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태평광기(太平廣記) 「수족(水族)」류 수괴(水怪)에 대한 후속 연구이자, 수괴의 주요 능력인 ‘변신(變身)’에 대한 심화 연구이다. 주요 텍스트는 「수족」류 9권 (권464∼권472)에 수록된 179편의 이야기이다. 우선 변신의 분포 상황 및 변신 전후 의 존재 형태에 따른 변신의 유형과 의미를 개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이야기의 실 제 내용에 근거하여 변신의 발생 조건과 변신의 목적, 변신의 과정 및 지속과 해제 등으로 구분하여 변신의 원리와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고대 수괴 의 세계관을 구축할 수 있었으며, 변신이라는 장치 속에 들어있는 고대 중국인의 문 화적 경험과 상상력의 양상을 살필 수 있었다. 이는 고전의 활용 가치를 높여 현대 적 의의를 더하는 작업일 뿐 아니라, 중국 해양문화의 역사적 연원과 시대적 특징을 탐색하고, 해양문화콘텐츠의 내용을 풍부하게 만드는 성과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태평광기는 북송 시대 이방(李昉) 등이 황명을 받아 편찬한 이야기 모음집[類書] 으로 모두 6,995편의 이야기를 수록하고 있는 중국 설화문학의 보고이다. 본 연구는 태평광기 「수족」류 이야기 속의 ‘수괴’(水怪)를 정의하고 수괴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주요 텍스트는 「수족」류 179편의 이야기이다. 우선, 이 야기 속에 반영된 공통요소를 찾아 수괴를 정의하고, 이를 토대로 수괴를 추출해 분 포 현황을 정리한다. 다음으로 수괴 이야기의 실제 내용에 근거하여 수괴의 특징을 발생원인, 종류와 외형, 능력(변신, 현몽, 유혹) 및 퇴치법 등을 중심으로 분석해서 수괴에 대한 당시의 인식을 고찰하고 중국 고대 수괴의 세계관을 구축하고자 한다. 물[水]과 관련된 주요 콘텐츠인 수괴에 대한 연구는 기존 태평광기 연구의 공백을 메우는 의의를 가질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고전이라는 원천콘텐츠를 다양한 문화콘 텐츠로 활용하는데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 러 해양문화콘텐츠의 연구 제재를 풍부하게 하여 해양문화학의 구축과 발전에도 일 정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