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역세척이 가능한 평막과 MBR 하부에서 공급되는 공기 및 자연적으로 순환되는 구형 입자를 이용하여 투과 실험하였다. 활성슬러지 수용액은 MLSS 8,000 mg/L로 유지하였으며 여과/이완(FR), 이완시 역세척(FR/BW), 사인파형 연속투과 운전(SFCO) 및 사인파형 연속투과 운전 시 역세척(SFCO/BW) 방식에 따른 막간차압(TMP)을 측정하였다. 역세척 유량을 47에서 14 L/m2⋅hr로 감소시키면, TMP가 증가하였으며 SFCO보다는 FR 방식의 TMP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역세척 방식이 구형입자를 이용한 세척방식보다 TMP를 더 감소시켰으며, 구형입자와 역세척 방식을 동시에 사용하면 각각의 방법보다 더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2.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BR(membrane bioreactor)공정은 운전시간이 지날수록 막 오염이 진행되면서 막간차압(TMP, transmembrane pressure)이 증가하고 결국 여과 성능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막 오염 제어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기술이 개발,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막 오염을 제어하기 위하여 MBR 하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자연적으로 순환되는 구형 비드와 역세척(backwashing)이 가능한 평막을 이용하여 사인파형 연속 투과운전(SFCO)방식에 따른 막간차압을 측정, 비교하고자 하였다.
        3.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자생물학의 발달로 최근에야 비로소 조금씩 비밀이 풀려가는 생체 주기성에 대하여 고대인들은 그 원인과 기전에 대해서는 알 수 없었지만, 경험적으로 그 존재에 대하여는 東西를 막론하고 이해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한의학에서는 十二經脈의 시간에 따른 유주 특성을 통해 인체 생리의 일주기 특성을 이해하였으며, 이에 따라 疾病의 치료와 양생에 적극적으로 응용하여 왔다. 본 논문에서는 한의학에서 十二經脈의 시간적 유주 특성과 현대 서양의학에서의 호르몬 분비 변화 주기가 생체시계, 즉 인체 생리의 일주기 특성이라는 동일한 면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보는 합리적인 방법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체 생리 활동에 큰 영향을 끼치며, 일정한 분비 주기특성을 지니는 멜라토닌, 성장호르몬, 인슐린, 코티솔의 일주기 특성과 생리적 작용을 분석하고, 각 호르몬의 분비가 왕성한 시간대에 盛하게 流注하는 經脈의 특성과 비교하여, 十二經脈의 시간적 유주 특성이 생체시계를 이해하는 동양의학의 합리적인 방법인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고대인들은 원리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었지만, 인체 내 생리시계의 존재를 경험적으로 잘 이해하고 있었으며, 이를 十二經脈의 시간적 유주 특성으로 표현하여 합리적으로 활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5,700원
        4.
        201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經絡은 처음부터 완벽한 체계를 이룬 것이 아니었고, 지금 역시 완벽한 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지금 통용되고 있는 12經絡은 각각 臟腑와 연결되어 있지만, 그 연결도 긴밀하지 않으며, 經脈의 불완전성을 보완하기 위해 絡脈, 奇經八脈등으로 그 象과 數의 변화와 첨가를 거듭하여 경락의 연결을 더 긴밀하게 변화시켜왔다. 이렇게 경락설의 진화과정과 변화의 원리를 합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Kluge라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Kluge의 의미는 간단히 말하면 ‘불완전끼리의 완전’이다. 담배가 해로운지 알면서 끊지 못하는 인간, 자기에게 유리한 쪽으로 모호한 기억을 가지고 있는 인간, 가격과 가치를 구분하지 못하는 인간 등 인간에게 있어 결함들이 모여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것들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마왕퇴 출토의서인 <足臂> <陰陽> 에서 􋺷靈樞􋺸에 이르기까지 의사학적인 시각으로 경맥의 체계가 어떻게 형성 발전되었는가를 통해 경맥의 오류와 불완전성 즉, 경락의 Kluge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手足+陰陽+臟腑’ 의 개념체계가 나중에야 성립됨으로써 그 과정에서 생겨나게 된 오류, 經脈은 원래 12개가 아니었고, 手足陰陽이 6개씩으로 평형적이지 않아서 생기게 된 오류, 순환적이지 않았던 經脈체계 때문에 생겨나게 된 오류 같은 것들이 있음을 찾았다. 그리고 이런 오류와 불완전성을 보충하기 위하여서 經別, 六腑下合穴, 開闔樞와 같은 여러 장치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에 불완전성을 어떻게 보완할 지 고찰해 본 결과 기존 경락에 효과가 있는 새로운 穴을 도입하자는 대안이나 병인으로 다시 穴을 재분류 하자는 대안, 인체의 클루지적특성을 감안하여 새로운 인체부위설정을 통한 經絡설정을 하자는 등의 대안이 있었다.
        5,100원
        5.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s: This study was produc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oxibustion that had been played important role to traditional oriental medical treatment on disease.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moxi-tar which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moxibustion as burning combustibles decreased nitric oxide(NO) and inducible NO synthase (iNOS) generation in cellular experiments. Methods: Carrageenan-induced arthritis rat model was used to test the effect of moxi-tar as a chronic pain model. Diluted moxi-tar was single injected in several acupoints or combined with electroacupuncture (l ms, 2 Hz, and 2 mA) into contralateral ST36 acupoint for 30 min to assess the synergic effects. After the treatment, behavioral tests measuring stepping force were periodically conducted during the next 12 hours. Endogenous NO and iNOS, cyclooxygenase-2 (COX-2), and c-Fos protein expression in the spinal cord were examined on a rat model of carrageenan-induced arthritis. Results : After the induction of arthritis, rats subsequently showed a reduced stepping force of the affected limb for at least the next 4 days. The reduced stepping force of the limb was presumably due to a painful knee, since oral injection of indomethacin produced temporary improvement of weight bearing. Maxi-tar produc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stepping force of the hindlimb affected by the arthritis lasting at least 9 hours. The magnitude of this improvement was equivalent to that obtained after an oral injection of 3 mg/kg of indomethacin and this improvement of stepping force was interpreted as an analgesic effect. Maxi-tar produced the improvement of stepping force of the affected hindlimb in a dose-dependent manner. Both NO production and iNOS, COX-2 protein expression increased by arthritis were suppressed by maxi-tar. Moxi-tar on combination with electroacupuncture (EA) produced more powerful and longer lasting improvement of stepping force of the hindlimb affected by the arthritis than either moxi-tar or EA did. Conclusion :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maxi-tar produces a potent analgesic effect on the chronic knee arthritis pain model in the rat and that moxi-tar-induced analgesia modulate endogenous NO through the suppression of iNOS/COX-2 protein expression.
        4,800원
        6.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千金方(Qianjinfang)> which documents a great amount of prescription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bikes an important role during the development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hus, it have given rise us to the research-situation of Tang Dynasty China of previous period. This study was to outline the rules of choosing acupoints as well as the prescriptions of contemporary times in reference with <千金方(Qianjinfang)>, and to discuss the conception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in <千金方(Qianjinfang)>. Method: Based on <千金方(Qianjinfang)>, the parameters were categorized to a certain scope, syndromes in different type were classified. Also numbers of acupoints, route of meridians locations, utilities of special acupoints even prescription method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in reference with <千金方(Qianjinfang)>. Results & Conclusion: Acupuncture prescription in <千金方(Qianjinfang)> was mostly presented by single acupoint and this was basic prescription of its rule of choosing acupoints. Choosing acupoint for the majority of various diseases started from choosing meridians with the disorder, but no rules for choosing acupoints was clear. There was basically various methods in choosing acupoints, but little were used by Biao-Ii meridian choosing method (表裏經配穴.) In the high frequency of use, wu-shu acupoints was higher used than other specific acupoints (特定穴). While wu-shu acupoints treated the major parts of the diseases, shu-mo acupoints were strictly used on system. Consequently : The theoretical basis originating the choosing rules of the acupoints and prescriptions was shown in <千金方(Qianjinfang)> as representative clinical reference, through which it was valuable to analyze the prescription rule and specificity of the acupoint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