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효율적인 도로의 설계와 관리를 위해서는 도로건설의 경제성 분석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도로 상태별 차량별 유류소모량의 평가가 필요하다. 도로에서는 초기 건설비용, 유지보수비용, 차량운행비용, 지정체비용 등이 발생되는데, 도로의 경제성 분석을 위해서는 초기 건설비용, 유지보수비용 등과 같은 관리자비용과 차량운행비용, 지정체비용 등과 같은 이용자비용을 모두 포함한 사회적 비용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 중 차량운행비용은 교통량에 따라 그 비용이 변화되므로 차량운행비용 항목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유류소모량 또한 교통량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그런데 유류소모량은 차량의 주행속도 및 도로포장의 상태, 특히 평탄성에 따라 크게 변화되므로 도로의 경제성 분석을 위한 차량운행비용의 산정을 위해서는 주행차량에 대해 도로 상태에 따른 유류소모량을 평가하여 경제성 분석에 반영해야 할 필요가 있으나 아직 이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운행되는 승용차에 대해서 도로 상태별 유류소모량 추정모델을 개발하였다. 우선 우리나라의 교통시설 투자평가 및 도로건설의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차량운행비용 산정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주행속도와 유류소모량의 관계식을 고찰하고, 승용차를 대상으로 도로포장의 평탄성에 따른 유류소모량 변화의 관계를 실제 도로에서 실측하여 평탄성과 유류소모량 변화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평탄성에 따른 유류소모량의 변화는 평탄성이 1m/km 증가하였을 경우 100km 주행시 약 80ml 정도의 비율로 유류소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도로의 설계 및 유지관리에 있어서 보다 정확한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도로포장의 평탄성에 따른 유류소모량 변화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4,000원
        2.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높은 차량운행비용(VOC : Vehicle Operating Cost)은 포장도로 복구작업의 주요한 원인이고, 차량운행비용(VOC)은 연료소모량, 오일소모량, 부품교체비용 등으로 구성된다. 이중 연료소모량이 VOC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다른 도로조건에 비해 도로 표면 거칠기가 도로의 노화 정도를 대표적으로 지시하는 값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포장도로의 표면 거칠기(IRI : International Roughness Index) 변화에 따른 차량의 연료소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차량의 연료분사 인젝터의 전압변화를 측정하여 연료소모량을 계산하였고, 속도는 GPS센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IRI 변화에 대한 연료소모량의 변화율을 계산할 수 있었다. 계산 결과, 40~100km/h 속도영역에서 중형 및 대형 승용차의 연료소모량(L/100km)은 3.5m/km 정도의 IRI 수준에서 IRI(m/lm) 증가율의 7배 정도로 증가하였고, 60km/h의 속도에서 가장 연비가 우수하였다.
        4,000원
        3.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효율적인 도로포장의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포장에 대한 경제성 분석이 필요하고, 포장의 경제성 분석을 위해서는 포장상태의 정확한 예측이 중요하다. 우리나라 일반국도의 포장관리시스템에서는 HDM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고 있는데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도로포장의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포장상태 예측모델의 정확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HDM 프로그램 예측 모델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표적인 포장파손 항목인 균열에 대한 HDM의 파손 예측 결과와 실측값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HDM 프로그램의 개요 및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균열 예측 모델을 설명하고 포장 장기공용성 관측구간의 실측값과 HDM 계산값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공용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HDM 계산값이 측정값보다 균열율이 높게 나타나지만 일관된 경향을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이는 예측 모델이 잘못되었거나 측정이 잘못되었을 수도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므로 향후 포장상태 예측 모델의 정확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