부 생체중은 생장조절제 전처리시 NAA 10mg/1 및 IAA 10mg/1 간에 차이가 없었다. 4. 삽수부위별로는 삽목묘의 초기생육은 초장에서는 비슷한 경향이었고, 그 외 엽수, 근수, 근장 등의 형질은 정단부위묘가 양호하였지만, 포장정식 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5. 삽목묘를 봄재배하여 괴경형성여부를 시험한 결과 초장은 70~80cm, 복지수 10여개, 괴경수는 7~8개가 형성되었다.
        3.
        197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도 화산회토 신개간지에 있어서 숙전화를 촉진시키는 한가지 방법으로서 적응력이 강하고 잡초의 재생을 억제하는 능력이 강한 두과작물을 선택하고자 알팔파, 화이트클로버, 채두, 완두, 대두 및 차풀 등의 6개 두과작물을 공시하여 이들의 근류착생 정도를 조사하고 이중 근류착생이 가장 양호하였던 차풀의 잡초와의 경합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착생된 근류의 무게는 차풀에서 가장 무거웠고 다음은 완두, 대두, 화이트클로버, 채두 및 알팔파의 순이었다. (알팔파는 관찰 불가) 2. 자연초지에 차풀을 파종할 경우 그 건물중은 4년차까지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띠는 3년차 부터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3. 제주도 지방의 신개간지에서는 지력증진을 위해서 차풀을 재식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추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