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apeseed (Brassica napus L.) oil is mostly refined oil (RO). However, with increasing interest in health, the consumption of cold-pressed oil (CPO) without chemical refining is increasing in Korea. In this study, quality characteristics of CPO from rapeseed varieties ‘Jungmo7001’, ‘Jungmo7002’, ‘Jungmo7003’,and ‘Yuryeo’we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RO, a commercial product. L-value and a-value were lower while b-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CPO than those for RO. Analysis of fatty acid compositions of each oil revealed that CPO from ‘Yuryeo’contained the highest oleic acid at 74%. Analyses of contents of bioactive compounds in CPOs and RO revealed that contents of tocopherol, β-carotene, and canolol were the highest in CPOs from ‘Jungmo7003’, ‘Jungmo7002’, and ‘Jungmo7001’at 55.5, 0.3, and 0.2 mg/100 g, respectively. In addition, CPOs contained higher contents of bioactive compounds than RO, suggesting that CPO could provide health benefits. The induction period of CPOs measured using Rancimat were 9∼52% longer than that for RO, indicating that CPOs had a higher oxidative stability under given condition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to obtain basic data on quality of domestic rapeseed varieties.
        4,000원
        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quality properties of rapeseed oil by different roasting temperatures (140, 160, 180, and 200℃) were investigated. Roasted-pressed oil (RPO) showed a decrease in lightness and an increase in redness and yellowness with an increase in temperature compared to cold-pressed oil (CPO). In addition, the β-carotene and tocopherol content also increased in RPO as the roast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tocopherol content increased by 18~20% in RPO at 200℃ compared to CPO. This increase in bioactive components led to improve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ependent on roasting temperature, and RPO at 200°C showed a 2.7-fold improvement compared to CPO. Finally, it was observed that higher roasting temperatures resulted in an extended oxidation induction period, increasing by up to 3.3 times. In conclusion, roasting is an effective method for enhancing the oil functionality of domestic rapeseed varietie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producing high-quality oil.
        4,000원
        3.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apios (Apios americana Medikus) according to different harvest periods and steaming treatment were investigated. The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apio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harvest periods. Total starch contents was higher in 1st harvesting period as 62.32 g/100 g than other harvesting period. The water binding capacity and water solubility index was higher in 1st harvesting period as 228.65 and 11.29% than other harvesting period. The sucrose and total free sugar contents were 3.64~8.67 and 4.49~9.54 g/100 g,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apios was the highest 2nd and 4th harvesting period at 4.21 mg GAE/g and 611.11 μg CE/g,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er in 1st harvesting period as 84.96 mg TE/100 g than other harvesting period, and decreased as the harvest periods were delaye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wer were 43.81~47.89 mg TE/g and 231.20~264.07 mM/100 g, and increased to 50.58~51.44 mg TE/g and 342.55~384.29 mM/100 g after heat treatment. As a result, it is thought that studies on change of qua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ultivation characteristics should be preceded for cultivation stability of apios.
        4,000원
        4.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아주까리누에(Samia cynthia ricini)는 산누에나방과의 곤충으로 인도의 아삼과 벵갈 지방이 원산지로 주로 아주까리 잎을 먹으며 연 2세대 생산되는 누에와 달리 최대 6세대까지 생산이 가능한 다화성 곤충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주까리누에의 기능성 성분을 식의약 소재로 개발하기 위하여 아주까리누에와 일반누에의 이화 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누에는 5령 3일이 경과된 아주까리누에, 백옥잠 유충을 동결건조 하여 사용하였다. 이화학적 특성은 일반성분, 무기성분, 아미노산, 지방산 등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15~19%, 조지방 13~17%, 조회분 6.5%, 조단백 34.3%로 나타났고 무기성분은 칼륨 2.5%, 인 0.9%, 칼슘, 마그네슘 0.3%를 함유하였다. 총아미노산은 아주까리누에가 7.4%로 백옥 잠보다 2%이상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1.36%, Threonine 0.99%, Serine 0.9% 등 이었다. 지방산 조성비를 확인한 결과 linolenic acid가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고 palmitic acid, oleic acid가 뒤를 이었다.
        5.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식량위기와 환경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미래의 식량자원이자 고부가가치 식 품인 곤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벼메뚜기(Oxya chinensis sinuosa)는 청정 지역에서만 자라는 곤충으로 예로부터 구황식품으로 이용하여 왔고 식품공전에 식품으로 등재되어 있다. 벼메뚜기는 영양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아미노산 조성이 동물성 식품에 비해 낮지 않으며 고단백 식품으로 가치가 인정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벼메뚜기를 이용한 식품이 다양하지 않아 벼메뚜기를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벼메뚜기의 최적 추출 조건에 따른 항산화활성과 아질산염소거능을 연구하여 가공식품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자 한다. 시험에는 벼메뚜기의 성충을 동결건조 하였고 추출용매는 주정과 증류수 를 이용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7~10%, 조단백 46~54%, 조지방 7~10%, 조회분 1.5~2.9%로 나타났다. 벼메뚜기는 70% 주정 추출물에서 70~92%의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으며 수컷보다 암컷에서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염소거능은 pH 가 낮을수록 수컷보다 암컷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7.
        2016.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milk containing Rhus verniciflua seed (RVS) extracts (0.0%, 0.1%, 0.3% and 0.5%)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VS extracts.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RVS was moisture (4.76%), crude ash (1.40%), crude fat (5.33%) and crude protein (11.10%). A total polyphenol content of 70% ethanol extract of RVS (554±2.64 mg/g) was higher than that of RVS water extract (145±3.47 mg/g). 70% ethanol extract (1103±6.42 mg/g) of RVS showed higher content in the total flavonoids (37±2.30 mg/g) and activities on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73.23%)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83.47%) when compared with water extracted of RV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pH, titratable acidity, and the number of lactic acid producing bacteria were not remarkably different between the fermented milk samples subjected to treatments with and without the addition of RVS extracts.
        8.
        201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갈대를 첨가한 약주의 발효기간 중 pH는 증자 후 덖음한 갈대순을 첨가한 약주의 pH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고, 대조구와 증자 후 덖음 한 갈대 뿌리를 첨가한 약주는 같은 값을 보였다. 총산 함량은 발효 종료 시점인 12일째의 총산 함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환원당 함량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발효 기간 중 시료를 첨가한 시기인 발효 6일째의 환원당 함량 또한 시료구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갈대 약주의 ethanol 함량은 대조구가 15.31%로 갈대순을 첨가한 약주의 15.30%과 뿌리를 첨가한 시료구의 15.28%과 비교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약주에서 확인된 주요 유리당은 glucose였고, fructose와 sucrose는 갈대순과 뿌리를 첨가한 약주에서는 검출 되었으나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약주의 total polyphenol 함량은 갈대순 및 뿌리를 첨가한 약주가 4.26 mg% 및 4.21 mg%로 대조구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DPPH free radical 소거능 또한 갈대순을 첨가한 약주와 뿌리를 첨가한 약주가 25% 및 23%로 대조구의 20%에 비해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갈대를 첨가한 약주의 관능검사 결과 향, 색 및 맛 모두 갈대순 0.3% 첨가 약주가 가장 높은 기호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종합 기호도 또한 갈대순 0.2%~0.4%를 첨가한 약주의 3개 시료구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그 중 0.3% 첨가 약주가 7.2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