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1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經絡은 처음부터 완벽한 체계를 이룬 것이 아니었고, 지금 역시 완벽한 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지금 통용되고 있는 12經絡은 각각 臟腑와 연결되어 있지만, 그 연결도 긴밀하지 않으며, 經脈의 불완전성을 보완하기 위해 絡脈, 奇經八脈등으로 그 象과 數의 변화와 첨가를 거듭하여 경락의 연결을 더 긴밀하게 변화시켜왔다. 이렇게 경락설의 진화과정과 변화의 원리를 합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Kluge라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Kluge의 의미는 간단히 말하면 ‘불완전끼리의 완전’이다. 담배가 해로운지 알면서 끊지 못하는 인간, 자기에게 유리한 쪽으로 모호한 기억을 가지고 있는 인간, 가격과 가치를 구분하지 못하는 인간 등 인간에게 있어 결함들이 모여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것들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마왕퇴 출토의서인 <足臂> <陰陽> 에서 􋺷靈樞􋺸에 이르기까지 의사학적인 시각으로 경맥의 체계가 어떻게 형성 발전되었는가를 통해 경맥의 오류와 불완전성 즉, 경락의 Kluge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手足+陰陽+臟腑’ 의 개념체계가 나중에야 성립됨으로써 그 과정에서 생겨나게 된 오류, 經脈은 원래 12개가 아니었고, 手足陰陽이 6개씩으로 평형적이지 않아서 생기게 된 오류, 순환적이지 않았던 經脈체계 때문에 생겨나게 된 오류 같은 것들이 있음을 찾았다. 그리고 이런 오류와 불완전성을 보충하기 위하여서 經別, 六腑下合穴, 開闔樞와 같은 여러 장치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에 불완전성을 어떻게 보완할 지 고찰해 본 결과 기존 경락에 효과가 있는 새로운 穴을 도입하자는 대안이나 병인으로 다시 穴을 재분류 하자는 대안, 인체의 클루지적특성을 감안하여 새로운 인체부위설정을 통한 經絡설정을 하자는 등의 대안이 있었다.
        5,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