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1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천연염색에서 각 염료의 혼합 염색에 따른 발색 재현 기술을 개바람으로써 다양한 천연 염료를 사용한 혼한 염색의 결과에 대한 발색 시뮬레이터의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천연 염색을 위한 염료로는 쪽과 홍화를 사용하였으며 염색을 위한 직물로는 모시를 이용하였다. 쪽 및 홍화의 반복 염색을 통해 염색된 직물의 분광 반사율을 모델링하고 이로부터 혼합 염색에 대한 결과를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즉, 단일 염료에 대한 직물의 분광 반사율을 추정하기 위해서 각 염료별로, 염색횟수에 따른 감쇄 계수를 계산하여 분광반사율의 변화를 예측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염료별로 계산한 감쇄 계수의 1차 선형 조합으로 복합 염색된 직물의 분광반사율을 추정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평가를 위해 쪽과 홍화로 혼합 염색한 실제 시료와 제안한 방법으로 예측한 시료의 영상에 대하여 정량적인 색차평가를 수행하였다. 결과, 평균 색차 8 미만의 수준에서 복합 염색의 발색을 예측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2.
        201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쪽을 이용한 천연염색에서 염색의 횟수에 따른 발색 재현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반복 염색에 따른 발색 시뮬레이터의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천연염료로는 쪽을 사용하였고 염색의 매질로는 닥원료를 사용하였다. 닥원료를 1회에서 70회까지 반복하여 염색한 닥죽을 만들고 이를 제지하여 천연염색된 감지(紺紙)를 제작하였다. 원지로부터 반복 염색된 감지의 발색을 재현하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주성분 분석을 위해 모집단으로는 멘셀색시료를 사용하였으며 RGB카메라를 고려하여 3개의 기저함수로 부터 직물의 분광반사율을 모델링하였다. 그리고 닥원료로 만든 원지(原紙)와 염색된 감지의 분광반사율을 기저함수의 선형조합으로 표현하고 이로부터 염색횟수에 따른 감지의 분광 반사율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감쇄함수를 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평가를 위해 염색 횟수별로 실제 염색한 감지와 원지로 부터 예측한 영상을 비교하고 정량적인 색차평가를 수행하였다. 결과 반복 염색시 재현성이 일정하다는 가정에서 색차 1미만의 범위에서 천연염색에 따른 감지의 발색을 재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4.
        199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variation of free sugar and free amino acid contents of apples during the ripening period was determined by HPLC and amino acid analyze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es: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were present in the apples. The contents of fructos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order of sucrose and glucose. The contents of total sugar in Red fuji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Fuji. During the ripening period, the contents of fructose increased conspicuously for the harvesting season and then it decreased gradually. The contents of glucose increased gradually for the harvesting season and then it somewhat decreased. The contents of sucrose increased continually, while, the contents of total free sugar reached the maximum for the harvesting season and then it decreased gradually. A variation in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 and composition during the ripening period didn'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major free amino acid of the apples was in the order of aspartic acid, serine, threonine, glutamic acid, histidine, arginine, and alanine. During the ripening period, aspartic acid, threonin, serine, alanine, histidine, and arginine increased gradually. Especially, alanine, histidine, and arginine increased remarkably after the the harvesting season. Glutamic acid, valine, isoleucine, and leucine didn't show much change. The contents of total amino acid increased little by little as the apples ripened, dranstically increased during the harvesting season and slowly increased or slightly decreased after the harvesting seasom.
        4,000원
        5.
        1996.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솔잎의 향기성분을 용매분획과 수증기증류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솔잎을 hexane, ethyl acetate 및 ethanol로 연속적으로 추출하였을 때, 29종의 향기성분이 분리, 확인되었고, 주요 성분은 hydrocarbon이었다. hexane 추출에 의한 솔잎의 주요 향기성분은 α-pinene, β-thujene, trans-caryophyllene, β-cubebene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솔잎을 hexane으로 추출한 잔사에 ethyl acetate를 가하여 향기 성분을 분석하였을 경우 추출된 향기성분은 α-cubebene, 3,6,9,12,15-petaoxanonadecan-1-ol, camphene, 순으로 높았고, 솔잎을 hexane 및 ethyl cetate로 추출한 잔사에 ethanol을 가하여 분석한 경우는 β-D4-tetrahydropyran, γ-cadinene, 3-ethyl-1,4-hexadiene, α-cubebene등이 주성분이었다. 솔잎을 수증기 증류하여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44종의 성분이 분리, 확인되었고, hydrocarbon류가 주성분이었다. β-cubebene, trans-caryophyllene, 2-hexenal, T-muurolol, δ-cadinene 순이었다. 수증기 증류법에 의한 방법으로 추출 하였을 때 용매분획 추출시 보다 더 많은 성분이 검색되었고, 용매분획에 따라 추출되는 향기성분의 함량과 조성은 차이가 있었으며, 추출방법에 따라서도 향 기성분의 조성비가 다르게 나타났다.
        4,000원
        6.
        201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lk bread with blueberry starter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bakery products. Blueberry starter was added to milk content at levels of 10, 20, 30, 40, and 50% to produce milk bread. As fermentation time increased, the pH of the blueberry starter decreased, whereas the titratable acidity and sugar level increased. The dough volume during fermentation was the highest for the group containing 40% added blueberry starter and the lowest for group containing 10% added blueberry starter. In the group containing 30% and 40% added blueberry starter, The volume, specific volume and baking loss of milk bread were the highest, while moisture content was the lowest. With regard to the crumb color value of the milk bread with blueberry starter, the L value decreased and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as the amount of blueberry starter increased.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the lowest in the group with 40% added blueberry star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optimal amount of blueberry starter for the preparation of milk bread is 30-40%.
        7.
        201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공용 쌀 품종으로 개발된 분질미, 연질미, 경질미의 쌀 가공제품 이용 가능성과 활용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호화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건식제분 쌀가루의 수분함량은 7.68~7.99%, 습식제분 쌀가루는 7.03~7.57%이었고, 조단백 함량은 건식제분 쌀가루에서 7.96~8.35%, 습식제분 쌀가루에7.94~8.12%이었다. 조지방 함량은 건식제분 쌀가루에서 1.32~1.49%, 습식제분 쌀가루에서 0.71~0.99%이었고, 조회분 함량은 건식제분 쌀가루에서 0.71~0.82%, 습식제분 쌀가루에서 0.25~0.31%이었다. 백색도 측정 결과, 습식제분 분질미 쌀가루에서 96.4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건식제분 연질미 쌀가루에서 95.6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적색도 측정 결과, 건식제분 분질미 쌀가루는 –0.37로 가장 높았고 습식제분 경질미 쌀가루는 –0.6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황색도 측정 결과, 건식제분 경질미 쌀가루는 3.46으로 가장 높았고 습식제분 분질미 쌀가루에서 2.5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입자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쌀 전분 특유의 입자 형태를 보였고, 건식제분 쌀가루가 불규칙하고 거칠며 큰 입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흡수지수와 수분용해지수는 습식제분 연질미와 경질미 쌀가루가 높았고, 건식제분 분질미가 가장 낮았다. X-선 회절도 분석결과, 모든 시료는 전형적인 A 도형의 특징을 나타냈고, 건식제분 쌀가루의 회절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Amylogram에 의한 호화 특성 분석 결과, 습식제분한 연질미 쌀가루는 최고점도, breakdown, setback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건식제분한 연질미 쌀가루는호화개시온도에서가장높았으나최고점도와breakdown에서는 가장 낮았다. 습식제분한 경질미 쌀가루는 호화개시 온도와 setback에서 가장 낮았다. 시차열량주사계에 의한 호화 특성 분석 결과, 건식제분한 연질미 쌀가루는 호화개 시온도, 호화정점온도, 호화종료 온도에서 가장 높았으나 호화엔탈피는 가장 낮았다. 따라서 분질미 쌀 품종은 건식 및 습식제분에서도 안정성이 높게 나타나 손상 전분이 적어쌀 가공제품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8.
        2013.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백진주 쌀가루를 이용한 비유탕 쌀과자 제조 조건의 최적화를 목적으로 두 가지 독립변수인 쌀 수침시간 과 콩물 첨가량에 따라 9가지 조건의 비유탕 쌀과자 품질특 성을 분석하였다. 무게는 쌀 수침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 가하다가 11.26일 이후에는 다시 감소하였으나 콩물 첨가 량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피와 부피팽창 율은 쌀 수침시간이 길어지고, 콩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도는 쌀 수침시간이 1.94일 이전이고, 콩물 첨가량이 32.23% 이상일 때 밀도가 가장 낮은 구간으로 나타났다. 색도에서 쌀 수침시간이 3.52일 이상이고 콩물 첨가량이 35.47%일 때 L값은 높은 구간으로 나타났고, a값은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값은 쌀 수침시간이 길어지고 콩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경도는 쌀 수침시간이 5.28∼8.53일이고, 콩물 첨가량이 5.34∼20.26%일 때 가장 높은 구간으로 나타났다. 색, 향미, 외형 및 전체적인 선호도는 쌀 수침시간이 짧고, 콩물 첨가량이 적을수록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독립변수인 쌀 수침시간과 콩물 첨가량을 범위 내에서 최소로 설정하고, 종속변수에 서 밀도는 최소로 설정하고 다른 항목은 최대로 설정하였을 때 백진주 쌀가루를 이용한 비유탕 쌀과자의 최적 조건은 쌀 수침시간 0.69일이고 콩물 첨가량은 26.67%로 나타났다.
        9.
        2012.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ven rice varieties (Dasan, Keunseon, Goami, Baekjinju, Seolgaeng, Hangangchal and Heukseol) were used to stud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y milled (200-mesh) rice flour species. The moisture and crude protein contents of rice were 15.00-15.10% and 6.09-8.21%, respectively. The crude lipid and crude ash of rice were 0.21-1.02% and 0.37-1.62%, respectively. As for the Hunter's color value, the L value was highest in the Dasan flour (96.47); the a value was highest in the Heukseol flour (5.03); and the b value was highest in the Baekjinju flour (3.36). The water aborption index was highest in the Goami flour (1.45), and the water solubility index was highest in the Hangangchal flour (9.16%). The amylose contents of the rice flour species were highest in the Goami (26.42%) rice flour, followed by the Dasan (19.39%), Seolgaeng (19.24%), Keunseon (18.06%), Heukseol (15.52%), Baekjinju (9.16%), and Hangangchal (0.84%) rice flour. In the X-raydiffractin patterns of the diverse species, seven tice varieties showed A-type crystallinity. As for the amylogram properties, the initial pasting temperature was 58.00-69.0 3℃. The maximum viscosity was highest in the Dasan flour. The Heukseol flour had the lowest maximum viscosity, breakdown, and setback. In terms of the thermal properties of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the onset temperature was 59.03-66.84℃; the peak temperature, 66-70-72.82℃; and the end temperature, 74.06-78.66℃. The enthalpy (ΔH) was lowest in the Heukseol flour (7.59 J/g) and highest in the Seolgaeng flour (11.36J/g).
        10.
        2012.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oking properties of seven different rice cultivars (Dasan, Keunseom, Goami, Baekjinju, Seolgaeng, Hangangchal, and Heukseol). For the Hunter’s color values, the L value was highest in the Seolgaeng cultivar, the a value was highest in the Heukseol cultivar, and the b value was highest in the Hangangchal cultivar. For the water absorption rate, that of the Heukseol cultivar was 80 min up to the saturation point, those of the Dasan and Goami cultivars were 50 min, those of the Baekjinju and Keunseom cultivars were 30 min, and that of the Seolgaeng cultivar was 10 min. The water absorption was highest in the Keunseom cultivar (351.38%). The expansibility and soluble-solid contents were 226.97-551.08 and 5.56-21.05%, respectively. The hardness of the cooked rice was highest in the Heukseol cultivar (24.30 kg); conversely, the Hangangchal cultivar had the lowest value (7.49 kg). Goami was a hard cooked rice, except for the Heukseol cultivar.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the cooked rice, the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were highest in the Baekjinju cultivar, the color was highest in the Seolgaeng cultivar, the flavor was highest in the Heukseol cultivar, and the appearance was highest in the Hangangchal cultivar. The Dasan and Keunseom cultivars yielded the lowest values in the sensory evaluation, except for texture.
        11.
        2012.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nhance the application of lotus roo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ocessed foods with lotus roots, lotus root powder was processed under four different conditions, an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s follows. In the Hunter’s color value results, the salted sample had the highest L value, and the vinegared sample had the highest a and b values. The water-holding capacities of the salted, vinegared, and blanched sample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sample. The amylase contents were in the 19.57-20.43% range but were not significant. The swelling power and solubility of the processed samples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rose. The blanched sample had the highest swelling power and solubility (65 and 60℃, respectively). The crystallinity of the processed samples, as determined via X-ray diffraction, reached their peak at 16.9°, and the other peaks at 14.6, 22.2, and 23.8° were typical of the B type. In addition, the relative crystallinity, gelatinization temperature, and enthalpy, as determined via DSC thermogram, were highest in the vinegared sample and lowest in the blanched sample. In the amylogram results, the vinegared sample had the highest maximum viscosity and breakdown. The retrogradation of the vinegared sample was the slowest as its setback value was the lowest.
        12.
        200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밤의 일반성분,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구성아미노산, 무기질, catechin 및 total polypenol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밤의 수분 함량은 밤의 외피, 내피, 깐밤, 밤, 밤나무 수피 및 밤나무 잎 중 밤나무 잎이 로 가장 높았고, 회분 함량은 밤의 각각의 부위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내피가 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의 부위중 간밤에서 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고 조지방 함량은 외피에서 로 가장 많은 함
        13.
        199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선초를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개발하여 그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신선초의 부위별 일반성분,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구성아미노산 및 식이 섬유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신선초의 가식부를 평균함량으로 보면 수분이 88.43%, 회분은 1.96%, 조지방은 0.16%, 조지방은 2.95%, 조섬유는 1.26%, 총 비타민C는 67mg%로 나타났으나 수분과 조섬유를 제외하고는 줄기보다 잎에서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 유리당 함량은 잎이 줄기보다 1.68배정도 높았으며 유리당의 종류와 함량을 보면 포도당이 평균함량으로 688mg, 과당이 703mg로 대부분 이였으며 서당은 미량 검출되었다. 잎에는 총 유리아미노산이 54.39%로 줄기의 28.07%보다 1.9배 이상 많은 함량을 보였다. 잎과 줄기의 총 구성 아미노산은 각각 1737.41mg%, 319.71mg%로 잎 이 줄기의 5.4배 높게 나타났다. 수용성 식이 섬유(SDF) 함량을 살펴보면, 신선물 기준으로 줄기가 1.00%로 잎의 0.99%보다 0.01% 높게 나타났으며, 불용성 식이 섬유(IDF) 함량 역시 잎의 3.07%보다 줄기가 3.52%로 0.45% 더 높게 나타났다. 신선초의 saponin의 함량은 잎이 535.51mg%로 줄기의 463.09mg%보다 높게 나타났다.
        14.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n the contents of dietary fiber, mechanical properties, and sensory quality of bread contained with 10% of high-fiber Camellia (Camellia japonica L.) seed flour. Bread added by dietary fiber was the contents of moisture, protein and ash higher than control bread, while the contents of lipid lower than that of control bread. The high-fiber with Camellia seed flour contained 8.6% soluble dietary fiber, 43.7% insoluble dietary fiber, and 52.3% total dietary fiber. The ratio of insoluble dietary fiber/soluble dietary fiber in the high-fiber with Camelia seed flour was 5 times. Bread with the addition of dietary fiber contained 6.9% total dietary fiber. With the addition of dietary fiber, water absorption , mixing time loaf weight, and hardness increased, but the loaf volume decreased . The sensory quality on bread added by dietary fiber was somewhat low in color, appearance, crumb texture, mouthfeel, flavor and overall preference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b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