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4.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흑마늘 음료의 기호성과 기능성 증진을 위해 흑마늘과 미나리의 배합비를 각각 3:0(BD-1), 2:1(BD-2), 1:1(BD-3), 1:2(BD-4)의 비율(w/w)로 달리하여 제조한 음료의 식품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토 하였다. 흑마늘 미나리 혼합음료의 pH는 미나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당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도는 L값과 b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a값은 미나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2.40(BD-1)에서 6.46(BD-4)로 증가 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BD-4에서 46.96 μg/mL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BD-3(42.36 μg/mL), BD-2(41.91 μg/mL), BD-1(28.48 μg/mL) 순으로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BD-4에서 18.60%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D-3(15.53%), BD-2(12.53%), BD-1(10.27%) 순으로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BD-1에서 28.72%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으며, 미나리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BD-2는 39.43%, BD-3은 45.69%, BD-4는 52.51%로 나타났다. 철 이온 킬레이트 효과는 미나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BD-1(6.38%)에 비해 BD-4(39.94%)에서 6배 높게 측정되었다. 수용성 비타민(B1, B2, B6, C) 함량은 미나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비타민 C의 경우 BD-1(130.10 μg/mL)에 비해 BD-4(806.21 μg/mL)가 6배 가량 증가하였다. 관능검사의 경우도 색, 향, 맛, 종합적 기호도에서 BD-4가 가장 양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흑마늘 미나리 혼합 음료를 제조할 경우 흑마늘과 미나리를 1:2 비율(w/w)로 혼합하는 것이 생리활성과 관능적 품질 특성 측면에서 우수할 것으로 사료된다.
        2.
        2013.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various Cheonggukjang extracts, such as the water extract from Cheonggukjang (CWE), the alcohol extract from Cheonggukjang (CEE), the water extract from Cheonggukjang with black garlic (BWE) and the alcohol extract from Cheonggukjang with black garlic (BEE),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lack garlic on the sensory quality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Cheonggukjang.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various extracts were 7.03 mg/100 g (BWE), 3.64 mg/100 g (CWE), 2.88 mg/100 g (BEE) and 0.81 mg/100 g (CEE).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DPPH radical was highest in BWE (91.83%), followed by BEE (37.35%), CWE (25.54%) and CEE (14.80%), in that order. The SOD-like activity was highest in BWE (20.20%), followed by BEE (9.22%), CWE (7.91%) and CEE (6.45%).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were highest in BWE (35.18%), followed by BEE (28.33%), CWE (17.40%) and CEE ((14.93%).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Cheonggukjang (CC) was higher than that of Cheonggukjang with black garlic (CCWB), but th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of CCWB (43.18%) was higher than that of CC (42.27%). The 27 kinds of free amino acid were found in CC, but only 23 kinds were found in CCWB. The L-lysine content was highest (9.23%) in CC, and the L-phenylalanine content was highest (23.14%) in CCWB. The free amino acids (L-threonine, L-serine, L-sarcosine, L-proline, L-alanine, L-valine and D,L-β-aminoisobutyric acid) were found in CC but not in CCWB. The γ-amino-n-butyric acid (GABA) was found in CCWB but not in CC.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black garlic has beneficial effects on the functionality of Cheonggukjang without decreasing its sensory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