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0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중국해 외대륙붕 지역에 분포하는 니질퇴적상의 기원지를 밝히기 위해 이곳 니질퇴적물의 지화학적 조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황하 및 양자강 퇴적물의 자료와 비교 검토해 보았다. 연구지역 표층퇴적상은 니토 퇴적상이 분포하는 중앙부지역과 사질니토 퇴적상이 전역에 넓은 분포를 보인다. 퇴적물내 Fe, Mg, K, Ti 및 Mn과 같은 주성분 원소와 미량원소 함량은 Al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퇴적물내 점토광물이 이들 원소 농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주성분원소들의 공간분포에서 Fe, Ti 및 Mn원소는 양자강하구역과 가까운 중앙부 서쪽지역에서 높은 함량을 보여 양자기원 물질이 유입되고 있음을 추론케 한다. 연구지역 니질퇴적물의 Sc/Al, Ti/Nb, Th/Sc, Cr/Th, Nb/Co 및 Th/U 비는 황하와 양자강 기원의 퇴적물을 구분해주는 유용한 지화학적 지시자로 제시될 수 있었다. 이들 원소의 상관도에서 연구지역의 북쪽에 분포하는 니질퇴적물은 황하기원 퇴적물과 유사한 특징을 보이나, 양자강 하구역과 가까운 남서쪽의 퇴적물은 양자강 퇴적물과 유사성을 보여 동중국해 외대륙붕의 니토 퇴적상은 복합기원 퇴적물의 집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4,200원
        2.
        200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및 고등학교의 지구과학 내용에 대한 멀티미디어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학습프로그램은 HTML 형식이며 텍스트, 사진, 그림, 동영상 등 다양한 내용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크게 학습 내용, 용어사전, 생활 과학, 탐구 활동, 영상 자료, 형성 평가 등 6가지 데이터베이스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멀티미디어 학습 프로그램을 교사와 학생들에게 적용해본 결과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 프로그램은 현재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인터넷 흠페이지에서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4,300원
        3.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ratigraphy and evolution of the intertidal deposit of Gunhung Bay, west coast of Korea, have been studied by analyzing surface sediments, core sediments and subbottom profiles. The surficial sedimentary facies consists of upper mudflat, mixedflat and lower mudflat from high tide level to low tide level. The tidal deposit above the acoustic basement is 5 - 20m thick and can be divided into two sedimentary sequences by a mid-reflector. The boundary of them is identified by long core data. The lower sedimentary unit (sequence B) consists of semi-consolidated, brown sandy muds and is interpreted to be deposisted during Riss-Wurm interglacial period. The upper sedimentary unit(sequence A), which overlies the sequence B unconformably, is about 10m thick and consists of Holocene intertidal sediments. The sequence A consists of mudflat facies at lower part and mixedflat facies at upper part. It indicates that the sequence A is a transgressive sequence. Many V-shaped erosional patterns at the unconformable contact of sequence A and sequence B indicate the existence of old tidal channels formed during the low sea level of the last glacial period. The long-term accumulation rate of sequence A is considered to be 2㎜/yr from core data and it is coincident with the accumulation rate determined by Pb-210 for the PVC core.
        4,300원
        4.
        198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wave refraction prospecting was carried out using the 12 channel enhancement seismograph in Reclaimed Land Region A of Cheonsu Bay, which has been stabilized for agriculture by Hyundai Construction Co. since 1984. The subsurface layer structure was interpreted in terms of the seismic velocity of sediments, the depths of the velocity boundaries estimated from timedistance curves of 6 prospecting lines and the drilling core data in adjacent sites. The velocity distribution of subsurface layer is divided into the 1st layer, the 2nd one, the 3rd one and the deepest one, and their velocity ranges are respectively less than 800 m/s, 800-1700 rNs, 1700-2700 rNs and more than 2700 m/s. The 1 st layer is aeration zone, the 2nd one Cheonsuman Formation deposited in the Holocene intertidal environment, the 3rd one the semi-consolidated Pre-Holocene Kanweoldo Formation and weathered zone of the baserock, and the deepest one the base-rock of schist or granite. In general, the thickness of the 1st layer is about 2 m, the 2nd one 5-20 m and the 3rd one 15-22 m. The estimated depth to the base-rock varies locally from 22 m to 33 m and on the whole increases as it comes near the lak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