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혈통이 확인된 한우 암소의 체중과 월령에 따라 난소에서 난포의 분포 양상을 확인하고, 체외성숙배양 배지가 채취된 미성숙 난자/난구세포의 배양시 분할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도축장에서 도축된 암소들의 혈통, 생체중, 및 월령을 기준으로 적출된 난소를 분류한 후, 난소 모양, 황체, 백체 및 난포액 분포 양상을 확인하였고, 개체별 한우 난소에서 18G 주사침이 장착된 5ml 주사기를 이용하여 난자를 채취한 후, 실체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난구세포가 난자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난자를 회수 하였다. 회수한 미성숙난자를 25mM HEPES 와 10% FBS 가 첨가된 TCM-199 으로 옮겨 2~3 회 세정한 후, follicle stimulating hormone(FSH, Sigma) 0.5 μg/ml, luteinizing hormone(LH, Sigma) 0.5μg/ml, β-estradiol(Sigma)1μg/ml 가 첨가된 미성숙 난자의 체외성숙배지 BO, TCM199, 및 IVMD101 를 각각 사용하여 22 시간 동안 38.5℃, 5% CO2 배양기에서 성숙시켰다. 동결정액은 동일한 보증씨수소 정액을 37.5℃에서 30 초간 융해 하였으며, 최종 정자에는 IVF100 을 첨가하여 각각의 정자 droplet 에 난자들을 38.5℃, 5% CO2 조건의 배양기에 5~6 시간동안 체외수정 하였다. 연구 결과, 무혈통 번식 한우의 체외성숙 배지별 분할율은 BO 배양액에서 23.99%였고, TCM199 에서 47.99%, IVMD101 에서 40.04%로, BO 가 가장 낮았고 TCM199 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개체별 체중에 따른 난자의 체외성숙 배지별 분할율은 480kg 미만의 경우, TCM199 에서 72.73%였고, IVMD101 에서 33.77%로 TCM199 이 월등히 높았다. 480-639kg 의 경우, TCM199 에서 50.05%였고, IVMD101 에서 55.11%로 IVMD101 가 높았으나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다. 640-699kg 의 경우는 TCM199 에서 65.38 %였고, IVMD101 에서 47.92%로 TCM199 가 높았으며, 700kg 이상의 경우에는 TCM199 에서 61.75%, IVMD101 에서 55.63%로 TCM199 가 더 높게 나타났다. 개체별 월령에 따른 난자의 체외성숙 배지별 분할율은 39 개월 미만의 경우, TCM199 에서 62.41%, IVMD101에서 50.00%로 TCM199 이 높았고, 39-50 개월미만의 경우에는 TCM199 에서 51.22%, IVMD101 에서 49.89%로 TCM199 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50 개월 이상의 경우에는 IVMD101 에서 57.40%로 TCM199 에서 52.25%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체중별로 채취된 난자는 TCM199 에서 분할율이 높았으며, 월령별로 채취된 난자는 50 개월이상의 경우 IVMD101 에서 분할율이 높았으나 39-50 개월미만과 39 개월미만의 경우 TCM199 에서 분할율이 높아 다른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체중, 월령 및 배양 배지에 따라서 분할율의 향상과 이때 발현되는 번식형질 유전자의 발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alytical methods for odorous butanol compound were developed using canister sampling method and solid adsorbent sampling method. Stability of butanol gas component was evaluated for enhancing accuracy of measurement and to avoid a problem of its poor stability due to its polar character. Quality control method of the analysis was also examined. Gaseous standard gas containing BuOHl and MEK was prepared using canister for evaluation of stability and analytical linearity. BuOH showed a poor stability and poor linearity compared to MEK. However, when the same VOC standard was prepared using adsorbent tube, the stability and linearity of BuOH were much better compared to canister method. Therefore, sampling for the measurement of BuOH in air using adsorbent tube can give better result compared to canister method.
        4,000원
        3.
        2006.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certainty evaluation was performed for the measureme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 in indoor air. The analytical procedure and result were validated by evaluating every uncertainty source related to the measurement method. An easy approach for uncertainty evaluation for indoor VOC measurement was tested using relative standard uncertainty method which is simple in the evaluation of a measurement uncertainty in case of indoor VOC measurement. The measurement uncertainties of toluene, ethylbenzene, m+p-xylene, styrene and o-xylene in indoor air are obtained as less than or close to 10%, and those results were validated by using Gum-workbench uncertainty evaluation program. Based on the evaluation, uncertainties were found to come largely from two major sources, uncertainty related to the concentration of standard Tenax tube which was used for calibration in measurement, and the to air sampling process.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good example in evaluating uncertainties in the measurement of indoor-air VOC at buildings including a newly-built apartment.
        4,500원
        6.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