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1

        2.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반성분 중 조회분 함량은 버섯이 균사체 보다 높은 조회분 함량을 보였다. 조단백질은 모든 시험구에서 19% 내외로 나타났고, 조지방 함량은 동충하초 균사체에서 가장 높았으며, 조섬유는 팽이버섯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용성물질소물은 팽이버섯균사체와 동충하초균사체에서 60% 이상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각 시료별 총단백질과 총당의 구성 비율은 팽이버섯과 팽이버섯 균사체의 단백다당류의 구성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시료별 핵산관련물질 함량은 팽이버섯에서 5'-GMP, 5'-XMP, 5'-IMP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팽이버섯 균사체는 5'-XMP, 5'-GMP, 5'-IMP, 동충하초 균사체는 5'-XMP, 5'-IMP, 5'-GMP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모든시료에서 각각 17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각 시료의 총 아미노산 함량을 살펴보면 팽이버섯 18,980 mg%, 팽이버섯 균사체 17,604 mg%, 동충하초 균사체 18,429 mg%로 나타났고 모든 시료에서 glutam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다. 유리아미노산 함량도 구성아미노산과 유사하게 팽이버섯, 팽이버섯 균사체, 동충하초 균사체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결과 팽이버섯, 팽이버섯 균사체 및 동충하초 균사체는 핵산관련 물질과 아미노산 함량이 높게 나타나, 아미노산 함유 식품 개발에 적합한 자원으로 활용도가 기대된다.
        4,000원
        3.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아주까리누에(Samia cynthia ricini)는 산누에나방과의 곤충으로 인도의 아삼과 벵갈 지방이 원산지로 주로 아주까리 잎을 먹으며 연 2세대 생산되는 누에와 달리 최대 6세대까지 생산이 가능한 다화성 곤충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주까리누에의 기능성 성분을 식의약 소재로 개발하기 위하여 아주까리누에와 일반누에의 이화 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누에는 5령 3일이 경과된 아주까리누에, 백옥잠 유충을 동결건조 하여 사용하였다. 이화학적 특성은 일반성분, 무기성분, 아미노산, 지방산 등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15~19%, 조지방 13~17%, 조회분 6.5%, 조단백 34.3%로 나타났고 무기성분은 칼륨 2.5%, 인 0.9%, 칼슘, 마그네슘 0.3%를 함유하였다. 총아미노산은 아주까리누에가 7.4%로 백옥 잠보다 2%이상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1.36%, Threonine 0.99%, Serine 0.9% 등 이었다. 지방산 조성비를 확인한 결과 linolenic acid가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고 palmitic acid, oleic acid가 뒤를 이었다.
        4.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식량위기와 환경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미래의 식량자원이자 고부가가치 식 품인 곤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벼메뚜기(Oxya chinensis sinuosa)는 청정 지역에서만 자라는 곤충으로 예로부터 구황식품으로 이용하여 왔고 식품공전에 식품으로 등재되어 있다. 벼메뚜기는 영양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아미노산 조성이 동물성 식품에 비해 낮지 않으며 고단백 식품으로 가치가 인정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벼메뚜기를 이용한 식품이 다양하지 않아 벼메뚜기를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벼메뚜기의 최적 추출 조건에 따른 항산화활성과 아질산염소거능을 연구하여 가공식품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자 한다. 시험에는 벼메뚜기의 성충을 동결건조 하였고 추출용매는 주정과 증류수 를 이용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7~10%, 조단백 46~54%, 조지방 7~10%, 조회분 1.5~2.9%로 나타났다. 벼메뚜기는 70% 주정 추출물에서 70~92%의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으며 수컷보다 암컷에서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염소거능은 pH 가 낮을수록 수컷보다 암컷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6.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tra-hydrothiophene ((CH₂)₄S) has an odor that is detectable at very low levels. For this reason, it was included as a component of dangerous gases to allow the detection of leaks by smell. A type of tetra-hydrothiophene gas CRM in the μmol/mol level was developed for the analysis of trace-level odorant gas in natural gas. The gas standards produced simultaneously in 3 bottles and examined by GC-FID were show with 0.12%, reproducibility of preparation and 0.05%, standard uncertainty due to weighing and purity. The concentration of tetra-hydrothiophene ((CH₂)₄S) was 10 µmol/mol level in the cylinder filled with methane, 1500 psi. And the variability of concentration for 1 years was about 0.03% due to the adsorption or instability of (CH₂)₄S. The relative expanded uncertainty of 1.0% (95% of confidence level, k=2) was assigned to the certified value of 10 μmol/mol level of(CH₂)₄S after quantitative evaluation on the purity, mixing, weighing, analysis, adsorption and stability of tetra-hydrothiophene gas.
        4,000원
        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alytical methods for odorous butanol compound were developed using canister sampling method and solid adsorbent sampling method. Stability of butanol gas component was evaluated for enhancing accuracy of measurement and to avoid a problem of its poor stability due to its polar character. Quality control method of the analysis was also examined. Gaseous standard gas containing BuOHl and MEK was prepared using canister for evaluation of stability and analytical linearity. BuOH showed a poor stability and poor linearity compared to MEK. However, when the same VOC standard was prepared using adsorbent tube, the stability and linearity of BuOH were much better compared to canister method. Therefore, sampling for the measurement of BuOH in air using adsorbent tube can give better result compared to canister method.
        4,000원
        9.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0.
        1996.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솔잎의 향기성분을 용매분획과 수증기증류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솔잎을 hexane, ethyl acetate 및 ethanol로 연속적으로 추출하였을 때, 29종의 향기성분이 분리, 확인되었고, 주요 성분은 hydrocarbon이었다. hexane 추출에 의한 솔잎의 주요 향기성분은 α-pinene, β-thujene, trans-caryophyllene, β-cubebene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솔잎을 hexane으로 추출한 잔사에 ethyl acetate를 가하여 향기 성분을 분석하였을 경우 추출된 향기성분은 α-cubebene, 3,6,9,12,15-petaoxanonadecan-1-ol, camphene, 순으로 높았고, 솔잎을 hexane 및 ethyl cetate로 추출한 잔사에 ethanol을 가하여 분석한 경우는 β-D4-tetrahydropyran, γ-cadinene, 3-ethyl-1,4-hexadiene, α-cubebene등이 주성분이었다. 솔잎을 수증기 증류하여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44종의 성분이 분리, 확인되었고, hydrocarbon류가 주성분이었다. β-cubebene, trans-caryophyllene, 2-hexenal, T-muurolol, δ-cadinene 순이었다. 수증기 증류법에 의한 방법으로 추출 하였을 때 용매분획 추출시 보다 더 많은 성분이 검색되었고, 용매분획에 따라 추출되는 향기성분의 함량과 조성은 차이가 있었으며, 추출방법에 따라서도 향 기성분의 조성비가 다르게 나타났다.
        4,000원
        12.
        201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evidence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by analyzing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treptococcus thermophilus KCCM 3782 strain-fermented Cordyceps militaris grown on Tenebrio molitor. Among the solvents test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in the hot water-extracted sample after 30 min of extraction. Moisture content decreased, whereas crude protein and fat content increased, after lactic acid bacteria-mediated fermentation. Sodium, magnesium, calcium, and zinc contents increased, with potassium levels attaining the maximum value, whereas free amino acid content decreased after the fermentation. Among Hunter's color values, a value increased to 66.7→149.92 after fermentation, whereas the L and b values decreased to 15.79→-15.75 and 54.45→0.01, respectively. Cordycepin content assay increased from 7.02 mg% to 8.66 mg%.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fermented product was 91.92 EDA%,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xtract (84.69 EDA%). The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ies were also higher in the fermented products.
        13.
        201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ermented milk with addition of hot water extract of Cordyceps militaris grown upon Tenebrio molitor. The general components of Cordyceps militaris grown upon Tenebrio molitor are moisture 10.85%, crude protein 18.44%, crude fat 2.07%, crude ash 5.46%.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different solvents were the highest (74.81 EDA%) with hot water extract sample. The acidity of fermented milk was high with increasing amount of extracts. The pH of fermented milk reached 4.60-4.66 after 4 h of fermentation, and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was highest (11.70 log CFU/mL) with 1% fermented milk. The moisture content of fermented milk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contents of crude protei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ddition amount. Regarding Hunter’s color values, L value decreased as the amount of extract increased, whereas a value and b value increased. The content of free amino acid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extract.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fermented milk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s the addition amount of extract increased. In the sensory evaluation, fermented milk containing 1% of extract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14.
        201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variation in free sugars, organic acids,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Solanum nigrum Linne fruits according to harvest time. Four kinds of free sugars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were detected in S. nigrum fruit, and the free sugar contents varied significantly with harvest time. Organic acid content of S. nigrum fruit showed the highest in malic acid and acetic acid, and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organic acids was found in S. nigrum fruit harvested on October 18th and October 25th. For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S. nigrum fruit harvested on October 18th was the highest. The strongest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howed in S. nigrum fruit harvested on October 11th and October 18th.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antioxidant effects were the highest in the ethanol extract from S. nigrum fruit collected on October 18th and October 11th. Thus, it seems the best to harvest of S. nigrum fruit harvested on October 11th and October 18th.
        15.
        2016.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variation in free sugars, amino acids,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olanum nigrum Linne based on harvest time. Major amino acids identified by HPLC analysis were proline, histidine, and serine.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amino acids were found in S. nigrum aerial parts and roots harvested on July 10th and August 10th. Four kinds of free sugars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were detected in S. nigrum, and the free sugar content varied significantly with harvest time. The fructose content of S. nigrum decreased with as harvest time increas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S. nigrum was highest in those harvested on August 30th.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S. nigrum collected at different harvest times were measured b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s.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se extracts were assayed via nitric oxide suppression in C6 glioma cells with a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antioxidant effects were the highest in the extract from S. nigrum collected on August 30th. Good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in ethanol extract of S. nigrum roots harvested on August 30th.
        16.
        201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청을 막걸리 제조시 용수로 사용하기 위해 효모에 따른 유당 분해능과 ethanol 생성능력을 측정하고, 유청 첨가 비율에 따른 막걸리를 제조하여 총산, pH, 환원당, ethanol 및 관능평가 등 품질특성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당 분해능은 K. marxianus KCCM 35455과 K. marxianus KCCM 50700이 가장 뛰어난 유당 분해능을 보였으며, ethanol 생성능력은 K. marxianus KCCM 50700 균주의 ethanol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당 분해능과 ethanol 생성능이 우수했던 K. marxianus KCCM 50700의 효모를 선정하여 유청 막걸리 제조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청 첨가비율에 따른 막걸리의 발효과정 중 총산은 K. marxianus KCCM 50700으로 담금한 시료구의 경우 S. cerevisiae로 담금한 막걸리의 산도보다 비교적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pH는K. marxianus KCCM 50700로 담금한 시료구의 경우 S. cerevisiae로 담금한 막걸리의 pH보다 비교적 높은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 함량은S. cerevisiae 시료구에서는 유청 첨가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환원당 함량이 높아졌으며, K. marxianus KCCM 50700 시료구에서는 큰 함량 차이가 나타내지 않았다. ethanol 함량 변화는K. marxianus KCCM 50700로 담금한 시료구가 S. cerevisiae로 담금한 시료구 보다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는 향, 색, 맛 및 종합 기호도면에서 K. marxianus KCCM 50700로 담금한 유청 100% 첨가 시료구가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17.
        201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갈대를 첨가한 약주의 발효기간 중 pH는 증자 후 덖음한 갈대순을 첨가한 약주의 pH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고, 대조구와 증자 후 덖음 한 갈대 뿌리를 첨가한 약주는 같은 값을 보였다. 총산 함량은 발효 종료 시점인 12일째의 총산 함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환원당 함량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발효 기간 중 시료를 첨가한 시기인 발효 6일째의 환원당 함량 또한 시료구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갈대 약주의 ethanol 함량은 대조구가 15.31%로 갈대순을 첨가한 약주의 15.30%과 뿌리를 첨가한 시료구의 15.28%과 비교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약주에서 확인된 주요 유리당은 glucose였고, fructose와 sucrose는 갈대순과 뿌리를 첨가한 약주에서는 검출 되었으나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약주의 total polyphenol 함량은 갈대순 및 뿌리를 첨가한 약주가 4.26 mg% 및 4.21 mg%로 대조구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DPPH free radical 소거능 또한 갈대순을 첨가한 약주와 뿌리를 첨가한 약주가 25% 및 23%로 대조구의 20%에 비해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갈대를 첨가한 약주의 관능검사 결과 향, 색 및 맛 모두 갈대순 0.3% 첨가 약주가 가장 높은 기호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종합 기호도 또한 갈대순 0.2%~0.4%를 첨가한 약주의 3개 시료구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그 중 0.3% 첨가 약주가 7.2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18.
        201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갈대의 이용 가치성을 높이고자 수행하였으며, 갈대 부위와 증자 처리에 의한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수분은 무증자처리 시료와 증자처리 시료 모두 어린순이 뿌리 보다 높았다. 조회분은 무증자처리 시료에서는 어린순이 증자처리 시료에서는 뿌리가 높은 함량을 보였고, 조단백질 함량은 무증자처리 시료와 증자처리시료 모두 어린순이 뿌리 보다 높았다. 조지방은 무증자처리 시료에서 어린순과 뿌리의 함량이 0.67%이었으나, 증자처리 시료에서 어린순이 뿌리보다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였고, 조섬유 함량은 무증자처리 시료와 증자처리 시료 모두 어린순이 뿌리 보다 높았다. 가용성무질소물은 무증자처리 시료와 증자처리 시료 모두 뿌리가 어린순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함량을 보였다. 유리당 총 함량은 무증자처리 시료와 증자처리 시료 모두 뿌리가 어린순 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유기산 또한 유리당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무기성분은 어린순과 뿌리 모두 무증자처리 시료와 증자처리 시료 모두 Ca과 K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갈대의 총 유리아미노산은 무증자처리 시료와 증자처리 시료 모두 어린순이 뿌리보다 높았으며, 이 중 serine이 주요 아미노산으로 나타났다. vitamin C 함량은 무증자처리 시료에서 어린순이 61.74 mg%로 뿌리의 4.54 mg% 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증자처리 시료에서는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어린순이 뿌리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Total polyphenol 함량은 무증자처리 시료와 증자처리 시료 모두 어린순이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은 무증자처리 시료와 증자처리 시료를 비교 할 때 크게 차이는 나지 않았으나, 뿌리가 어린순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였다.
        19.
        201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흑찰미를 이용한 식초를 개발하기 위해 초산생성능이 우수한 초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여 균주별로 제조한 식초의 품질특성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산 생성력이 우수한 균주를 선정하기 위해 초산균 분리용 평판배지에 도말하여 8종의 균주를 순수 분리하였으며, 이들 균주와 시판 균주 2종의 초산 생성능을 확인한 결과 가장 높게 나타난 시판균주 2종, 분리균주 F-1 및 H-4를 식초 발효 균주로 선정하였다. 분리균주의 종을 확인하기 위해 16S rR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분리균주 모두Acetobacter 속으로 동정되었으며, F-1 및 H-1 균주를 Acetobacter sp. F-1, Acetobacter sp. H-1으로 명명하였다. 초산균 균주를 달리하여 제조한 흑찰미식초의 산도 변화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발효 16일까지 꾸준히 높아지다가 일정한 산도를 유지하였으며 시료구간의 최종 산도는 FV-1 식초의 총산 함량이 7.4%로 가장 높았다. 색도의 경우 L값 75.01∼80.11, a값 3.34∼3.92, b값 12.84∼18.09 범위로 나타났다. 균주별 흑찰미식초의 주요 유기산은 acetic acid으로 나타났으며 총 유기산 함량은 HV-4, FV-1, CV-2 및 CV-1 식초 순으로 나타났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분리균주 F-1 식초가 351.43 mg%으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균주 C-2 식초가 247.74 m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균주에 따른 흑찰미식초의 관능평가 결과는 분리균주 H-4로 제조한 식초는 전반적으로 낮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분리균주 F-1로 제조한 식초가 향, 색 및 종합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가장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낸 F-1 균주가 흑찰미식초 제조에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20.
        2014.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쌀 전분의 사상균별 누룩에 따른 발효적성을 확인을 위해 7종의 곰팡이로 누룩을 제조하여 당화력, 액화력, 단백질 분해력을 비교하고, 누룩별 약주의 품질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균주별 당화력은 R. oryzae KCCM 11272으로 제조한 누룩이 3,647.72 SP/g으로 가장 높았다. 시판 누룩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누룩의 당화력은 A. kawachii KCCM 32819와 A. niger KCCM 32005로 제조한 누룩 외 시판 누룩의 당화력 보다 높았다. α-amylase 활성은 R. japonicus KCCM 11604로 제조한 누룩이 가장 높았고, M. rouxii KCCM 60148로 제조한 누룩의 액화력 또한 높았다. 단백질 분해력은 R. japonicus KCCM 11604로 제조한 누룩이 가장 높았다. 결과적으로 곰팡이 균주별 누룩의 당화력, 액화력 및 단백질 분해력의 효소활성은Rhizopus 속이Aspergillus 속 및 Mucor 속 보다 높았다. 누룩별 약주의 pH는 시판누룩으로 담금한 약주가 4.14로 가장 높았고 R. japonicus KCCM 11604 균주로 제조한 누룩으로 담금한 약주가 시판 누룩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산 함량은 R. oryzae KCCM 11273 균주로 제조한 누룩으로 담금한 약주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Ethanol 함량을 측정한 결과R. oryzae KCCM 11272 누룩으로 제조한 약주가 15.2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R. japonicus KCCM 11604 누룩으로 제조한 약주가 15.10%이었다. 균주 속별 ethanol 생성능은 Rhizopus 속의 균주가 Aspergillus 속과 Mucor 속 보다 높았다. 관능평가 종합 기호도는 R. japonicus KCCM 11604 누룩으로 담금한 약주가 5.7로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누룩별 효소활성 측정 결과 Rhizopus 속의 균주가 높은 활성을 보였고, 누룩별로 담금한 약주의 품질 특성 결과도 Rhizopus 속으로 제조한 누룩의 약주가 품질이 우수한 결과를 보여 쌀 전분의 발효에 적합한 곰팡이는Rhizopus 속이라 판단되며, 그 중 R. japonicus KCCM 11604 균주로 누룩을 제조해 쌀약주를 담금할 경우 발효적성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