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4.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염색체분리를 위해서는 미세소관과 동원체의 부착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이 정확한 시기와 위치에서 조절이 되어야 한다. 이 과정은 주로 Chromosomal passenger complex(CPC)에 의해 조절되게 되는데, 체세포 분열에서는 Histone H3 Thr 3 자리의 인산화가 CPC를 동원체로 불러오게 함으로써 염색체 분리의 과정이 가능하게 해준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작은 미세소관이 동원체에 비정상적으로 부착되었을 시에 발생하는 오류를 바로 잡을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이에 대한 과정은 아직까지 감수분열에서 알려진 바가 없다. 먼저, 감수분열에서의 Histone H3 Thr 3의 인산화 활성을 알아보았다. Histone H3 Thr 3의 인산화는 제 1 감수분열 전기에서 중기까지 염색체 전부에서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제 1 감수분열 후기로 접어들면서 염색체의 팔에서 발현되었던 인산화는 줄어들고, 동원체에서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istone H3 Thr 3 인산화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서, 이를 인산화 하는 Haspin 카이네즈 저해제를 난자에 처리하였다. 저해제가 처리된 난자에서는 Histone H3 Thr 3의 인산화가 사라지면서 세포주기가 중기에서 멈췄고, CPC가 염색체에서 확산되면서 염색체가 적도판에서 비정상적으로 정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감수분열 동안 Histone H3 Thr 3의 인산화 활성이 염색체의 분리가 적절한 시기와 위치에서 이루어지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2.
        2014.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난자에서 감수분열이 일어나는 동안 centromere와 microtuble의 부착이 일어난다. 이때 잘못된 부착이 일어나면, 염색체 비분리로 인해, 배아의 염색체 이수성, 착상실패 및 자연유산을 야기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난자의 감수분열에서의 동원체와 미세소관의 부착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난자의 감수분열동안 염색체와 미세소관 부착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단백질 Zwint-1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Zwint-1은 바깥 표면의 동원체 단백질로써 RZZ복합체(Rod/Zwilch/Zw10), KMN(KNL-1/Mis12/ Ndc80)복합체와 상호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주입법을 통한 RNAi 방법을 사용하여 난자에서 Zwint-1의 발현을 Knock down 시켰다. 그 후 RT-PCR법을 이용하여 난자내의 Zwint-1의 발현감소를 확인하였으며, 면역형광법을 이용하여 Zwint-1의 위치와 단백질 발현 등을 관찰하였다. 또한 Zwint-1과 상호작용하는 단백질인 Zw10의 위치를 확인하였으며, Spindle assembly checkpoint(SAC)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난자의 감수분열 동안, Zwint-1이 kinetochore와 microtubule의 부착을 매개함으로써, SAC의 활성을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Zwint-1이 체세포 분열뿐 아니라, 난자의 감수분열에서도 kinetochore와 microtubule의 부착을 조절하는 중요한 매개인자임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