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도심에 위치한 캠퍼스 내 무장애나눔길을 이용자의 관점에서 개선이 필요한 요소를 도출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인 원광대학교 무장애나눔길은 학교 내에 조성되어 있으며, 병원, 도서관 등의 공공시설과 자연식물원이 인접해 학생, 교직원 및 지역 주민 등 다양한 계층이 이용하고 있는 공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정 IPA 분석을 활용하여 원광대학교 무장애나눔길 대상 으로 이용객들의 중요도 및 만족도 인식을 파악하고 이용자 관점에서 공간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광대학교 무장애나눔길 이용에 있어 ‘보행로의 경사’, ‘보조기구 사용 용이성’, ‘데크길의 편의성’ 등은 무장애나눔길 이용에 있어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 두 높은 항목으로 나본 연구는 도심에 위치한 캠퍼스 내 무장애나눔길을 이용자의 관점에서 개선이 필요한 요소를 도출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인 원광대학교 무장애나눔길은 학교 내에 조성되어 있으며, 병원, 도서관 등의 공공시설과 자연식물원이 인접해 학생, 교직원 및 지역 주민 등 다양한 계층이 이용하고 있는 공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정 IPA 분석을 활용하여 원광대학교 무장애나눔길 대상 으로 이용객들의 중요도 및 만족도 인식을 파악하고 이용자 관점에서 공간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광대학교 무장애나눔길 이용에 있어 ‘보행로의 경사’, ‘보조기구 사용 용이성’, ‘데크길의 편의성’ 등은 무장애나눔길 이용에 있어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 두 높은 항목으로 나타났다. 둘째, ‘야간 이용성’, ‘안전 펜스’, ‘휴식/편의공간의 유무 및 배치’, ‘커뮤 니티 공간’은 중요도는 높지만 만족도는 낮은 항목으로 나타났다. 셋째, ‘곡선형 동선’, ‘휴식공간의 수’, ‘황토포장길의 편의성’ 등의 항목은 만족도는 높으나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항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무장애나눔길의 공간 개선에 있어 중요도 대비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항목 들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개선하고 나머지 항목들은 현재의 수준을 유지하며, 향후 이용자 요구 변화에 따라 점진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타났다. 둘째, ‘야간 이용성’, ‘안전 펜스’, ‘휴식/편의공간의 유무 및 배치’, ‘커뮤 니티 공간’은 중요도는 높지만 만족도는 낮은 항목으로 나타났다. 셋째, ‘곡선형 동선’, ‘휴식공간의 수’, ‘황토포장길의 편의성’ 등의 항목은 만족도는 높으나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항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무장애나눔길의 공간 개선에 있어 중요도 대비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항목 들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개선하고 나머지 항목들은 현재의 수준을 유지하며, 향후 이용자 요구 변화에 따라 점진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