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콩의 단백질함량을 높이고 단백질 특성을 개선시키며, 고 기능성 보유 콩을 육성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야생콩의 조단백, 조지방, 아미노산조성 및 isoflavone 함량을 분석 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야생콩 132점의 조단백질함량은 평균 45.4~% 이며, 함량범위는 37.4~~50.2~% 이었으며, 조지방함량은 평균 9.3~% 으로 일반 재배종콩에 비하여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2. 총 아미노산의 평균 함량은 19,214ug/g , 함량범위는 16,098~~22,112ug/g 수준이었으며, 황함유 아미노산인 methionine은 평균 252.7ug/g , cysteine은 102.9ug/g 의 함량을 나타냈다. 3. 전체 아미노산 함량 중 methionine과 cysteine은 각각 1.3~%,0.5~% 의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glutamic acid가 16.1~% 로 가장 높았다. 4. 전체 아미노산 함량과 황함유 아미노산과의 상호관련성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충남 부여수집종인 IT182823 과 경기 포천 수집종인 IT184213이 높은 황함유 아미노산 함량을 나타냈다. 5. 총 아이소플라본의 평균 함량은 1,105ug/g 이었으며, aglycone 중 genistein의 평균 함량이 695.2ug/g 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daidgein, glycitein 순이었다. 6. Isoflavone과 genistein과의 상호관련성에 있어서 시험재료는 isoflavone 함량이 높으면 genistein 함량이 높은 경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