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원 소재 음나무(Kalopanax septemlobus)의 미숙종자에서 캘러스를 유도하여 15개의 배발생 캘러스를 얻었다. 증식된 배발생 캘러스를 재료로 체세포배를 유도하여 15개체의 기내 식물체를 얻었다. 체세포배 유도는 1/2 MS배지에 0.1 mg/L abscisic acid (ABA), 7% polyethylene glycol (PEG), 0.02% activated charcoal, 3% sucrose를 첨가하고, 0.5% gelrite로 경화하여 사용하였다. 식물 재생용 배지는 배지는 1/2MS배지에 2% sucrose, 0.3% gelrite로 하였고, 발아 촉진을 위해 GA3 1.0 mg/L 처리 혹은 기본배지를 사용하였다. 15개체의 체세포배 발생 빈도는 다르게 나타났고, 재생된 식물체의 GA3 효과는 크지 않았다. 유전적 다양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ISSR (Inter-Simple Sequence Repeats) 표지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5개의 ISSR 프라이머에서 증폭산물을 관찰하였고, 유전적 다양성을 나타내는 P (Percentage of polymorphic loci)값과 S.I. (Shannon’s information index)를 조사하였다. ISSR 마커를 이용하여 재분화 식물체의 유전적 안정성을 분석한 결과, 체세포 유래 재분화된 식물체의 개체간에 유전적 구조가 균일하며, 유전적 변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백합나무의 건전 순화묘 생산을 위해 체세포배 유래 발아체를 여러 종류의 항산화제로 전처리 후 토양이식 한 결과 500mg/L Citric acid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87.9%의 순화묘 생존율을 보였으며, 그 외 처리구에서는 대조구 (수돗물)보다 다소 높거나 낮은 현상을 보여 별 생존율 차이가 없었다. 묘고 생장의 경우 500mg/L Citric acid를 처리한 처리구에서 44.5cm를 보여 가장 높았으며, 근원경 비교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로 500mg/L Citric acid를 처리한 처리구에서 4.38mm를 보여 가장 높았다. 그러나 엽면적의 경우 수돗물 처리구 유래 순화묘가 66.03cm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생중량 비교에서는 500mg/L Citric acid 유래 처리구에서 8.79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